총체적 난국에 빠진 오클랜드 市政

총체적 난국에 빠진 오클랜드 市政

0 개 4,604 JJW
auckland.jpg

오클랜드 카운슬과 그 산하기관들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엄청난 빚에 허덕이면서 불필요한 곳에 돈을 펑펑 지출하는가 하면 시장과 시의원들이 효율적으로 카운슬을 관리하지 못한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다. 

통합 이후 오클랜드 부채 2배 늘어  
현재 오클랜드 카운슬이 지고 있는 부채 규모는 약 73억달러이다.

통합 오클랜드 출범 당시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앞으로 10년 후인 2025년에는 108억달러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늘어난 빚은 새로운 전기기차 사업(4억6,200만달러), 동부 오클랜드 교통 프로젝트(3억1,600만달러), 공원 조성 및 정비(2억500만달러), 정보통신(1억9,500만달러), 도심순환철도 건설을 위한 토지 매입(1억6,800만달러), 도심 ASB 빌딩에 새로운 카운슬 본부 마련(1억500만달러) 등에 사용됐다.
이처럼 매일 평균 수 백만 달러를 빌리고 있는 오클랜드 카운슬이지만 그 동안 임직원들의 보수와 혜택은 지나치게 늘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오클랜드 카운슬의 세금 낭비와 도덕 불감증은 최근 들어서도 멈추지 않고 있다. 

시민들의 세금 22만달러를 들여 남자 성기를 상시키는 조형물을 뉴린 지역에 설치해 지나가는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가 하면 직원 외모와 복장 등에 대한 세미나에 3,500달러를 낭비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기도 했다.

지난달 오클랜드 카운슬 소수민족자문위원회의 페로즈 알리(Feroz Ali) 위원장과 한 위원은 이 위원회가 별로 하는 일도 없이 납세자의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며 사임했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이 위원회를 운영하는데 연간 7만~8만5,000달러를 지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3년 재선 직후 홍콩 출신 카운슬 자문위원과의 2년 간의 내연관계가 알려진데 이어 새로운 카운슬 본부 시장 사무실 내에 3만달러를 들여 밀실을 갖춘 사실이 드러나 곤혹을 치른 렌 브라운(Len Brown) 시장은 여론조사 비용으로 지금까지 거의 25만달러의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브라운 시장 사무실은 프라이버시를 이유로 비용 지출의 세부사항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시장의 지도력 부재 
재선 직후 불륜 사실이 드러나면서 사퇴 압력을 받았던 브라운 시장은 시정을 장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내년에 있을 지방선거에 출마 의사를 밝혔지만 선거 참모진은 브라운 시장이 당선될 가능성이 없다며 필 고프(Phil Goff) 전(前) 노동당 대표나 페니 헐스(Penny Hulse) 오클랜드 부시장을 지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운 시장의 관리 능력은 최근 오클랜드 부두 확장과 관련해서 도전받고 있다.

오클랜드 카운슬이 소유하고 있는 포츠 오브 오클랜드(Ports of Auckland)는 블레디스로(Bledisloe) 부두를 공청회도 열지 않고 와이테마타 하버(Waitemata Harbour) 방향으로 100미터 정도 확장하겠다고 발표했다.

카운슬의 허가까지 받은 이 프로젝트는 법적 소송까지 불사하려는 시민들의 엄청난 반발을 불러 왔고, 대다수의 시의원들도 반대로 돌아섰다.

수습에 나선 브라운 시장은 ‘포츠 오브 오클랜드’가 부두 확장에 대해 자신에게 더욱 많은 정보를 주었어야 한다며 프로젝트가 연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츠 오브 오클랜드’ 측은 보다 큰 선박들을 수용할 정박 공간이 필요하다며 확장 프로젝트를 계획대로 밀고 나갈 의사를 밝혀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노동당의 고프 의원은 “오클랜드 카운슬이 이 프로젝트를 반대한다면 그 계획을 멈춰야 한다”며 브라운 시장의 미온적인 태도를 비난했다.

오클랜드 카운슬 관리기관 ‘관리’ 안돼
오클랜드 카운슬 관리기관들의 독단적인 경영은 최근 ‘오클랜드 관광 이벤트 경제 개발청(ATEED)’에서도 나타난다.

이 기관은 지난해 3월부터 숙련 인력과 해외 투자를 유치한다는 명분으로 시의원들도 모르게 영국 런던과 미국 샌프란시스코, 호주 멜버른 등지에 사무실을 운영한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올해 ATEED의 운영비는 5,300만달러에 육박하며, 이 가운데 4,600만달러는 오클랜드 시민들의 세금으로 충당된다.

캐시 캐이시(Cathy Casey) 시의원은 이 문제에 대해 감사원장에 문의 서한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원들과는 달리 ATEED의 해외 사무실 운영에 대해 알고 있었던 브라운 시장은 재산세를 공약보다 높이 인상하고 도서관 개관시간을 단축하며 긴축 10년 예산을 세우는 마당에 오클랜드 시민들과 관련도 없는 일을 하고 있는 ATEED의 행태에 지지를 보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시민들은 해외 투자 유치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하고 있으며 오클랜드시가 가장 큰 수혜자이고 숙련 인력은 사기업 고용주를 위한 일인데 공공 자금이 이런 일에 쓰여져야 하는지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도 그럴 것이 런던 사무실에 배치된 그랜트 젠킨스(Grant Jenkins)는 부인이 영국으로 돌아가길 원했던 ATEED의 고위 간부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 말해 사람을 위해 자리를 만들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10년 예산 ‘수준 미달’ 지적 
오클랜드 카운슬이 지난달 16일까지 시민들의 의견을 받은 ‘10년 예산안’도 수준 미달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청소년 로비 단체 ‘제너레이션 제로(Generation Zero)’는 오클랜드 카운슬 10년 예산안에서 계획하고 있는 새 도로에 대한 지출을 20억달러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브라운 시장의 최대 역점사업인 도심순환철도 역시 막대한 사업비에 비해 이용하는 승객이 적어 손익분기점에도 미치기 어려우며 오클랜드 도심 자동차 교통 흐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찮다.

자동차협회(AA)와 뉴질랜드 인프라 개발 카운슬(NECID) 은 오클랜드 카운슬의 장기 계획안 예산 옵션이 모두 수준 미달이라며 중앙 정부와 함께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달 16일 마감된 오클랜드 카운슬의 10년 예산안에 2만명 이상 시민들의 의견이 접수됐는데 53%의 시민들은 버스와 기차가 자주 운행되는 공공교통 네트워크의 지역 확대를 지지했다.

예산 확보의 방법으로는 30%가 넘는 시민들이 모토웨이 통행료 징수를 선택했고 29%는 지역 유류세와 재산세의 인상을 지지했다.

10년 예산안의 최종 결정은 다음 달에 이뤄지고 6월 25일에 정식 채택되어 7월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툭 하면 파헤치고 덮이는 도로들, 재정난으로 세금을 올리면서도 같은 직종의 사기업에 비해 높은 카운슬 임직원들의 급여, 1주일이 멀다 하고 터져 나오는 납득하기 어려운 소식들을 접하면서 오클랜드 카운슬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은 쌓여만 가고 있다.

투기판이 돼버린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6,775 | 2015.09.23
오클랜드 주변에서 팔린 지 얼마 안된 주택이 다시 매물로 나오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심지어 새로운 주인을 맞은 신축 주택이 이틀 후에 매물로 나와 화제… 더보기

부동산 세금 추적에 열 올리는 세무당국

댓글 0 | 조회 6,015 | 2015.09.10
부동산 거래가 급증하면서 세무당국의 활동 또한 분주해지고 있다. 뉴질랜드 세무당국인 IRD는 특별팀을 구성하여 부동산 투자자들의 탈세 행위를 적발하는데 혈안이 돼… 더보기

유효기간 10년으로 늘어나는 NZ여권

댓글 0 | 조회 9,227 | 2015.09.10
뉴질랜드 여권(passport) 유효기간이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된다. 여권 업무를 담당하는 내무부(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더보기

NZ국기, 정말 바뀌려나?

댓글 3 | 조회 7,041 | 2015.08.27
▲ 뉴질랜드(왼쪽)와 호주 국기 최근 뉴질랜드 국내언론에 가장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주제는 단연 ‘국기 교체’와 관련된 기사들이며 이에 대한 논쟁은 오는 11월에 … 더보기

‘캐주얼’ 인종차별의 증가

댓글 0 | 조회 7,374 | 2015.08.26
지난달 노동당이 부동산 중개회사 바풋 앤 톰슨(Barfoot & Thompson)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나와 있는 성(姓)을 근거로 오클랜드 주택시장 과열… 더보기

드론, 우리에게 어떤 존재?

댓글 0 | 조회 6,038 | 2015.08.13
▲ 미사일과 폭탄을 장착한 리퍼(Reaper) 지난 7월 22일(토) 뉴질랜드 ‘민간항공국(Civil Aviation Authority, CAA)’은 새로운 ‘드… 더보기

부동산 시장에 일고 있는 물결효과

댓글 1 | 조회 5,697 | 2015.08.12
부동산 시장에서 물결효과(ripple effect)는 어떤 한 지역의 부동산 가격 오르내림세가 나라 전체 부동산 가격에 파급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 더보기

한 여고생의 발언에 담긴 교육 현실

댓글 0 | 조회 5,632 | 2015.07.29
변변한 교과서가 없고 참고서도 풍부하지 않을뿐더러 내용도 불충분한 뉴질랜드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교사가 성실하게 지도하지 않는다면 … 더보기

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댓글 0 | 조회 6,572 | 2015.07.29
▲ 웰링톤 박물관에 남은 쿠리 박제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웰링톤의 ‘테 파파(Te Papa)’에 가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개 한 마리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다른… 더보기

뉴질랜드 달러화의 추락

댓글 0 | 조회 8,697 | 2015.07.15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지난 4월 7일 뉴질랜드 달러화가 사상 처음으로 호주 달러화와 동등한 가치가 될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 전날 99.78호주센트에 마감된 환… 더보기

인공위성 품은 로켓 발사의 꿈

댓글 0 | 조회 5,508 | 2015.07.14
▲ ‘Electron’ 로켓 앞에 선 피터 벡(Peter Beck) 대표 지난 7월 초에 국내 각 언론에는 크라이스트처치 외곽의 한 목장지대에 인공위성을 탑재한 … 더보기

정부의 근시안적인 키위세이버 정책

댓글 0 | 조회 7,208 | 2015.06.24
오는 7월이면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지 8주년을 맞는다. 뉴질랜드 국민의 저조한 가계 저축을 높여 노후에 대비하고 가계 부문의 높은 부동산 자산 … 더보기

추운 겨울 뜨겁게 달구는 교복 논쟁

댓글 0 | 조회 6,174 | 2015.06.23
아침이면 집 정원은 물론 공원 잔디밭에도 하얗게 서리가 내려 앉은 가운데 하얀 입김을 불며 등교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별로 낯설지 않게 느껴질 만큼 본격적인 겨울로…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새로운 부동산 세금

댓글 0 | 조회 8,253 | 2015.06.10
지난달 17일 존 키(John Key) 총리는 주택 구입 후 2년 이내에 매각한 투자 주택에 대해 오는 10월부터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키 총… 더보기

앉지 말고 서서 일하자

댓글 0 | 조회 7,352 | 2015.06.10
최근 뉴질랜드의 한 신문에서 ‘서서 일하기’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해당 신문은 특집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리는 방식으로 직장인들이 앉아서 일하는 지금… 더보기

‘옥션’으로 팔 때 집값 높다

댓글 0 | 조회 6,273 | 2015.05.27
주택 시장의 열기가 식을 줄 모르면서 주택 매매도 계속해서 활기를 띠고 있다. 집을 팔려고 내놓는 집주인들은 누구나 더욱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할 것이다. 오클랜… 더보기

QS 평가로 본 NZ 대학의 학과별 위상

댓글 0 | 조회 9,902 | 2015.05.27
지난 4월말 영국의 대학평가 전문기관인 ‘쿼커렐리시먼즈(Qucquarelli Symonds, QS)’가 ‘QS 세계 대학 36개 전공별 순위(QS World Un… 더보기

어려워진 NCEA를 통과하려면

댓글 1 | 조회 5,400 | 2015.05.13
지난호 포커스에서는 고등학교 NCEA, 특히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요구되는 UE(University Entrance)가 어려워져 많은 학생들이 본인이 원하는 대학… 더보기

사이버 사기꾼의 e메일 “날 잡아봐라!”

댓글 0 | 조회 3,393 | 2015.05.13
▲ 피해자가 전송 받았던 강아지 사진 <사이버 사기 피해금액이 연간 4억불?> 오늘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컴퓨터를 포함한 인터넷으로 사회 구석… 더보기

대학에 낙방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댓글 1 | 조회 4,584 | 2015.04.30
지난해 고등학교 NCEA 합격률은 레벨 1, 2, 3 모든 과정에서 2013년에 비해 향상됐다. 그러나 유독 UE(University Entrance)는 급격하게… 더보기

Smoking-Free 2025, 목표대로 이뤄질까?

댓글 0 | 조회 6,130 | 2015.04.29
▲ plain packaging 담뱃갑 뉴질랜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는 나라 안에서 담배를 완전히 추방하겠다는 야심에 찬 목표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제안은…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Ⅱ)

댓글 0 | 조회 3,100 | 2015.04.15
▲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린 컬쳐 갈로아 모습 지난 3월 10일 ‘아시아 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 더보기
Now

현재 총체적 난국에 빠진 오클랜드 市政

댓글 0 | 조회 4,605 | 2015.04.14
오클랜드 카운슬과 그 산하기관들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엄청난 빚에 허덕이면서 불필요한 곳에 돈을 펑펑 지출하는가 하면 시장과 시의원들이… 더보기

부모 도움 없인 내 집 마련 어렵다

댓글 0 | 조회 5,607 | 2015.03.25
천정부지로 오른 집값과 대출 규제 정책으로 젊은이들의 내 집 마련이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어려워졌다. 이제 부모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고서는 주택 구입이 힘들어…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

댓글 1 | 조회 5,546 | 2015.03.24
지난 3월 10일에 ‘아시아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뉴질랜드로 유입된 이민자들의 시대별 변화 추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