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2] 환율, 왜 떨어지지 않나

[352] 환율, 왜 떨어지지 않나

0 개 5,810 KoreaTimes
작년 금융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뉴질랜드달러의 약세를 예상했고 이에 따라 환율도 500원대 초반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기대로 한국으로부터 돈을 송금받아야 하는 교민들은 송금을 미뤘다. 그러나 환율은 하반기 들어 금리 인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반등을 했고 환율하락을 기다렸던 교민들은 낭패를 보았다. 낮은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뉴질랜드달러의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봤다.

3년전인 2004년 이맘때쯤 매매기준율이 800원 이 넘었던 때가 있었다. 당시 뉴질랜드달러-미국달러는 현재와 비슷한 68~70센트대였고 미국달러-원화는 물론 1000원이 넘었다. 뉴질랜드달러-원화 환율 은 잘 알다시피 미국달러화를 중간 매개로 해서 움직인다. 대미환율 1000원은 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일종의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작용했고 해가 거듭될수록 원화 강세가 예상되면서 1000원 밑으로 내려갈 경우 뉴질랜드 달러-원도 500원 이하로 급격히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도 고조됐었다.
  
3년이 지난 지금 대미환율은 940~950원대로 1000원을 하향 돌파했으나 뉴질랜드 달러-원은 640~650원대로 당시 예상에 비하면 하락 폭이 미미하다.

표면적인 원인은 뉴질랜드 달러-미국 달러가 그 때나 지금이나 68~ 70센트를 유지하고 있다는데 있다.

뉴질랜드달러화 가치는 지 난 2000년 10월 1달러당 38.95센트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등락을 거듭하여 당시보다 80% 정도 상승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작년에는 뉴질랜드 경기침체와 대규모 경상적자, 원자재 가격 안정화, 뉴질랜드와 일본, 미국 등 과의 금리 격차 축소 등의 요인으로 키위달러 약세 전망이 시장을 지배했다. 뱅크어브 뉴질랜드는 작년말 대미환율 전망을 59센트로, 웨스트팩은 56센트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측했었다. 뉴질랜드 경제는 작년 9월말 기준 1년동안 1.4%로 5년내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일 정도로 저성장 국면이다. 경기침체를 우려한 중앙은행은 작년 한해동안 물가상승 압력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당연히 떨어져야 할 것 같았던 환율은 작년 하반기 이후 드라마틱한 상승을 연출했다. 키위달러화는 지난달 27일 외환시장에서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미국의 금리인하 우려로 71.08센트로 마감, 14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키위달러의 고공 행진이 계속되면서 뉴질랜드 수출업체 뿐 아니라 한국에서 생활비를 송금 받아야 하는 교민들의 근심이 이만 저만이 아닐 것이다.

이처럼 일방적인 하락 전망에도 아랑곳 없이 키위달러가 꿋꿋하게(?) 강세를 지켜 온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저금리 국가의 돈을 빌려 고금리 국가에 투자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이른바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를 주범으로 꼽고 있다. 특히 뉴질랜드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엔 캐리 트레 이드'로, 이는 보통 헤지펀드로 대표되는 대형 국제 투기자본이 일본 시중은행에서 금리가 싼 엔화를 빌려 금리가 높은 뉴질랜드의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수익을 좇아 뉴질랜드 뿐 아니라 미국, 영국, 호주 등 전 세계로 흘러 들어가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무차별적으로 투자되는 엔 캐리 자금은 최근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자산거품이 생기는 데 일조했고 글로벌 불균형을 확대 재생산시켜 세계경제 전체를 왜곡시킨다는 비난을 듣고 있다.

뉴질랜드에 유입되는 캐리트레이드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저금리 국가의 투자자들이 뉴질랜드달러화로 표시된 1년 이상의 장기 채권을 사들이는 것으로 우리다시(Uridashi)채권이 대표적이다. 이는 뉴질랜드 중앙은행에서 발행액과 만기일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 가능한 부분이다.

문제는 헤지펀드와 같이 초단기로 거래되는 캐리트레이드로, 이는 쉽게 파악되지 않아 환율 변동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최근 몇 년 동안 헤지펀드에 의한 캐리트레이드로 뉴질랜드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다음의 표를 통해 확인된다. 지난 4년동안 뉴질랜드와 일본의 금리차가 커지면 커질수록 뉴질랜드 채권의 판매액은 증가했고 환율은 높아지는 뚜렷한 추세를 보였다.

투자전문가 브라이언 게이노(Brian Gaynor)는 "올해 만기가 다가오는 우리다시 채권액의 규모가 크지만 뉴질랜드달러에 투자되는 자금은 1조~1조5000억 달러로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뉴질랜드 금리가 30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헝가리에 이어 두 번째로 높고 뉴질랜드는 특이하게 단기 이자율이 장기 이자율보다 높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 헤지펀드에 매력적인 곳이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의 금리는 지난 8일 7.25%에서 7.5%로 인상됐다. 중앙은행 알란 볼라드(Alan Bollard)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면서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 지 부동산지장을 비롯한 경제활동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필요하다면 추가 인상도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은 볼라드 총재의 추가 인상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번 기준금리 인상이 키위달러 강세에 미치는 영향도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이유는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했기 때문에 환율에 이미 충분히 반영됐고 엔 캐리 청산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2월 21일 일본은행이 7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0.25%에서 0.5%로 올리면서 3월 5일 외환 시장에서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로 뉴질랜드 달러가 3개월만에 최저치로 하락했다. 일부에서는 캐리트레이드 시대가 끝났다는 얘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엔 캐리 트레이드가 급속히 청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도 다른 나라와의 금리 차이가 워낙 커 엔 캐리 트레이드가 여전히 충분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외환시장 관계자들은 엔 캐리 트레이드의 매력이 없어지려면 일본의 금리가 지금보다 추가로 2%포인트는 더 올라가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급속한 청산 가능성은 당분간 거의 없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355] 임금, 적절하게 받고 있습니까?

댓글 0 | 조회 3,951 | 2007.04.26
이달부터 법정 최저임금이 1달러 오른 11.25달러가 적용된다. 그러나 아직도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보수를 지급하는 교민업체들이 있는게 현실이다. 최저임금 인상… 더보기

[354] 부동산 투자, 시야를 넓혀라

댓글 0 | 조회 4,914 | 2007.04.10
★ 부동산 투자라면 흔히 오클랜드 지역의 주택 투자가 연상된다. 그만큼 접근하기 쉽고 정보 취득이 용이한 까닭이다. 그러나 오클랜드 집값이 뛰면서 더 이상 높은 … 더보기

[353] 딜레마에 빠진 기준금리정책

댓글 0 | 조회 3,878 | 2007.03.26
★ 중앙은행이 지난 8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물가, 특히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한 예정된 수순이었다. 뉴질랜드는 몇 년째 선진국 가운데 가장… 더보기

현재 [352] 환율, 왜 떨어지지 않나

댓글 0 | 조회 5,811 | 2007.03.12
작년 금융전문가들은 한결같이 뉴질랜드달러의 약세를 예상했고 이에 따라 환율도 500원대 초반까지 내려갈 수 있다는 기대로 한국으로부터 돈을 송금받아야 하는 교민들… 더보기

[351] 부동산 하락 사이클은 없다?

댓글 0 | 조회 4,606 | 2007.02.26
부동산도 사이클이 있다. 과거 뉴질랜드의 집값 변동을 살펴보면 이 사이클은 보통 7년이었다. 이 가설에 따르면 2000년부터 시작 된 상승 사이클에 이어 올해부터… 더보기

[350] 뉴질랜드 주식시장 A to Z

댓글 0 | 조회 15,936 | 2007.02.12
한국 교민들의 재테크 수단은 대부분 부동산 투자에 집중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본시장의 꽃이라 불리는 주식에 대한 관심은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게 사실이… 더보기

[349] 좋은 학교 선택의 기준은?

댓글 0 | 조회 4,827 | 2007.01.30
개학을 1주일여 앞두고 학생을 둔 가정에서는 2007학년도 학교 생활 준비에 바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학이나 전학을 고려하고 있는 가정에서는 학교 선택에 고심… 더보기

[348] 뉴질랜드 유학시장, 이대로 좋은가

댓글 0 | 조회 4,782 | 2007.01.15
뉴질랜드 유학 시장이 얼어 붙고 있다. 덩달아 교민 경제에도 먹구름이 잔뜩 끼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 달러화의 약세가 지속되어 약간 돈이 더 많이 든다면 … 더보기

[347] 새로운 이민법안, 달라지는 것은?

댓글 0 | 조회 5,928 | 2006.12.22
이 달 초 이민부의 David Cunliffe 장관은 새롭게 바뀔 이민법안을 내놓았다. 의회에서 통과되어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가려면 앞으로 몇 달간의 과정을 더 … 더보기

[346] 주택시장 인플레이션 어디까지?

댓글 0 | 조회 4,296 | 2006.12.11
높은 이율과 환율로 기업들은 현재 재미를 보고 있을지 모르겠으나 계속되는 주택시장 강세는 마치 심한 뇌우 전의 찌는 듯한 더위처럼 보일 수 있다. 리저브 뱅크는 … 더보기

[345] 자녀 체벌, 누구의 권리인가

댓글 0 | 조회 4,394 | 2006.11.27
-부모의 자녀 체벌 권리 여부에 대한 언급은 그 자체가 어떤 부모에게는 아주 낯선 것일지 모른다. 자신의 사소한 행동이 불법이 될 수 있다는 것, 자녀들도 안 맞… 더보기

[344] 한국인 이민자의 기대와 현실

댓글 0 | 조회 7,073 | 2006.11.13
한국인이 뉴질랜드에 처음 발을 디디게 된 것은 1960년대 중반이었다. 대부분의 초기 정착자들은 선박 회사들의 직원들로 이민자로 분류하기에는 아주 적은 숫자였다.… 더보기

[343] 이민 정책과 아시안 이민

댓글 0 | 조회 4,501 | 2006.10.24
이민은 세계의 수백만 명 사람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국제적인 현상이다. 2002년 세계에서 1억 9천 1백만 명이 다른 나라로 이민했는데 선진국의 국민들이… 더보기

[342] 무서운 아이들, 교실이 위험하다

댓글 0 | 조회 4,138 | 2006.10.09
지난 주 목요일인 10월 5일은 유네스코가 지정 한 세계 교사의 날이었다. NZ Teachers Council 디렉터인 Peter Lind는 뉴질랜드 교육회(NZ… 더보기

[341] 오클랜드 7개 시 합병 집중분석

댓글 0 | 조회 4,110 | 2006.09.25
지난 달 ASB의 Main Report 보고서에서 뉴질랜드의 16개 주요 지역의 경제 성장 성적표가 공개되었는데 뉴질랜드의 가장 큰 도시인 오클 랜드는 총점에서 … 더보기

[340] 뉴질랜드 경제 진단과 전망

댓글 0 | 조회 4,075 | 2006.09.11
현재의 뉴질랜드 경제 상황을 거론하는데 앞서 우선 많은 경제활동 지표들이 예상되었던 바를 상당히 앞질러 가고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GDP 성장과 고용, 주택시장… 더보기

[339] 2006년이 본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950 | 2006.08.21
뉴질랜드 정부는 다음 10년간 '경제개혁', '가정복 지', '국가 정체성'의 세 가지를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경제 개혁'은 지식을 바탕으로 모든 이들에게 기… 더보기

[338] 범죄의 물결, "몸조심 하십시오"

댓글 0 | 조회 4,507 | 2006.08.07
신문을 꾸준히 보는 사람이라면 요즘 뉴질랜드의 각종 범죄 뉴스들이 피부에 와 닿을 만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안전한 나라'임을 주… 더보기

[337] 노년을 위한 저축 충분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4,137 | 2006.07.24
웨스트팩 은행의 조사 결과 작년 가계지출은 수입보다 14%나 많았다. 돈 쓸 곳은 너무 많고, 돈 쓰기도 너무 쉬운 세상이다. 반대로 말하면 모으기도 그만큼 힘든… 더보기

[336] NZ, 지금이 아시아를 알 때다

댓글 0 | 조회 3,536 | 2006.07.10
세계는 점점 아시아를 중심으로 모든 경제와 산업, 무역이 집중되고 있다. 아시아는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과 서비스 시장을 또한 급… 더보기

[335] NZ는 당신의 기술이 필요하다

댓글 0 | 조회 4,050 | 2006.06.26
(표:기술 이민자들의 이민 전 종사 직종 분류(2006, 노동부) 최근 뉴질랜드는 소위 선진국들 중에서 기술 인 력이 가장 부족한 나라로 조사되었다. OECD 국… 더보기

[334]유학생과 교민경제

댓글 0 | 조회 4,173 | 2006.06.12
요즘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수업 시간은 교사와 학생이 바뀌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고 한다."선생님! 그 단어 발음이 틀렸는데요." ?선생님! 해석이 이상해요." 미국… 더보기

[333]세금, 너무 많이 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4,002 | 2006.05.22
호주가 최근 파격적으로 개정된 개인소득세 세율을 새로 내놓으면서 뉴질랜더들은 그에 대해 은근히 부러움의 눈빛을 내비치는 한편, 정부의 세율 정책에 대한 비난으로 … 더보기

[332] 씨티 통행료,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

댓글 0 | 조회 3,889 | 2006.05.08
정부는 출근시간 시내 진입으로 인한 교통정체 해결을 위해 진입 차량에 통행료를 부과할 태세다. 통행료 부과가 정체를 얼마나 해결할 지 두고 봐야 하겠지만 시민들 … 더보기

[331] 뉴질랜드는 선진국(?) 후진국(?)

댓글 0 | 조회 5,529 | 2006.04.24
매년 국제적 컨설팅그룹인 MHRC가 발표하는 세계도시들의 '삶의 질'평가에서 항상 10위권내 를 기록하는 뉴질랜드 도시들, 그러나 '유가' '환율' '금리'등 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