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평하지만 정부 해결책 없는 과세 시스템

불공평하지만 정부 해결책 없는 과세 시스템

rosenz
0 개 5,540 JJW

부유층이 서민에 비해 세금을 적게 내는 것으로 최근 밝혀지면서 뉴질랜드의 과세 제도가 심각하게 불공평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뉴질랜드의 최상위 부유층이 소득의 9.4% 밖에 세금으로 납부하지 않아 중간 소득자 평균인 20.2%는 물론, 최저임금 근로자의 10.5%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2년여의 장기 조사 끝에 이러한 보고서를 발표하고도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일부 부자들은 자신들이 대부분의 사람보다 세금을 적게 내고 있다며 세금을 더 내게 해달라는 공개서한을 정치인과 국민들에게 보냈다. 조세 제도에 얽힌 이러한 모순적인 상황에 대해 알아본다. 


15c943ee332c5d3973784c3c28a804bd_1686625932_5656.png
 

최상위 부유층 실질 세율 9.4% 불과 


IRD는 지난 4월 최상위 부유층 311가구가 낸 세금에 대한 보고서를 공개했는데, 이들이 경제소득의 9.4%밖에 세금으로 납부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경제소득이란 개인의 재화 또는 서비스 소비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들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으로 자본이득과 부동산 소유 혜택 등도 포함된다. 


최상위 부유층의 실질 세율 9.4%는 중간 소득자 평균인 20.2%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최저임금 근로자의 10.5%보다도 낮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유층의 실질 세율이 낮은 이유는 이들 소득의 80% 가까이가 자본이득이기 때문이다. 


IRD는 이번 보고서를 위해 부유층의 세금을 조사할 수 있는 법적인 특별 권한과 2년의 조사 기간, 300만달러의 비용을 들였다.


열심히 일하는 많은 사람들은 이번 조사 결과를 보고 사기를 당한 감정을 느낄 수도 있지만 보고서는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최상위 부유층 311가구는 1억600만달러의 중간 순자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들 최상위 부유층은 2018년에 약 800만달러의 중간 경제소득을 올려 약 64만2,000달러의 세금을 납부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의 70% 정도는 트러스트를 통해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 회계연도에는 146억달러의 경제소득을 올렸지만 임금•급여와 같은 전통적인 과세 대상 소득의 비중은 약 7%에 그쳤다.


나머지는 대부분 과세되지 않는 투자소득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자본이득은 변동성이 심해서 최상위 부유층의 실질 세율은 해마다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2021 회계연도에는 자산 가격이 폭등해 부유층의 실질 세율은 떨어졌다는 것이다.


최상위 부유층들은 또한 트러스트나 회사, 법인 등을 이용하여 개인 최고 소득세율보다 낮은 세율로 세금을 내고 있었다.


최상위 부유층의 소득 가운데 19%는 부동산에서 발생했다.


조사를 담당한 IRD는 이들 최상위 부유층이 모든 세금 신고 조건을 충족했고 어떠한 범법 행위의 증거가 없었다고 밝혔다.


국민당의 니콜라 윌리스(Nicola Willis) 재무 대변인은 “노동당이 근로자들로부터 높은 세금을 걷으면서 부자들의 자본소득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고 있다”며 “조세 정책을 개선하지 않아 과세 불공평은 커졌다”고 비난했다.


녹색당의 클로에 스와브릭(Chloe Swarbrick) 조세 대변인은 “이번 보고서는 조세 제도의 불공평성을 확인해 준다”며 “공정한 조세 제도의 유일한 장벽은 정치적 의지이다”고 주장했다.


오클랜드 대학의 크레그 엘리프(Craig Elliffe) 교수는 “이번 보고서는 현행 조세 정책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며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의미 있는 조세 정책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납세자연합의 조단 윌리엄스(Jordan Williams) 대변인은 최상위 부유층이 경제소득의 9% 정도만을 세금으로 납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부분은 실현되지 않은 자본이득이라고 지적했다.


회계법인 올리버 쇼(Oliver Shaw)의 로빈 올리버(Robin Oliver) 대표는 IRD 보고서가 너무 많은 가정을 해서 뉴질랜드의 조세 제도가 망가진 것처럼 보이게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 IRD 부총장인 그는 뉴질랜드의 세금 규정은 공정하고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할수록 세금도 증가한다고 덧붙였다.



과세 불공평 인정하지만 대응책 내놓지 않는 정부


데이비드 파커(David Parker) 조세장관은 “오랫동안 조세 제도가 불공평하다고 믿어왔는데 이번 보고서는 그것을 증명한다”며 “정부는 보다 공평한 조세 제도를 만들 수도 있지만 아직 새로운 조세 정책을 발표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파커 장관은 지난 두 차례의 총선에서 양도소득세 도입을 주장했고 아직도 그런 개인적인 견해에 변함이 없다고 내비쳤다.


그는 알려야 할 조세 변화가 있다면 올 총선에서 노동당의 조세 정책을 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총리도 양도소득세나 부유세 등의 세제 변경은 없다고 못박았다.


지난달 18일 발표된 2023년 예산에서 트러스트의 세율이 기존 33%에서 내년 4월부터 개인 최고 소득세율과 같은 39%로 인상됐다.


그랜트 로버트슨(Grant Robertson) 재무장관은 트러스트 세율 인상으로 더욱 많은 고소득자들에게 최고 소득세율이 적용돼 매년 3억5,000만달러의 세금이 추가로 걷힐 것으로 보고했다.


하지만 세금 전문가들은 트러스트 세율 인상이 패밀리 트러스트를 가진 중간 소득자들에게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딜로이트 뉴질랜드(Deloitte NZ)의 로빈 워커(Robyn Walker) 회계사는 “뉴질랜드에 약 40만개의 트러스트가 등록돼 있다”며 “33% 이하의 개인소득세를 내는 중간 소득 투자자들이 임대용 부동산을 패밀리 트러스트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의 임대소득이 크지 않더라도 이제 모두 39%의 세율을 적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금 제도를 공평하게 만들 묘책은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디오 뉴질랜드(BDO NZ)의 알란 스콧(Alan Scott) 회계사는 트러스트를 가지고 있는 중간소득자들은 이제 그들의 트러스트를 어떻게 조직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러스트를 통한 소득을 가지고 있는 사업체들도 이번 세율 변화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부자들 “세금 더 내게 해주세요” 공개서한


과세 형평에 대한 논란이 일어난 가운데 기업인, 유명인, 전직 공직자 등 부자 96명은 이례적으로 지난달 11일 ‘납세를 통한 부의 공유’라는 제목으로 정치인과 국민들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통해 더 높은 세율로 세금을 내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특히 정치인들을 향해 단도직입적으로 세금을 더 낼 수 있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내게 하는 조세 제도를 만들어달라고 밝혔다.


이들은 최상위 부유층 311가구가 실질적으로 납부한 세금이 소득의 9.4%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정부 보고서와 관련, 이는 부자들의 소득이 대부분 통상적으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자본이득이기 때문으로 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가 도로, 병원, 학교 등 과거 세대의 세금으로 구축된 인프라의 혜택을 입었다는 것을 안다”며 “우리가 세금을 얼마나 내고 있는지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고, 우리는 더 많은 세금을 내고 싶어 한다”고 편지에 적었다.


또 “재정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우리가 징세에 반대하는 사람들로 생각될지도 모른다”며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성공에 세금도 일부 기여했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세금이 교육, 환경보호, 의료 등 사회 전반에 쓰이는 만큼 당면한 각종 문제를 위해서도 세금을 더 낼 수 있는 사람들에게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우익 액트당의 데이비드 시모어(David Seymour) 대표는 “부자들이 세금을 더 내겠다는 말을 늘 하고 있다”며 “다른 사람들을 돕고 싶다면 당장 자기 주머니에 손을 집어넣어서 그렇게 하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개서한에 서명한 사람은 순재산 3억달러 상당의 헬스장 체인 레즈 밀스(Les Mills) 창업자 필립 밀스(Phillip Mills), 유명 배우 로빈 말컴(Robyn Malcolm), 전 보건위원장 롭 캠벨(Rob Campbell), 전 인종관계위원장 수잔 디보이(Susan Devoy)를 비롯해 기업인, 유명인, 전직 공직자, 대학 교수 등 다양하다.



불공평한 과세 제도의 원인으로 꼽힌 양도소득세 부재


과세 제도는 누진적이어야 한다.


즉 소득이 많을수록 세금도 많이 내야 한다.


하지만 이번에 IRD가 최상위 부유층 311가구의 표본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뉴질랜드 과세 제도가 누진적이지 않다는 점을 보여 준다.


가장 큰 이유로 양도소득세(Capital Gains Tax)가 없다는 사실이 지적된다.


양도소득세는 미국과 영국에서 1950년대 도입하였고, 이웃 호주도 1985년부터 시행하는 등 대부분의 선진국가들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실시중인 이 세금이 뉴질랜드에는 없어서 사람들이 세금없는 부동산에 투자하게 되었고 조세 회피를 찾아 비생산적인 자산에 열을 올리게 되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그렇다고 뉴질랜드에서 현재 양도소득세가 전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지난 2015년 10월부터 실시된 ‘브라이트 라인 테스트(bright line test)’는 실질적인 양도소득세 형태이다.


당시 국민당 정부는 오클랜드 주택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패밀리 홈이 아닌 주거용 주택을 2년 이내에 판매한 경우 시세 차액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브라이트 라인 테스트를 도입했다.


노동당 정부는 그 기간을 2년에서 5년으로, 다시 10년으로 늘렸다.


지난 2019년 2월 세금 제도 개선안 마련을 위한 특별기구인 세제자문단(Tax Working Group)은 포괄적인 양도소득세 도입을 추천했지만 당시 노동당 연립정부는 채택하지 않았다.


연립정부를 구성했던 뉴질랜드제일당의 반대와 총선에서의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했던 것이다.


일부 조세 전문가들은 과세 불균형을 막기 위한 포괄적인 양도소득세 도입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회계법인 베이커 틸리 스테이플스 로드웨이(Baker Tilly Staples Rodway)의 앤드류 딕키슨(Andrew Dickeson) 이사는 “어느 나라도 완벽한 공평성을 보장하는 조세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고 일부 세금은 준수비용이 실제 세수보다 크다”며 “뉴질랜드는 포괄적인 양도소득세를 가지지 않은 소수 국가이지만 양도소득세는 복잡하고 골치 아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부유층들이 트러스트를 이용하는 사실에 비추어 뉴질랜드도 상속세에 대한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세계적인 회계•경영컨설팅 업체 KPMG의 레베카 아모우어(Rebecca Armour) 회계사는 “이번 IRD 보고서로 양도소득세가 분명하게 쟁점으로 떠올랐다”며 “양도소득세의 실질적인 문제 가운데 하나는 소득 측정을 실현 기준으로 할지, 아니면 미실현 기준으로 할지 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악 외래종 해초 침입한 NZ 바다

댓글 0 | 조회 3,750 | 2023.06.14
평소에도 외국에서 온 갖가지 동식물로 가뜩이나 골치가 아픈 뉴질랜드에서 이번에는 바다에서 급속히 퍼지는 외래 침입종으로 비상이 걸렸다.문제의 해초는 ‘카울러퍼(c… 더보기
Now

현재 불공평하지만 정부 해결책 없는 과세 시스템

댓글 0 | 조회 5,541 | 2023.06.13
부유층이 서민에 비해 세금을 적게 내는 것으로 최근 밝혀지면서 뉴질랜드의 과세 제도가 심각하게 불공평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뉴질랜드의 최상위 부유층이 소득의 … 더보기

예산 적자에 비상 걸린 오클랜드시

댓글 0 | 조회 6,262 | 2023.05.24
오클랜드 카운슬이 통합 13년 만에 가장 어려운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오는 7월부터 시작되는 2023/24 예산에서 3억달러가 넘는 대규모 예산 적자를 예상하면… 더보기

불, 불, 불조심의 계절, 내게 맞는 화재경보기는?

댓글 0 | 조회 2,053 | 2023.05.23
5월 16일(화) 한밤중 이른 시간에 웰링턴 대형 호스텔에서 난 큰불로 인해 최소한 6명이 숨지고 부상자도 여럿 나온 가운데 19일(금) 현재 실종자가 많아 사망… 더보기

새로운 장 여는 뉴•호 관계

댓글 0 | 조회 6,972 | 2023.05.10
오는 7월부터 호주에서 4년 이상 거주한 뉴질랜드 시민권자는 영주권 신청 없이도 바로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 호주에 거주하는 뉴질랜드인들에 대한 이같은 … 더보기

100만 불 유산 놓고 다툰 고모와 조카들

댓글 0 | 조회 5,788 | 2023.05.09
뉴질랜드가 갈수록 고령화가 심해지는 가운데 부동산 가격도 크게 오르면서 최근 언론에서는 후손들이 유산을 놓고 법정 싸움을 벌였다는 뉴스가 종종 전해져 사람들의 관… 더보기

다른 길 가는 뉴질랜드 경제와 호주 경제

댓글 0 | 조회 8,586 | 2023.04.26
태즈먼 해를 사이에 두고 있는 뉴질랜드와 호주가 최근 대조적인 경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양국이 공통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문제를 겪고 있는 가운데 이달 들어 호… 더보기

따뜻한 겨울, 어떤 히터로?

댓글 0 | 조회 3,394 | 2023.04.25
아침이면 최저기온이 10℃ 이하로 내려가고 비가 잦아지는 등 계절이 본격적으로 겨울로 접어들면서 이미 상가에는 갖가지 난방기기가 등장한 지 오래이고 TV에서도 난… 더보기

어떤 커튼과 블라인드가 보온에 좋을까?

댓글 0 | 조회 4,035 | 2023.04.12
아침과 밤 기온이 차츰 내려가면서 계절이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살다보면 매년 겨울이 되면 집 안을 어떻게 따뜻하게 만들지를 자주 고민에 빠… 더보기

침체한 주택시장 반영하는 매매 급감

댓글 0 | 조회 5,148 | 2023.04.12
주택시장의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주택시장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인 주택 매매량이 4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주택가격의 하락세도 계속되면서 평균… 더보기

팬데믹이 교육에 미친 긴 영향

댓글 0 | 조회 2,681 | 2023.03.28
정부가 지난달 학생들의 무단결석을 줄이기 위해 출석 사무관들을 추가 배치하는 등 7,400만달러를 투입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규칙적으로 등교하는 학생들이 절반을 … 더보기

“대의를 위해 기꺼이…” 우크라이나에서 전사한 마오리

댓글 0 | 조회 2,464 | 2023.03.28
작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1년 넘도록 이어지면서 엄청난 피해가 나고 있다.서방권을 중심으로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를 원조하는 가운데 외… 더보기

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댓글 0 | 조회 8,628 | 2023.03.15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와 2월 사이클론 가브리엘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내었고 많은 주택들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드러내 주었다. 특히 뉴질랜드 최대 도… 더보기

하늘에 강물이 흐른다?

댓글 0 | 조회 4,004 | 2023.03.14
뉴질랜드가 대형 기상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은 보통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로 2월에 절정에 달하는데, 올해는 시작하자마자 ‘사이클론… 더보기

인기없는 정책들 버리고 생활비 위기에 올인하는 신임 총리

댓글 0 | 조회 5,766 | 2023.03.01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신임 총리가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전 총리 시절 노동당 정부가 추진하던 논란많은 정책들을 폐기하거나 … 더보기

사망 10% 넘게 늘고 10대 출산은 절반으로…

댓글 0 | 조회 3,260 | 2023.02.28
지난주 뉴질랜드 통계국은 작년도 국내 인구 동향과 관련된 통계를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12월 말 현재 국내 인구는 남자가 255만 6100명, 그리고 여자가 25… 더보기

총리 사임과 다가올 총선

댓글 0 | 조회 2,852 | 2023.02.15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지난달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하고 10월에 열리는 총선에도 불출마하겠다고 밝혔다. 아던 총리의 후임으로 크리스 힙… 더보기

점점 작아지는 집, 북섬은 건축허가 감소

댓글 0 | 조회 6,246 | 2023.02.14
2000년대 들어 한때 더 큰 집을 짓던 경향이 나타났던 뉴질랜드에서 2010년대 이후부터는 새로 짓는 집의 크기가 갈수록 작아지고 있다.여기에는 1인가구를 비롯… 더보기

물가 잡으려 의도적으로 불황 일으키려는 중앙은행

댓글 0 | 조회 7,330 | 2023.02.01
중앙은행은 최근 물가 안정을 위해 의도적인 경기후퇴를 일으키려 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급격한 금리 인상에 나섰던 중앙은행이 경기… 더보기

아던 총리 전격 퇴진, 새 총리에 크리스 힙킨스

댓글 0 | 조회 3,390 | 2023.01.31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신임 총리가 2023년 1월 25일(수) 선서식을 마치고 제41대 뉴질랜드 총리로 정식 취임했다.이보다 앞서 1월 19일… 더보기

이민부의 고질적인 심사 적체

댓글 0 | 조회 6,274 | 2023.01.18
정부는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업종에 대한 이민 문호를 확대했다. 이에 따라 간호사와 조산사를 포함한 10개 직업을 ‘이민 그린 리스트’에 포함하고 버스 … 더보기

너무도 슬펐던 크리스마스의 기적

댓글 0 | 조회 3,708 | 2023.01.17
한 해가 바뀌기 직전이었던 지난 2022년 12월 30일(금).전 세계 언론에는 호주 서부에서 발생한 안타까우면서도 기적을 본 듯한 교통사고 소식이 일제히 실렸다…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2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909 | 2022.12.21
■ 인플레 대란2022년은 인플레이션이 한해 내내 괴롭힌 힘든 시기였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영향 등으로 연초부터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3달러 이상으로… 더보기

고요하고 거룩한 평화의 크리스마스

댓글 0 | 조회 1,786 | 2022.12.20
2020년 초반부터 시작된 코비드-19 팬데믹이 여전히 인류의 삶을 불편하게 했던 가운데 또 한 해가 시나브로 저물고 있다.올해 역시 갖가지 크고 작은 뉴스가 T… 더보기

얼어붙은 주택시장 … 집값 11년 만에 연간 하락

댓글 0 | 조회 7,795 | 2022.12.07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집값이 1년전 가격보다도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연간 기준으로 떨어진 것은 2011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집값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