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션’으로 팔 때 집값 높다

‘옥션’으로 팔 때 집값 높다

0 개 6,272 JJW
autions.jpg

주택 시장의 열기가 식을 줄 모르면서 주택 매매도 계속해서 활기를 띠고 있다. 집을 팔려고 내놓는 집주인들은 누구나 더욱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할 것이다. 오클랜드에서 집을 팔 때 매매 방법에 따라 금액에도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관심을 모은다. 
옥션 통한 주택 판매 6% 많이 받아 
뉴질랜드부동산협회(REINZ)에 따르면 지난해 오클랜드에서 옥션을 통해 매매된 주택가격은 감정가격(CV)보다 평균 18% 높게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희망가격을 제시하고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 약정을 통해 팔린 주택가격은 감정가보다 평균 12% 높게 조사됐다.

이 두 가지 매매 방법의 차이 6%를 금액으로 계산하면 오클랜드 평균 집값을 기준으로 4만3,200달러가 나온다.

이는 또한 지역마다 차이를 보여 오클랜드 시티에서 옥션을 통한 주택 판매가 감정가보다 20% 높은 금액,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가 11% 높은 금액으로, 두 방법 간에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가장 낮은 격차를 보인 지역은 노스쇼어로 옥션 통한 주택 판매가 감정가보다 15% 높고,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가 감정가보다 12% 높은 금액으로 각각 조사됐다.

평균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와이타케레에서는 옥션 통한 주택 판매가 감정가보다 20%나 높은 금액으로 오클랜드 시티와 함께 가장 높았으나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 또한 감정가보다 15% 높은 금액으로 모든 지역 가운데 선두를 보였다.

마누카우의 경우 옥션 통한 주택 판매가 감정가보다 17% 높은 금액,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가 13% 높은 금액을 각각 기록했다.

옥션 매매 사상 최고
전국적으로 옥션을 통한 주택 매매는 지난 3월 2,267건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주택 매매의 25%를 넘는 실적으로 지난해 3월에 비해서도 604건 증가한 것이다.

대출 상담사 브루스 패턴(Bruce Patten)은 “주택 공급이 부족하고 현금 바이어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옥션은 집주인에게 높은 판매 가격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옥션 매매의 대부분은 오클랜드에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오클랜드 주택 매매의 절반 정도는 옥션에 의해 차지하고 있다.

오클랜드 주택 매매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바풋 앤드 톰슨(Barfoot & Thompson)에 따르면 자사에 등록된 주택 매물의 55~60%가 옥션이고, 80~85%가 옥션 당일 또는 2일 이내에 팔려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의 피터 톰슨(Peter Thompson) 사장은 “서로 응찰하는 두 세 명이 있으면 호가는 대개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에서 받을 가격 이상으로 올라간다”며 “집값이 상승세인 상황에서 감정가 이상으로 팔리고 있어 옥션은 집값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고 말했다.

뉴질랜드부동산협회 콜린 밀네(Colleen Milne) 회장은 현재의 오클랜드 주택 시장이 옥션에 좋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밀네 회장은 “매물이 부족해지면서 높은 가격이라도 집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있다”며 “하지만 모든 에이전트들이 옥션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어서 생애 첫 집 구입자들을 타겟으로 하는 남부 및 서부 오클랜드의 저가 주택들은 옥션보다는 당사자간의 직접 매매를 유도한다”고 말했다.

‘최저 가격’공개하는 옥션 등장
옥션에서 집주인은 최저 가격(reserve price)을 비밀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옥션을 통한 주택 매매가 활성화되면서 최저 가격을 공개하는 경우도 등장하고 있다.

지난달 옥션을 실시한 포인트 슈발리에(Pt Chevalier) 소재 한 주택은 옥션 전에 94만달러의 최저 가격이 공개됐다.

감정가가 84만달러인 695제곱미터 면적의 방 3개짜리 이 주택은 옥션에서 120만달러에 팔려 집주인은 자신이 세웠던 최저 가격보다 26만달러를 더 받았다.

이 같은 새로운 옥션 방법은 해당 주택의 옥션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주택 보고서 등 사전 조사에 돈과 시간을 투자하기 전에 자신의 자금으로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옥션을 성사시킨 부동산 에이전트 로렌스 본 스터머(Lawrence von Sturmer)는 “주택 보고서 발급 등의 듀 딜리젼스(due diligence)에 수 천 달러를 지출하고 옥션에 참가했으나 최저 가격이 자신이 계획했던 한도를 넘는 사실을 알고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며 “새로운 옥션 방법은 옥션 당일 실제로 관심있는 사람들을 더욱 많이 끌어 모아 결과적으로 판매 가격을 올리는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빌더 보고서, LIM 보고서 등에 소요되는 듀 딜리젼스 비용은 최고 5,000달러까지 소요되어 옥션 참가 희망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이 부족한 생애 첫 집 구매자들은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이러한 절차를 생략하다가 오히려 더 큰 손해를 당하기도 한다.
  
집값은 오르고 금리는 내리고
오클랜드 집값은 계속 오르고 있으나 대출금리는 내리고 있어 주택 소유자들에게 우호적인 환경을 주고 있다.

쿼터블 밸류(QV)에 따르면 오클랜드의 평균 집값은 지난달 처음으로 80만달러 대를 돌파했다.

오클랜드 집값은 지난 3개월간 4.3%, 지난 1년간 14.6%, 그리고 마지막 피크였던 2007년 하반기 이후로는 48.1% 급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적으로 지난 1년간 집값 상승률은 8.3%를 기록했다.

이제 부동산은 뉴질랜드인들의 자산에서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

QV의 안드리아 러시(Andrea Rush) 대변인은 “지난 6개월 동안 오클랜드 집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냈다”며 “연간 순이민자가 5만4,000명으로 기록적인 수준이고, 그들의 절반 정도가 오클랜드에 정착하며 주택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 오클랜드 집값은 올해 남은 기간에도 오름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국통계협회가 최근 발표한 ‘주택시장의 붐, 붕괴와 정상 시기’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오클랜드의 주택 붐은 당분간 지속되고, 오래 지속되면 될수록 제재 효과가 떨어질 것으로 지적됐다.

1970년 이후 뉴질랜드를 포함한 20개 선진국들의 통계를 분석한 이 보고서는 주택 사이클이 상승기일 때 정부가 기다려 보자는 대응을 오래 하면 할수록 집값 상승은 걷잡을 수 없게 확산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걷잡을 수 없는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주택 붐이 26분기가 되기 전에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결론이다.

뉴질랜드에서는 국민당 정부보다는 중앙은행이 주택 시장 거품에 대해 더욱 걱정하고 있다.

지난 2013년 10월 대출규제 조치를 시행한 중앙은행은 지난 13일 오클랜드 소재 주택을 구입하는 주택 투자자를 겨냥한 대출규제를 오는 10월부터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0월부터 오클랜드에서 주택을 구입하려는 주택 투자자는 주택가격의 70%를 넘는 자금을 대출받을 수 없다.

부동산 투자자들의 대출 가운데 절반 정도가 70% 비율을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클랜드 주택 거래에서 부동산 투자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40%가 넘고, 특히 지난 2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해 렌트비 상승 등 부작용과 효과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앙은행은 주택 투자자에 대한 대출 강화가 오클랜드 집값을 2~4% 하락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투기판이 돼버린 주택시장

댓글 0 | 조회 6,775 | 2015.09.23
오클랜드 주변에서 팔린 지 얼마 안된 주택이 다시 매물로 나오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심지어 새로운 주인을 맞은 신축 주택이 이틀 후에 매물로 나와 화제… 더보기

부동산 세금 추적에 열 올리는 세무당국

댓글 0 | 조회 6,015 | 2015.09.10
부동산 거래가 급증하면서 세무당국의 활동 또한 분주해지고 있다. 뉴질랜드 세무당국인 IRD는 특별팀을 구성하여 부동산 투자자들의 탈세 행위를 적발하는데 혈안이 돼… 더보기

유효기간 10년으로 늘어나는 NZ여권

댓글 0 | 조회 9,227 | 2015.09.10
뉴질랜드 여권(passport) 유효기간이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된다. 여권 업무를 담당하는 내무부(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 더보기

NZ국기, 정말 바뀌려나?

댓글 3 | 조회 7,041 | 2015.08.27
▲ 뉴질랜드(왼쪽)와 호주 국기 최근 뉴질랜드 국내언론에 가장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주제는 단연 ‘국기 교체’와 관련된 기사들이며 이에 대한 논쟁은 오는 11월에 … 더보기

‘캐주얼’ 인종차별의 증가

댓글 0 | 조회 7,374 | 2015.08.26
지난달 노동당이 부동산 중개회사 바풋 앤 톰슨(Barfoot & Thompson)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나와 있는 성(姓)을 근거로 오클랜드 주택시장 과열… 더보기

드론, 우리에게 어떤 존재?

댓글 0 | 조회 6,038 | 2015.08.13
▲ 미사일과 폭탄을 장착한 리퍼(Reaper) 지난 7월 22일(토) 뉴질랜드 ‘민간항공국(Civil Aviation Authority, CAA)’은 새로운 ‘드… 더보기

부동산 시장에 일고 있는 물결효과

댓글 1 | 조회 5,697 | 2015.08.12
부동산 시장에서 물결효과(ripple effect)는 어떤 한 지역의 부동산 가격 오르내림세가 나라 전체 부동산 가격에 파급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 더보기

한 여고생의 발언에 담긴 교육 현실

댓글 0 | 조회 5,632 | 2015.07.29
변변한 교과서가 없고 참고서도 풍부하지 않을뿐더러 내용도 불충분한 뉴질랜드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교사가 성실하게 지도하지 않는다면 … 더보기

마오리 개는 왜 사라졌을까?

댓글 0 | 조회 6,572 | 2015.07.29
▲ 웰링톤 박물관에 남은 쿠리 박제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웰링톤의 ‘테 파파(Te Papa)’에 가면 지금은 볼 수 없는 개 한 마리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다른… 더보기

뉴질랜드 달러화의 추락

댓글 0 | 조회 8,697 | 2015.07.15
많은 뉴질랜드인들은 지난 4월 7일 뉴질랜드 달러화가 사상 처음으로 호주 달러화와 동등한 가치가 될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 전날 99.78호주센트에 마감된 환… 더보기

인공위성 품은 로켓 발사의 꿈

댓글 0 | 조회 5,508 | 2015.07.14
▲ ‘Electron’ 로켓 앞에 선 피터 벡(Peter Beck) 대표 지난 7월 초에 국내 각 언론에는 크라이스트처치 외곽의 한 목장지대에 인공위성을 탑재한 … 더보기

정부의 근시안적인 키위세이버 정책

댓글 0 | 조회 7,208 | 2015.06.24
오는 7월이면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지 8주년을 맞는다. 뉴질랜드 국민의 저조한 가계 저축을 높여 노후에 대비하고 가계 부문의 높은 부동산 자산 … 더보기

추운 겨울 뜨겁게 달구는 교복 논쟁

댓글 0 | 조회 6,174 | 2015.06.23
아침이면 집 정원은 물론 공원 잔디밭에도 하얗게 서리가 내려 앉은 가운데 하얀 입김을 불며 등교하는 학생들의 모습이 별로 낯설지 않게 느껴질 만큼 본격적인 겨울로…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새로운 부동산 세금

댓글 0 | 조회 8,253 | 2015.06.10
지난달 17일 존 키(John Key) 총리는 주택 구입 후 2년 이내에 매각한 투자 주택에 대해 오는 10월부터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키 총… 더보기

앉지 말고 서서 일하자

댓글 0 | 조회 7,352 | 2015.06.10
최근 뉴질랜드의 한 신문에서 ‘서서 일하기’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해당 신문은 특집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리는 방식으로 직장인들이 앉아서 일하는 지금… 더보기
Now

현재 ‘옥션’으로 팔 때 집값 높다

댓글 0 | 조회 6,273 | 2015.05.27
주택 시장의 열기가 식을 줄 모르면서 주택 매매도 계속해서 활기를 띠고 있다. 집을 팔려고 내놓는 집주인들은 누구나 더욱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할 것이다. 오클랜… 더보기

QS 평가로 본 NZ 대학의 학과별 위상

댓글 0 | 조회 9,901 | 2015.05.27
지난 4월말 영국의 대학평가 전문기관인 ‘쿼커렐리시먼즈(Qucquarelli Symonds, QS)’가 ‘QS 세계 대학 36개 전공별 순위(QS World Un… 더보기

어려워진 NCEA를 통과하려면

댓글 1 | 조회 5,400 | 2015.05.13
지난호 포커스에서는 고등학교 NCEA, 특히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요구되는 UE(University Entrance)가 어려워져 많은 학생들이 본인이 원하는 대학… 더보기

사이버 사기꾼의 e메일 “날 잡아봐라!”

댓글 0 | 조회 3,393 | 2015.05.13
▲ 피해자가 전송 받았던 강아지 사진 <사이버 사기 피해금액이 연간 4억불?> 오늘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컴퓨터를 포함한 인터넷으로 사회 구석… 더보기

대학에 낙방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댓글 1 | 조회 4,584 | 2015.04.30
지난해 고등학교 NCEA 합격률은 레벨 1, 2, 3 모든 과정에서 2013년에 비해 향상됐다. 그러나 유독 UE(University Entrance)는 급격하게… 더보기

Smoking-Free 2025, 목표대로 이뤄질까?

댓글 0 | 조회 6,130 | 2015.04.29
▲ plain packaging 담뱃갑 뉴질랜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는 나라 안에서 담배를 완전히 추방하겠다는 야심에 찬 목표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제안은…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Ⅱ)

댓글 0 | 조회 3,100 | 2015.04.15
▲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열린 컬쳐 갈로아 모습 지난 3월 10일 ‘아시아 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 더보기

총체적 난국에 빠진 오클랜드 市政

댓글 0 | 조회 4,604 | 2015.04.14
오클랜드 카운슬과 그 산하기관들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엄청난 빚에 허덕이면서 불필요한 곳에 돈을 펑펑 지출하는가 하면 시장과 시의원들이… 더보기

부모 도움 없인 내 집 마련 어렵다

댓글 0 | 조회 5,607 | 2015.03.25
천정부지로 오른 집값과 대출 규제 정책으로 젊은이들의 내 집 마련이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어려워졌다. 이제 부모의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고서는 주택 구입이 힘들어… 더보기

다양성 더욱 확대된 NZ의 인적 구성

댓글 1 | 조회 5,546 | 2015.03.24
지난 3월 10일에 ‘아시아뉴질랜드재단(Asia NZ Foundation)’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 지역으로부터 뉴질랜드로 유입된 이민자들의 시대별 변화 추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