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7] 변화하는 뉴질랜드 사회

[357] 변화하는 뉴질랜드 사회

0 개 3,810 KoreaTimes
작년 3월에 실시된 인구 센서스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5년마다 실시되는 센서스 발표 결과를 보면 지난 5년간 뉴질랜드 사회의 변화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센서스에서는 아시안 인구의 빠른 증가가 가장 큰 특색으로 나타났다. 이번 센서스에 담긴 뉴질랜드 사회의 변화상을 알아봤다.


뉴질랜드내 한국인 인구 2006년 현재 30,792명

이번에 발표된 인구 센서스는 2006년 3월 7일을 기준으로 실시된 것으로 뉴질랜드에 거주했던 사람이면 누구나 해당되며 장기 체류 여행자들도 포함됐다. 뉴질랜드에서 센서스는 5년마다 실시되는데 정부가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정확한 인구를 조사해 교육, 보건, 주택건설, 투자 계획 등을 세우는 기본자료가 된다.

2006년 센서스에서 한국인은 3만792명으로 집계돼 아시아 출신들 중에서 중국인(14만7570명)과 인도인(10만4583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필리핀인 1만6938명, 일본인 1만1910명, 스리랑카인 8310명, 캄보디아인 6918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아시안으로 분류된 35만4552명 가운데 한국인의 비율은 8.7%이다.


한국인은 2001년 센서스

서비스 때 1만9026명으로 조사됐는데 그 때에 비하면 61.8% 늘어 증가율 면에서 68.2% 를 기록한 인도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시험 도입 등으로 이민 요건이 강화되기 이전 인 2001년과 2002년에 장기사업비자 등으로 한국인 이민자들이 쇄도한 데 따른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기술이민 요건이 IELTS 영어시험 6.5점으로 상향 조정되고 투자이민과 장기사업비자 등에도 영어시험이 도입되면서 한국인 이민 신청자가 뚝 끊긴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뉴질랜드 출생 한국인 증가

흥미로운 사실은 한국에서 태어난 뉴질랜드 거주 한국인이 2만8806명으로 집계돼 1986명 정도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한국인 2세로 추정된다. 이는 2001년 센서스의 1095명에 비해 81.4% 증가한 것으로 교민 1.5세들이 차츰 결혼 적령기에 이르면서 이 땅에서 태어나는 교민 2세들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 이민 역사 100년에 가까운 중국의 경우 14만7570명 가운데 중국에서 태어난 사람은 7만8117명으로 나머지 6만9453명 정도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돼 이미 다수가 뉴질랜드를 출생지로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아시아 출신자들의 숫자는 2001년 23만8176명에서 2006년 35만4552명으로 48.9% 늘어 다른 인종들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시안은 젊은 층이 많아 15~29세 사이 뉴질랜드 인구 가운데 아시안의 비중은 31%나 됐다. 뉴질랜드는 아직 전체인구 418만1060명 가운데 유러피언이 67.6%로 절대 다수를 이루고 있다. 마오리는 14.6%로 56만5329명, 아시안은 9.2%로 35만4552명, 퍼시픽 아일랜더는 6.9%인 26만5974명을 각각 차지하고 있다. 아시안 인구의 빠른 증가는 앞으로 20년안에 뉴질랜드 토착민인 마오리의 숫자를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아시아 이민자 3분의2 오클랜드 정착

아시아 출신자들의 주거 지역으로는 오클랜드가 가장 인기가 있어 3분의 2가 오클랜드 지역에 모여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클랜드는 인종적으로 가장 다양한 지역으로 56.6%의 유러피언에 이어 아시안이 18.9%로 두 번째로 많다. 즉 오클랜드 주민 5명 가운데 거의 1명 꼴로 아시안인 셈이다. 그 뒤로 퍼시픽 아일랜더가 14.4%, 마오리가 11.1%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오클랜드 지역 전체인구는 131만8700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들의 37%는 해외에서 태어난 사람들로 조사됐다.

해외에서 태어난 인구의 비율은 2001년 19.5%에서 2006년 23%로 꾸준히 높아졌다. 이제 뉴질랜드인 거의 5명중 1명은 해외에서 태어났다는 의미다. 나라별로는 영국이 20만2401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7만8117명), 호주(6만2742명), 사모아(5만649명), 인도(4만3344명) 순이다. 한국은 2만8806명으로 9위를 차지했다.

아시안 인구 증가 등으로 다중 언어 구사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구사하는 인구가 17.5%로 10년전 13.6%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힌두어 사용자는 5년전보다 두 배 늘어난 4만4589명에 달했고 만다린 사용자는 4만1391명으로 늘었다. 영어는 뉴질랜드인 95.9%가 사용하는 단연 주된 언어이고 마오리어가 4.1%로 두 번째로 조사됐다.


무종교 인구 늘어

한편 센서스 결과 종교가 없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5년전보다 26만9052명 늘어난 129만7104명의 뉴질랜드인들이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이는 전체인구 가운데 34.7%에 해당된다. 특히 젊을수록 무종교 비율이 높아 10명당 4명은 종교가 없다고 응답했다. 유러피언의 무신론적 경향이 점차 강해져 이들의 37.7%인 95만5250명이 종교가 없다고 조사된 반면 중동이나 아프리카 출신자들은 상대적으로 무종교가 적었다. 전체적인 종교 인구 감소 속에서도 가톨릭은 5년전보다 4.7% 증가한 50만8437명으로 55만4925명의 영국국교회(Anglicans)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종파로 조사됐다.

가톨릭 교단의 한 관계자는 이민자 증가와 자녀들의 가톨릭계 진학 등을 카톨릭 교인 증가 요인으로 꼽았다. 아시안, 특히 한국인과 퍼시픽 아일랜더들이 모이는 교회 수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이번 센서스 조사시 인종 기타란에‘'New Zealander'라는 항목을 처음 적용시킨 것에 대해 인종 통계를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2001년 센서스때‘European’항목에 포함됐던 것으로 기존 통계와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것. 유러피언 인구 비율이 2001 년 80%에서 2006년 67.6%로 급감했지만 상당수는 이 기타란의 ‘New Zealander’범주에 포함돼 있을 거라는 추정이다.

매시대학의 폴 스푼리(Paul Spoonley)교수는 이에 대해“정부가 2500만달러를 써가며 센서스를 실시해 놓고 인종 통계에 대해 커브볼을 던졌다”고 빗대었다. 스푼리교수는“정부는 이민자 수를 늘리는데 주력했으나 이제 그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일, 예를 들어 단기 일자리를 마련하는 등의 정착 지원책을 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질랜드인의 호주행 엑소더스

댓글 0 | 조회 5,775 | 2008.08.01
뉴질랜드인들이 경제적 이유 등으로 호주로 이주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이주 행렬이 더욱 많아져 뉴질랜드가 마치 장래 오시(A… 더보기

2008년 뉴질랜드 경제 전망

댓글 0 | 조회 4,487 | 2008.08.01
2007년 뉴질랜드 경제는 국내보다는 국제적인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와 신용경색, 치솟는 유가, 중국의 경제 과열로 인… 더보기

마오리의 이름으로

댓글 0 | 조회 4,169 | 2008.08.01
다음달 6일이면 와이탕기 조약이 체결된지 168주년이 된다. 이 조약으로 인해 뉴질랜드는 영국의 영토가 되었고 동시에 마오리는 그들의 땅과 문화에 대한 권리를 보… 더보기

올해 부동산 유망지역은 바로 여기

댓글 0 | 조회 5,581 | 2008.08.05
그 동안 이어졌던 뉴질랜드의 부동산 붐은 지난해 2분기를 끝으로 끝나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전국주택중간가격은 34만5,000달러로 4.… 더보기

급변하는 유학시장 환경

댓글 0 | 조회 5,032 | 2008.08.05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영어 공교육 방침에 유학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유례없이 강조하고 있는 신정부의 정책이 뉴질랜드 유학시장에 … 더보기

치솟는 환율, 美 87센트까지 간다

댓글 0 | 조회 5,166 | 2008.08.05
뉴질랜드 달러의 고공 행진이 작년 7월에 이어 다시 시작됐다. 미국 경제 침체로 인한 미 달러 약세, 투기적 일본 엔화 유입 등으로 촉발된 이번 환율 파동은 뉴질… 더보기

뉴질랜드 경제 격랑 속으로

댓글 0 | 조회 4,644 | 2008.08.05
고물가, 고유가, 고환율 등 삼고(三高)가 뉴질랜드 경제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부동산시장도 급속히 냉각되면서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경기후퇴 국면 … 더보기

'아시아로 아시아로'- 변화하는 뉴질랜드 외교정책

댓글 0 | 조회 4,206 | 2008.08.05
뉴질랜드가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한국과도 FTA 체결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모색을 꾀하고 있다. 영국 등… 더보기

부동산 시장 침체, 그래도 집 사기는 어려워

댓글 0 | 조회 5,591 | 2008.08.05
부동산 시장이 슬럼프를 맞아 구매자의 시장으로 바뀌었어도 내집 마련은 여전히 어려운 게 현실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뉴질랜드와 호주의 집값이 가계소득에 비해 가… 더보기

역이민, 또하나의 이민-김성기씨 사례

댓글 0 | 조회 8,758 | 2008.08.05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가 4,6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파악되… 더보기

생활비 급등으로 보통 가정도 '적자'

댓글 0 | 조회 4,708 | 2008.08.05
물가 상승이 장난이 아니다. 기름값은 리터당 2달러를 넘어 3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전기요금과 식품비 등 생활과 밀접한 모든 물가들이 줄줄이… 더보기

세금 감면 발표, 그후

댓글 0 | 조회 4,213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올 10월부터 세금을 감면하겠다고 발표했다.개인소득세 감면은 10월로 예정된 총선을 맞아 이미 예견된 것이었고 그 규모가 관건이었는데 여론조사 결… 더보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분할지분 주택구입제도'

댓글 0 | 조회 5,387 | 2008.08.05
뉴질랜드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저소득층의 내집 마련을 돕기 위해 '분할지분제도(Shared Equity Scheme)'를 실시한다. 정부가 주택소유율을 높이… 더보기

렌트 VS 내집마련

댓글 0 | 조회 6,303 | 2008.08.05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렌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정부의 주택마련 보조정책이 시행되고 내년부터 주택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 더보기

주택시장의 막강세력 베이비붐 세대

댓글 0 | 조회 4,202 | 2008.08.05
지난달 주택시장 지표는 여전한 침체를 나타내며 개선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주택시장의 불황은 주된 매수 주체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심화… 더보기

[365] 파이낸스회사 연쇄파산, 그 원인과 파장은?

댓글 0 | 조회 4,755 | 2007.09.24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뉴질랜드 파이낸스 회사들이 연달아 파산하고 있다. 지난 16개월 동안 문을 닫은 파이낸스 회사들은… 더보기

[364]'뉴질랜드-저렴한 생활비'는 옛말

댓글 0 | 조회 5,333 | 2007.09.10
뉴질랜드하면 저렴한 생활비가 이민 동기 가운데 하나가 되곤 했다. 많은 돈을 벌기는 힘들지만 생활비도 적게 들어 가기 때문에 적게 벌고 적게 쓸 수 있다는 선입견… 더보기

[363]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안전한가.

댓글 0 | 조회 4,536 | 2007.08.27
미국에서 비롯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문제가 전세계 경제와 주택시장에 일파만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부동산 시장은 매매가 끊기고 … 더보기

[362] 뉴질랜드달러, 고점 찍었나

댓글 0 | 조회 4,273 | 2007.08.13
뉴질랜드 달러가 지난 달 23일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미화 80센트 선을 돌파했다. 뉴질랜드가 1985년 변동환율제를 도입한 이후 22년 만에 최고치였다.… 더보기

[361] 무상교육 맞는 뉴질랜드 유아교육, 그 실상은

댓글 0 | 조회 5,962 | 2007.07.23
이 달부터 3~4세 유아교육에 있어서 주 20시간 무상교육이 실시된다. 뉴질랜드 무상교육 70년 사상 가장 큰 지원이 이뤄지는 정부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고 실시 … 더보기

[360] ‘재외국민 투표권’, 교민사회 위상정립 계기돼야

댓글 0 | 조회 3,464 | 2007.07.11
지난달 28일 재외국민 참정권을 인정한 한국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다. 헌재의 이번 결정은 한국 정치권뿐만 아니라 한국을 떠나 살고 있는 우리 교민들에게도 큰 파… 더보기

[359] 새로운 연금저축제도, KiwiSaver

댓글 0 | 조회 3,858 | 2007.06.25
7월 1일부터 새로운 연금저축제도인 키위세이버(KiwiSaver)가 시행된다. 저조한 가계 저축을 높이고 비정상적으로 높은 가계 부문의 부동산 자산 비중을 낮추기… 더보기

[358] 소득세 감면은 없었다.

댓글 0 | 조회 3,067 | 2007.06.11
2007 회계연도 예산안이 지난달 17일 발표됐다. 이번 예산안의 주된 관심사는 개인소득세의 감면에 있었다. 그러나 노동당 정부는 넘쳐 나는 재정흑자에도 불구하고… 더보기

현재 [357] 변화하는 뉴질랜드 사회

댓글 0 | 조회 3,811 | 2007.05.22
작년 3월에 실시된 인구 센서스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5년마다 실시되는 센서스 발표 결과를 보면 지난 5년간 뉴질랜드 사회의 변화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 더보기

[356] 기준금리 사상최고, 그 경제적 파장은?

댓글 0 | 조회 4,040 | 2007.05.07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달 26일 기준금리를 불과 7주만에 다시 인상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7.75%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고금리로 인한 뉴질랜드달러 강세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