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S 평가로 본 NZ 대학의 학과별 위상

QS 평가로 본 NZ 대학의 학과별 위상

0 개 9,901 서현
549.jpg

지난 4월말 영국의 대학평가 전문기관인 ‘쿼커렐리시먼즈(Qucquarelli Symonds, QS)’가 ‘QS 세계 대학 36개 전공별 순위(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즉 다시 말해 학과별로 매겨진 전 세계 대학교의 순위를 발표했다.
 
<전공별로 분류된 세계 대학의 학과별 순위>
QS는 금년에는 ‘건축학과’와 ‘치의학과’를 처음 포함하는 등 예년에 비해 더욱 상세히 구분된 학과별 순위를 발표했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화학, 천문, 물리, 전기, 전자공학 등 공학계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이 총 11개 부문에서 수위를 차지하면서 10개 부문에서 1위에 오른 하버드를 간발의 차이로 앞섰다.

한편 한국 대학들에 개설된 각 학과 중 이번 발표에서 가장 순위가 높았던 전공은 ‘카이스트’가 17위를 기록한 화학공학과였다. 이 분야 역시 1위는 MIT였는데, 한국의 대학들 중 10개 대학의 화학공학과가 세계 ‘Top 200’에 드는 등 한국 대학들은 인문이나 사회과학 분야에 비해 특히 공학 분야에서 성적이 좋았다.

또한 미국과 영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NUS)이 11개 학과를 올리면서 ‘Top 10’에 가장 많이 들어간 대학으로 선정됐으며, 그 뒤를 스위스 취리히공대(10개), 일본 도쿄대(6개), 호주국립대·홍콩대(4개) 등이 이었다.

이처럼 학과별 대학 순위 발표에서는 이미 알려진 전반적인 대학교 평가 순위와는 상당히 다른 양상이 나타나곤 하는데, 이번 평가는 전 세계 3,500개 대학을 대상으로 8만 명이 넘는 학문 분야별 전문가들과 4만여 명의 다국적 기업 인사 담당자 등의 평가를 통해 작성됐다.

금년으로 5번째 발표된 이번 자료에서 뉴질랜드 내의 8개 종합대학들도 조사대상인 36개 전공에서 모두 130개의 자리(전공별 400위까지 선정)를 차지하면서 최소한 한 개 전공 분야 이상씩을 ‘Top 400’ 안에 진입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년과 비교해보면 38건은 작년과 같은 위치를 차지한 반면 36개 순위는 전년보다 순위가 하락했고 26건은 순위가 오른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번 호에서는 금년도 발표 내용을 전공과 순위, 그리고 각 학교별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549 1.jpg
▲ 세계 및 한국 각 대학교의 학과별 평가순위표

<상위권에 오른 오타고 치의대와 매시대 수의학과>
이번 발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학 전공은 각각 세계 8위와 15위에 자리 잡은 오타고대학의 ‘치의학과(School of Dentistry)’와 매시대학의 ‘수의학과(Veterinary Science)’이다.

뉴질랜드 대학 중 전공별 순위 발표에서 세계 대학 가운데 최상위권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 10위권 안에 든 것은 오타고 대학 ‘치의학과’가 처음인데, 이에 따라 대학 측은 크게 고무된 가운데 관계자들은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이 학교의 하렌 헤인(Harlene Hayne) 부총장은, 오타고대학 치의학과의 우수한 수준을 공식적으로 인정 받은 셈이라면서, 그동안 국제적인 연구조사를 이끄는 등 노력해온 교수진과 직원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결과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치의학과에 대한 QS 대학평가 순위는 금년에 처음 발표됐으며 이 분야 1위는 스웨덴의 카롤린스카대학이 올랐고 2위는 홍콩대, 그리고 3, 4위는 스웨덴의 고덴버그대학과 미국의 미시건 대학, 5위는 벨기에의 루벤카톨릭대학이 차지하는 등 일반인들에게는 그리 익숙하지 않은 이름의 대학들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세계 15위 자리에 ‘수의학과’를 올린 매시대학 역시 고무된 분위기인데, 이 대학의 스티브 마헤레이(Steve Maherey) 부총장은, 수의학과를 비롯해 매시대학이 50위 안에 1개, 그리고 100위 안에 2개 전공을 올렸다면서 소식을 반겼다.
 
매시대 수의학과는 낙농국가인 뉴질랜드에 설치된 유일의 수의학과인데 이 분야 1위는 미국 UC데이비스(Davis)대학이 차지했으며 2,3위는 각각 미국의 코넬대와 영국의 왕립수의대, 그리고 캐나다의 궐프대학과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 대학이 4,5위를 차지한 가운데 서울대는 41위에 이름을 올렸다. 
 
<31개 분야 골고루 이름 올린 오클랜드 대학>
한편 오클랜드 대학은 처음으로 조사된 ‘개발학(Deveopment Studies)’ 분야에서 자기 대학 내 전공 중에서는 최고 순위인 23위에 오르고 ‘교육학(Education)’은 26위, 그리고 ‘회계학(Accounting & Finance)’에서도 같은 26위를 기록한 가운데 ‘심리학(Psychology)’ 분야가 28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문학(English Language & Literature)’과 ‘법학(Law)’, ‘언어학(Linguistics)’ 분야는 공히 33위에 자리했으며, 또한 처음으로 평가된 ‘건축학(Architecture/Built Environment)’과 ‘경영학(Business & Management Studies)’ 분야에서는 각각 세계 45위와 46위에 올랐다. 

이처럼 오클랜드 대학은 비록 ‘Top 20’에 진입한 학과는 없었지만 13개 학과가 상위 50위 안에 드는 등 조사된 36개 전공 분야 중에서 학과가 설치되지 않은 4개 분야 등을 제외한 29개 분야에서 모두 100위, 또는 150위 안에 들었다.

uni.jpg
▲ NZ 각 대학의 학과별 ‘Top 400’ 평가순위표

<순위표에 이름 올린 각 대학 간판학과들>
또한 캔터베리대학도 ‘토목공학(Engineering-Civil & Structural)’ 분야가 공동 44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회계학’과 ‘법학’ 분야가 51~100위 안에 들어 국내 대학 중 2번째로 많은 25개 전공 분야를 400위 안에 올렸다. 

‘치의학과’를 8위에 올린 오타고대학은 그 외에도 ‘심리학과’를 31위에 올린 것을 비롯해 국내 대학 중 3번째로 많은 24개 학과를 ‘Top 400’ 안에 올렸으며 이 중 ‘개발학’과 ‘교육학’, ‘지리학’, ‘영문학’, ‘역사학’과 ‘법학’ ‘철학’ 등 6개 학과는 51~100위에 포진시켰다. 

웰링톤의 빅토리아대학은 간판학과인 ‘법학’이 45위에 오르는 등 모두 21개 분야에 대학 이름을 올렸으며, 이들 중 ‘심리학’과 ‘회계학’, ‘아트& 디자인’, ‘개발학’과 ‘교육학’, ‘영문학’, ‘지리학’ 등 7개 학과는 51~100위에 자리를 잡았다. 

이 밖에도 와이카토대학이 ‘교육학’에서 51~100위 안에 든 것을 비롯해 모두 4개 분야에서 이름을 올렸으며, AUT대학 역시 간판학과인 ‘아트&디자인’ 분야를 42위에 위치시키면서 4개 전공 분야에서 ‘Top 400’ 안에 이름을 올렸고, 국내에서 규모가 가장 작은 대학으로 농업분야에 특화된 링컨대학도 ‘농림학(Agriculture& Forestry)’ 분야에서 51~100위 순위표의 한 자리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순위 발표는 해당 대학이 가진 학문과 국제적 평판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와 더불어 자신이 공부하고자 하는 전공 분야에 대해서도 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줘 대학 진학 시 유용하게 쓰여질 것으로 보인다.
 
<QS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지난 2004년부터 세계대학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QS의 자료는 크게 두 가지이다. 

매년 하반기에는 각 대학 전체의 경쟁력과 역량을 심사해 ‘세계 대학 종합평가’ 결과를 발표하며 이를 통해 대학별 순위를 매긴다. 작년 10월 발표에서는 MIT가 2년 연속 1위였으며 그 뒤를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임페리얼칼리지가 이은 가운데 4위는 미국 하버드, 그리고 5, 6위는 영국 옥스퍼드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이 차지하는 등 미국과 영국 대학이 선두권에 몰려 있다.
 
또한 이번 자료처럼 매년 상반기에는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도 발표하는데, 이 자료는 학계 평가, 졸업생 평판도, 교수당 논문 피인용수, H인덱스 등의 지표를 활용한다.
 
이 중 학계 평가는 금년에는 모두 85,502명에 달하는 전 세계 학자들에게 ‘본인의 전공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대학은 어디인가?’ 라는 질문을 통해 이뤄졌으며, 졸업생 평판도는 글로벌기업 인사담당자 41,910명에게 ‘어느 대학 학과 졸업생이 우수한가’라는 설문을 보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교수당 논문 피인용수는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퍼스(Scopus)’ 분석을 통해, 그리고 H인덱스는 연구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사용하는 지수로 각 지표별 반영 비율은 학과마다 다르게 적용된다.        

<남섬지국장 서 현>

투기판이 돼버린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6,775 | 2015.09.23
오클랜드 주변에서 팔린 지 얼마 안된 주택이 다시 매물로 나오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심지어 새로운 주인을 맞은 신축 주택이 이틀 후에 매물로 나와 화제… 더보기

부동산 세금 추적에 열 올리는 세무당국

댓글 0 | 조회 6,015 | 2015.09.10
부동산 거래가 급증하면서 세무당국의 활동 또한 분주해지고 있다. 뉴질랜드 세무당국인 IRD는 특별팀을 구성하여 부동산 투자자들의 탈세 행위를 적발하는데 혈안이 돼… 더보기

유효기간 10년으로 늘어나는 NZ여권

댓글 0 | 조회 9,227 | 2015.09.10
뉴질랜드 여권(passport) 유효기간이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된다. 여권 업무를 담당하는 내무부(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더보기

NZ국기, 정말 바뀌려나?

댓글 3 | 조회 7,041 | 2015.08.27
▲ 뉴질랜드(왼쪽)와 호주 국기 최근 뉴질랜드 국내언론에 가장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주제는 단연 ‘국기 교체’와 관련된 기사들이며 이에 대한 논쟁은 오는 11월에 … 더보기

‘캐주얼’ 인종차별의 증가

댓글 0 | 조회 7,374 | 2015.08.26
지난달 노동당이 부동산 중개회사 바풋 앤 톰슨(Barfoot & Thompson)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나와 있는 성(姓)을 근거로 오클랜드 주택시장 과열… 더보기

드론, 우리에게 어떤 존재?

댓글 0 | 조회 6,038 | 2015.08.13
▲ 미사일과 폭탄을 장착한 리퍼(Reaper) 지난 7월 22일(토) 뉴질랜드 ‘민간항공국(Civil Aviation Authority, CAA)’은 새로운 ‘드… 더보기

부동산 시장에 일고 있는 물결효과

댓글 1 | 조회 5,697 | 2015.08.12
부동산 시장에서 물결효과(ripple effect)는 어떤 한 지역의 부동산 가격 오르내림세가 나라 전체 부동산 가격에 파급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 더보기

한 여고생의 발언에 담긴 교육 현실

댓글 0 | 조회 5,632 | 2015.07.29
변변한 교과서가 없고 참고서도 풍부하지 않을뿐더러 내용도 불충분한 뉴질랜드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교사가 성실하게 지도하지 않는다면 … 더보기

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댓글 0 | 조회 6,572 | 2015.07.29
▲ 웰링톤 박물관에 남은 쿠리 박제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웰링톤의 ‘테 파파(Te Papa)’에 가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개 한 마리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다른… 더보기

뉴질랜드 달러화의 추락

댓글 0 | 조회 8,697 | 2015.07.15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지난 4월 7일 뉴질랜드 달러화가 사상 처음으로 호주 달러화와 동등한 가치가 될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 전날 99.78호주센트에 마감된 환… 더보기

인공위성 품은 로켓 발사의 꿈

댓글 0 | 조회 5,508 | 2015.07.14
▲ ‘Electron’ 로켓 앞에 선 피터 벡(Peter Beck) 대표 지난 7월 초에 국내 각 언론에는 크라이스트처치 외곽의 한 목장지대에 인공위성을 탑재한 … 더보기

정부의 근시안적인 키위세이버 정책

댓글 0 | 조회 7,208 | 2015.06.24
오는 7월이면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지 8주년을 맞는다. 뉴질랜드 국민의 저조한 가계 저축을 높여 노후에 대비하고 가계 부문의 높은 부동산 자산 … 더보기

추운 겨울 뜨겁게 달구는 교복 논쟁

댓글 0 | 조회 6,174 | 2015.06.23
아침이면 집 정원은 물론 공원 잔디밭에도 하얗게 서리가 내려 앉은 가운데 하얀 입김을 불며 등교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별로 낯설지 않게 느껴질 만큼 본격적인 겨울로…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새로운 부동산 세금

댓글 0 | 조회 8,253 | 2015.06.10
지난달 17일 존 키(John Key) 총리는 주택 구입 후 2년 이내에 매각한 투자 주택에 대해 오는 10월부터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키 총… 더보기

앉지 말고 서서 일하자

댓글 0 | 조회 7,352 | 2015.06.10
최근 뉴질랜드의 한 신문에서 ‘서서 일하기’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해당 신문은 특집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리는 방식으로 직장인들이 앉아서 일하는 지금… 더보기

‘옥션’으로 팔 때 집값 높다

댓글 0 | 조회 6,273 | 2015.05.27
주택 시장의 열기가 식을 줄 모르면서 주택 매매도 계속해서 활기를 띠고 있다. 집을 팔려고 내놓는 집주인들은 누구나 더욱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할 것이다. 오클랜… 더보기
Now

현재 QS 평가로 본 NZ 대학의 학과별 위상

댓글 0 | 조회 9,902 | 2015.05.27
지난 4월말 영국의 대학평가 전문기관인 ‘쿼커렐리시먼즈(Qucquarelli Symonds, QS)’가 ‘QS 세계 대학 36개 전공별 순위(QS World Un… 더보기

어려워진 NCEA를 통과하려면

댓글 1 | 조회 5,400 | 2015.05.13
지난호 포커스에서는 고등학교 NCEA, 특히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요구되는 UE(University Entrance)가 어려워져 많은 학생들이 본인이 원하는 대학… 더보기

사이버 사기꾼의 e메일 “날 잡아봐라!”

댓글 0 | 조회 3,393 | 2015.05.13
▲ 피해자가 전송 받았던 강아지 사진 <사이버 사기 피해금액이 연간 4억불?> 오늘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컴퓨터를 포함한 인터넷으로 사회 구석… 더보기

대학에 낙방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댓글 1 | 조회 4,584 | 2015.04.30
지난해 고등학교 NCEA 합격률은 레벨 1, 2, 3 모든 과정에서 2013년에 비해 향상됐다. 그러나 유독 UE(University Entrance)는 급격하게… 더보기

Smoking-Free 2025, 목표대로 이뤄질까?

댓글 0 | 조회 6,130 | 2015.04.29
▲ plain packaging 담뱃갑 뉴질랜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는 나라 안에서 담배를 완전히 추방하겠다는 야심에 찬 목표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제안은…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Ⅱ)

댓글 0 | 조회 3,100 | 2015.04.15
▲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린 컬쳐 갈로아 모습 지난 3월 10일 ‘아시아 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 더보기

총체적 난국에 빠진 오클랜드 市政

댓글 0 | 조회 4,604 | 2015.04.14
오클랜드 카운슬과 그 산하기관들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엄청난 빚에 허덕이면서 불필요한 곳에 돈을 펑펑 지출하는가 하면 시장과 시의원들이… 더보기

부모 도움 없인 내 집 마련 어렵다

댓글 0 | 조회 5,607 | 2015.03.25
천정부지로 오른 집값과 대출 규제 정책으로 젊은이들의 내 집 마련이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어려워졌다. 이제 부모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고서는 주택 구입이 힘들어…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

댓글 1 | 조회 5,546 | 2015.03.24
지난 3월 10일에 ‘아시아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뉴질랜드로 유입된 이민자들의 시대별 변화 추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