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7] 노년을 위한 저축 충분하십니까?

[337] 노년을 위한 저축 충분하십니까?

0 개 4,137 KoreaTimes
웨스트팩 은행의 조사 결과 작년 가계지출은 수입보다 14%나 많았다. 돈 쓸 곳은 너무 많고, 돈 쓰기도 너무 쉬운 세상이다. 반대로 말하면 모으기도 그만큼 힘든 일이라는 이야기겠다.

  언제 어디서나 돈 관리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겠지만 올 해 들어 개인 자산과 저축, 연금에 대한 문제가 사람들 입에서 더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일부 가정들은 부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해내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것 때문에 밤잠을 설치기도 한다.

  무엇보다 장기적인 안 목으로 볼 때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가 우리의 궁극적인 문제가 될 것이다. 현재 뉴질 랜드 퇴직 위원회(Retirement Commission)의 주요 목표는 뉴질랜더들이 퇴직에 대해 재정적으로 잘 준비되고 일하는 동안 자신의 재정을 바로 잡아 놓도록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사람들이 실질적인 재정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  개인저축 꼴찌 뉴질랜드  *****

  뉴질랜드 경제가 만난 또 하나의 중요한 이슈는 바로 낮은 개인 저축률에 대한 것이다.
  뉴질랜드의 GDP대비 총 가계 저축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계속해서 뒷걸음을 치고 있으며 10년 이상 OECD국가들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2004년 총 가계 저축률은 6% 감소했는데 이는 GDP의 6%가 국내외의 다른 수입원을 통해 돈을 꾸어 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OECD 조사 결과 뉴질랜드는 '연금 및 생명보험 자산' 면에서 개인당 겨우 US$3,800의 자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입된 27개 나라 중 겨우 20위를 기록했다. 또한 위의 액수는 미국(US$74,300)의 1/20 정도에 해당 하는 적은 액수로 영국의 US$45,700, 덴마크 US$40, 100, 아일랜드 US$36,300, 호주 US$29,900와 비교하면 너무나 초라한 액수인 것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이러한 연금 및 생명보험 총자산을 GDP 대비로 볼 때는 27 개 국가 중 가까스로 23위에 올라 있어 노후를 대비한 경제적인 준비가 더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차 세계 대전 후 뉴질랜드의 베이비 붐 세대들은 노후에 대한 경제적인 준비가 아주 부족하기 때문에 다음 2,30년간 이들을 부양하게 될 납세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OECD의 통계에서는 뉴질랜드가 국내 저축 수준이 낮기 때문에 많은 돈을 해외로부터 빌려야 할 것임이 드러났다. 이러한 해외 차용은 현재의 신용거래 또는 지급 손실 잔액에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또한 낮은 저축은 다른 높은 저축을 가진 나라들이 뉴질랜드 회사들을 인수할 뜻을 비출 때 뉴질랜드 회사들이 강하게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  다른 나라들의 연금제도는?  *****

  가장 높은 저축률을 보이는 두 나라, 스위스와 아이슬 랜드는 의무적인 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스위스의 큰 기업들은 대부분 2차 세계 대전 후 연금 제도를 실시하기 시작했고 1972년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에 정식으로 포함되게 되었으며 80년대 중반에는 모든 기업들 에서 연금제도가 확대 의무화되었다.

  아이슬랜드는 3개의 연금제도가 함께 시행되고 있는데 모든 고용자들을 위한 의무 연금 제도와 개인연금 플랜을 위한 세금 인센티브를 포함하고 있다. 벌써 50여년 전에 이 제도의 기초가 잡히기 시작해 아이슬랜드 국민들은 그들의 받던 급여의 6,70%에 해당하는 연금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OECD 연금 자산 리스트에서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의무적인 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연금 플랜들을 제공하도록 기업들을 장려하고 있으며 노사 간에 이에 대한 타협이 이루어진다. 또한 정부에서 사람들에게 유용한 세금 특권을 줌으로써 대부분의 고용주와 직원들이 이 제도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OECD 국가들 중 의무 연금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는 1985년 덴마크와 핀란드를 시작으로 호주(1992), 멕시코(1997), 헝가리(1998), 폴란드(1999), 스 웨덴(2000), 슬로바키아 공화국(2005), 한국(2005), 노르웨이(2006) 등이다.

  이 달 초부터 실시된 노르웨 이의 연금제도는 고용주로 하여금 규정된 기여금이나 연금 제도를 확립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고용주는 직원 소득의 적어도 2%에 해당하는 금액을 반드시 제공해야 한다.

  한편 의무 연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나라에서는 대부분 저축을 장려하기 위한 세금 인센티브제가 갖추어져 있다. 그런데 자본 기여분과 투자수익에는 세금이 붙고 출금시에 세금이 제외되는, 흔히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간주되는 TTE방식을 가진 유일한 나라가 바로 뉴질랜드다. 연금 기여에는 세금 인센티브도 없고 투자 수입은 세금이 부과됨으로써 OECD 국가들 중에서 가장 매력적이지 못한 제도를 갖고 있는 것이다.
  

*****  KiwiSaver는 믿을 만 한 것일까  *****

  정부는 국내 저축 문제에 대한 우려 끝에 KiwiSaver 제도를 만들어 직장을 통한 개인 저축을 장려하려고 한다. 내년 3월부터 시작되는 KiwiSaver 제도는 자발적이고 또한 직장에 기초한 형태인데 직원들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자동적으로 KiwiSaver에 등록된다. 물론 원치 않으면 탈퇴할 수 있다. 고용주들은 직원들에게 지급되는 총 급여에서 KiwiSaver 해당액을 공제시키고 납세후 금액을 직원들에 의해 지정된 투자 계좌로 넘겨야 한다.

  KiwiSaver의 도입과 뉴질랜드 및 호주 지분에 대한 합동 기금의 자본 소득세를 없앤 것은 환영을 받을 만한 정책이 되겠으나 안타깝게도 이것은 너무 미미하고 또한 너무 늦은 움직임이다. 재정부의 Michael Cullen장관은 단기 예산안과 내년 3월 시작될 새로운 안들에 너무나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국가의 부족한 저축을 개선하는데 지금은 거의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다. 현재로서는 Kiwi Saver가 사람들의 지금까지의 저축 습관을 깰 만한 인센티브를 갖고 있지 않아 호주와 뉴질랜드 외부에서 투자된 합동 자금은 자본 소득세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뉴질랜드도 이제는 더 이상 늦출 수가 없는 때가 왔다.  의무적인 퇴직 연금제도 또는 EET(연금 자본금과 투자 회수 부분에 대해서 면세, 출금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 하는 방식) 계획을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EET 방식 도입할 때 65세 이상 노인들에게는 출금에도 세금을 면제하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뉴질랜드의 심각한 저축 실정에 더 마음 졸이게 하는  또 하나의 사실은 뉴질랜드 주변 국가들은 모두 의무 연금 제도를 갖고 있고 연금 자본이 빠른 속도를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호주만 해도 시시탐탐 뉴질랜드의 기업들을 넘보고 있는데 AMP대표인 Andrew Mohl은 최근 발표에서 호주의 사적 연금 자산이 다음 10년간 2조2천억 달러 증가할 것이고 2015년까지 3조억 달러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NZX(New Zealnad Exchange)의 전체 가치는 겨우 6백억 달러이니 다른 말로 하면 호주 의 투자자들이 2조2천억달러을 가지고 뉴질랜드 주식시장을 거의 40번 살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 것이다.

  뉴질랜드 기업들을 인수할 거대한 자본을 가진 호주가 꽤 부담스러운데 뉴질랜드는 그를 방어하기에 너무나 적은 자본을 갖고 있어 뉴질랜드가 점차 호주의 경제 식민지가 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최근 NAB (National Australia Bank)가 뉴질랜드의 BNZ의 매각 가능성에 대해 고려하는 최근 모습은 이런 움직임의 단면을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매각 가격이 나라 전체 개인 연금자본 자산의 10%를 훨씬 넘길 정도이니 팔리면 다시 사들일 수도 없는 위치다.

  멜버른 응용경제와 사회연구 위원회에서는 특별히 노년의 싱글 여성들이 같은 나이대의 싱글 남성들보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더 많이 겪고 있다고 발표했는데 재정 전문가 조나단 필롯은 어느 경우이든지 개인 연금을 통한 노후 대책이 최상의 방법이지만 그것도 일찍부터 시 작할 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임을 강조했다.

  복지국가, 세계에서 살기 좋은 나라에 항상 상위 순위에 오르는 뉴질랜드. 늘어나는 노인
인구에 저출산율, 거기에 이민자 감소와 해외로 이주하는 사람들의 증가가 계속해서 이어질 전망 속에 저축과 공사 부문에서의 연금 제도의 확대와 점차적인 의무 연금 제도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 학교 내에서의 재정 교육에 대한 확립도 미래를 위한 준비이겠다. 개인적으로는 초라한 노후, 국가적으로는 적은 재정으로 노인 복지에 허덕이는 일은 지금부터의 준비에 달려 있을 것이다.

[356] 기준금리 사상최고, 그 경제적 파장은?

댓글 0 | 조회 4,043 | 2007.05.07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지난달 26일 기준금리를 불과 7주만에 다시 인상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7.75%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고금리로 인한 뉴질랜드달러 강세로… 더보기

[355] 임금, 적절하게 받고 있습니까?

댓글 0 | 조회 3,951 | 2007.04.26
이달부터 법정 최저임금이 1달러 오른 11.25달러가 적용된다. 그러나 아직도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보수를 지급하는 교민업체들이 있는게 현실이다. 최저임금 인상… 더보기

[354] 부동산 투자, 시야를 넓혀라

댓글 0 | 조회 4,915 | 2007.04.10
★ 부동산 투자라면 흔히 오클랜드 지역의 주택 투자가 연상된다. 그만큼 접근하기 쉽고 정보 취득이 용이한 까닭이다. 그러나 오클랜드 집값이 뛰면서 더 이상 높은 … 더보기

[353] 딜레마에 빠진 기준금리정책

댓글 0 | 조회 3,878 | 2007.03.26
★ 중앙은행이 지난 8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물가, 특히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한 예정된 수순이었다. 뉴질랜드는 몇 년째 선진국 가운데 가장… 더보기

[352] 환율, 왜 떨어지지 않나

댓글 0 | 조회 5,811 | 2007.03.12
작년 금융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뉴질랜드달러의 약세를 예상했고 이에 따라 환율도 500원대 초반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기대로 한국으로부터 돈을 송금받아야 하는 교민들… 더보기

[351] 부동산 하락 사이클은 없다?

댓글 0 | 조회 4,606 | 2007.02.26
부동산도 사이클이 있다. 과거 뉴질랜드의 집값 변동을 살펴보면 이 사이클은 보통 7년이었다. 이 가설에 따르면 2000년부터 시작 된 상승 사이클에 이어 올해부터… 더보기

[350] 뉴질랜드 주식시장 A to Z

댓글 0 | 조회 15,937 | 2007.02.12
한국 교민들의 재테크 수단은 대부분 부동산 투자에 집중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본시장의 꽃이라 불리는 주식에 대한 관심은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게 사실이… 더보기

[349] 좋은 학교 선택의 기준은?

댓글 0 | 조회 4,827 | 2007.01.30
개학을 1주일여 앞두고 학생을 둔 가정에서는 2007학년도 학교 생활 준비에 바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학이나 전학을 고려하고 있는 가정에서는 학교 선택에 고심… 더보기

[348] 뉴질랜드 유학시장, 이대로 좋은가

댓글 0 | 조회 4,782 | 2007.01.15
뉴질랜드 유학 시장이 얼어 붙고 있다. 덩달아 교민 경제에도 먹구름이 잔뜩 끼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 달러화의 약세가 지속되어 약간 돈이 더 많이 든다면 … 더보기

[347] 새로운 이민법안, 달라지는 것은?

댓글 0 | 조회 5,928 | 2006.12.22
이 달 초 이민부의 David Cunliffe 장관은 새롭게 바뀔 이민법안을 내놓았다. 의회에서 통과되어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가려면 앞으로 몇 달간의 과정을 더 … 더보기

[346] 주택시장 인플레이션 어디까지?

댓글 0 | 조회 4,296 | 2006.12.11
높은 이율과 환율로 기업들은 현재 재미를 보고 있을지 모르겠으나 계속되는 주택시장 강세는 마치 심한 뇌우 전의 찌는 듯한 더위처럼 보일 수 있다. 리저브 뱅크는 … 더보기

[345] 자녀 체벌, 누구의 권리인가

댓글 0 | 조회 4,394 | 2006.11.27
-부모의 자녀 체벌 권리 여부에 대한 언급은 그 자체가 어떤 부모에게는 아주 낯선 것일지 모른다. 자신의 사소한 행동이 불법이 될 수 있다는 것, 자녀들도 안 맞… 더보기

[344] 한국인 이민자의 기대와 현실

댓글 0 | 조회 7,073 | 2006.11.13
한국인이 뉴질랜드에 처음 발을 디디게 된 것은 1960년대 중반이었다. 대부분의 초기 정착자들은 선박 회사들의 직원들로 이민자로 분류하기에는 아주 적은 숫자였다.… 더보기

[343] 이민 정책과 아시안 이민

댓글 0 | 조회 4,501 | 2006.10.24
이민은 세계의 수백만 명 사람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국제적인 현상이다. 2002년 세계에서 1억 9천 1백만 명이 다른 나라로 이민했는데 선진국의 국민들이… 더보기

[342] 무서운 아이들, 교실이 위험하다

댓글 0 | 조회 4,138 | 2006.10.09
지난 주 목요일인 10월 5일은 유네스코가 지정 한 세계 교사의 날이었다. NZ Teachers Council 디렉터인 Peter Lind는 뉴질랜드 교육회(NZ… 더보기

[341] 오클랜드 7개 시 합병 집중분석

댓글 0 | 조회 4,110 | 2006.09.25
지난 달 ASB의 Main Report 보고서에서 뉴질랜드의 16개 주요 지역의 경제 성장 성적표가 공개되었는데 뉴질랜드의 가장 큰 도시인 오클 랜드는 총점에서 … 더보기

[340] 뉴질랜드 경제 진단과 전망

댓글 0 | 조회 4,075 | 2006.09.11
현재의 뉴질랜드 경제 상황을 거론하는데 앞서 우선 많은 경제활동 지표들이 예상되었던 바를 상당히 앞질러 가고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GDP 성장과 고용, 주택시장… 더보기

[339] 2006년이 본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950 | 2006.08.21
뉴질랜드 정부는 다음 10년간 '경제개혁', '가정복 지', '국가 정체성'의 세 가지를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경제 개혁'은 지식을 바탕으로 모든 이들에게 기… 더보기

[338] 범죄의 물결, "몸조심 하십시오"

댓글 0 | 조회 4,507 | 2006.08.07
신문을 꾸준히 보는 사람이라면 요즘 뉴질랜드의 각종 범죄 뉴스들이 피부에 와 닿을 만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안전한 나라'임을 주… 더보기

현재 [337] 노년을 위한 저축 충분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4,138 | 2006.07.24
웨스트팩 은행의 조사 결과 작년 가계지출은 수입보다 14%나 많았다. 돈 쓸 곳은 너무 많고, 돈 쓰기도 너무 쉬운 세상이다. 반대로 말하면 모으기도 그만큼 힘든… 더보기

[336] NZ, 지금이 아시아를 알 때다

댓글 0 | 조회 3,537 | 2006.07.10
세계는 점점 아시아를 중심으로 모든 경제와 산업, 무역이 집중되고 있다. 아시아는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과 서비스 시장을 또한 급… 더보기

[335] NZ는 당신의 기술이 필요하다

댓글 0 | 조회 4,050 | 2006.06.26
(표:기술 이민자들의 이민 전 종사 직종 분류(2006, 노동부) 최근 뉴질랜드는 소위 선진국들 중에서 기술 인 력이 가장 부족한 나라로 조사되었다. OECD 국… 더보기

[334]유학생과 교민경제

댓글 0 | 조회 4,173 | 2006.06.12
요즘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수업 시간은 교사와 학생이 바뀌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고 한다."선생님! 그 단어 발음이 틀렸는데요." ?선생님! 해석이 이상해요." 미국… 더보기

[333]세금, 너무 많이 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4,002 | 2006.05.22
호주가 최근 파격적으로 개정된 개인소득세 세율을 새로 내놓으면서 뉴질랜더들은 그에 대해 은근히 부러움의 눈빛을 내비치는 한편, 정부의 세율 정책에 대한 비난으로 … 더보기

[332] 씨티 통행료,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

댓글 0 | 조회 3,889 | 2006.05.08
정부는 출근시간 시내 진입으로 인한 교통정체 해결을 위해 진입 차량에 통행료를 부과할 태세다. 통행료 부과가 정체를 얼마나 해결할 지 두고 봐야 하겠지만 시민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