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mogumogu
0 개 8,887 JJW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와 2월 사이클론 가브리엘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내었고 많은 주택들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드러내 주었다. 특히 뉴질랜드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에는 약 5만5,000채의 주택들이 홍수 취약 지역에 위치해 있고, 여전히 그러한 위험 지역에 지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변화로 앞으로 이번 홍수와 같은 극단적인 기상 이변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금세기 최악의 홍수 피해 


뉴질랜드의 여름은 대개 건조한 계절이지만 올해 기후 위기 속에 여름 폭우가 잦은 기현상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여름철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주 이례적으로, 기후 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1월 27일 시작된 기록적 폭우가 오클랜드에 내리면서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곳곳이 침수됐고 4명이 숨졌으며 오클랜드 공항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잇달았다.


시내에서는 주택과 상가가 침수되면서 주민들이 한 밤중에 대피하기도 했다.


뉴질랜드 기상청인 메트 서비스(MetService)는 28일 새벽까지 24시간 동안 오클랜드 지역에서 249mm의 강우량이 기록됐다고 전했다. 


종전 1월 월간 강우량 최고 기록은 1986년 200mm로, 이를 고려하면 이날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비가 쏟아진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다고 메트 서비스는 설명했다.


또 뉴질랜드 국립물대기연구소(NIWA)는 지난 1월 센트럴 오클랜드에 내린 강우량은 539mm로, 종전 월간 강우량 최고 기록인 1869년 2월의 420mm를 넘었다고 밝혔다.


교민들이 많이 사는 노스쇼어와 와이타케레 등 오클랜드 25개 지역 6,000~8,000채의 주택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277개 주택에 출입이 안전하지 않다는 빨간 플래카드가 붙여졌고 1,615개 주택에 제한적인 접근의 노란 플래카드가 붙여졌으며 2,566개 주택에는 최소의 피해를 나타내는 흰색 플래카드가 발부됐다.


오클랜드에 최악의 물난리가 난 지 보름 만인 지난달 12일부터 14일까지 사이클론 가브리엘이 북섬을 강타하면서 혹스 베이, 기스본, 오클랜드, 코로만델 등지에 10여 명이 숨지는 인명피해와 함께 홍수, 산사태, 가옥 침수, 도로 유실, 단전 등 큰 피해를 입혔다.


키어런 맥어널티(Kieran McAnulty) 비상 관리 장관은 14일 전례 없는 기상 사태로 오클랜드, 노스랜드, 와이카토 등 6개 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정부는 피해를 복구하는데 135억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반복되는 침수 피해 


이번 두 차례의 물난리와 지난달 24일 오클랜드 등 북섬 북부와 중부 지역에 내린 많은 비와 토네이도로 수 많은 사람들이 소중한 보금자리를 잃었다.


집이 기거할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되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은 주택 소유주들의 트라우마는 오래 갈 것이며 이번 일을 계기로 홍수, 산사태 등에 대한 주택의 안전성이 주택시장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뉴질랜드 최대 보험사인 IAG의 모델링에 따르면 뉴질랜드 주택의 1%인 2만채 정도의 주택이 심각한 홍수 위험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게레의 한 거리 주민들은 폭우가 내릴 때마다 가옥 침수를 걱정한다.


지난 1월 오클랜드 홍수에도 망게레 벤투라 스트리트에 있는 대부분의 주택들은 침수 피해를 입었다.


피해를 입은 주택들의 상당수는 국영기관인 카잉가 오라(Kainga Ora)가 개발한지 3년이 안된 새 집들이다.


이 거리의 한 주택에 사는 켄트 페니(Kent Peni)는 “비가 올 때마다 정원이 물로 찬다. 빗물이 빠져 나갈 길이 없다”고 전했다.


그는 벤투라 스트리트의 주택들이 테 아라라타 개울로부터 100미터 거리에 있기 때문에 폭우시 빗물과 하수가 급격하게 불어난다고 설명했다.


망게레는 오클랜드의 저지대 가운데 하나이고 카잉가 오라가 주관한 망게레 웨스트 주택 개발 지역의 중심으로 테 아라라타 개울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이 주택 개발 단지는 거의 홍수 지대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주민 마노지 레그미(Manoj Regmi)는 작년 7월 플레처 리빙(Fletcher Living)으로부터 집을 구입한 후 6개월 동안 두 번의 침수 피해를 입었다고 털어놨다.



레그미는 이러한 지역에 주택을 짓도록 허가해준 오클랜드 카운슬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후 변화로 기상 이변이 더욱 많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오클랜드 카운슬은 빗물 인프라를 갖춰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망게레-오타후후 지역위원회 닉 바쿨리치(Nick Bakulich) 의장은 “오클랜드 카운슬도 이 문제를 알고 있지만 빗물 인프라가 그에 따라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카잉가 오라와 협력하여 망게레에 새 주택들을 건설한 플레처 리빙 측은 협정에 따라 이 지역의 인프라 업그레이드에 대한 책임은 오클랜드 카운슬과 카잉가 오라에 있다고 밝혔다.


플레쳐 리빙의 대변인은 “카잉가 오라가 제안한 망게레 밀집화에 따라 빗물과 하수의 증가는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카잉가 오라 오클랜드 및 노스랜드 지역 캐롤라인 버터워스(Caroline Butterworth) 부회장은 “모든 개발은 토지 조사와 홍수에 대비한 빗물 처리 계획이 수반된다”고 말했다.


와이모코 개울에 인접한 스완슨 주거지역도 가옥 침수 피해가 반복된다.


캔디아 로드와 푹스 로드 교차로 근처의 주택에서 12년째 살고 있는 데릭 저지(Derek Judge)는 이번 오클랜드 폭우로 자신의 주택에 노란 플래카드가 붙여졌다.


지난 2021년에도 침수 피해를 입은 그의 주택은 이번 폭우로 와이모코 개울이 순식간에 2미터 이상 불어나면서 다시 피해를 보았다.


그는 “무슨 색의 플래카드가 붙여졌든지 상관없이 우리 가족은 그 집에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며 “정부나 오클랜드 카운슬이 심한 홍수 피해를 입은 주택들을 구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지역에 홍수 피해를 입은 주택 소유주들은 단체를 결성하여 관계 당국에 홍수 피해 주택들의 구입을 요청했다. 


오클랜드는 뉴질랜드에서 해안 지대를 따라 가장 높은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안 지역의 불안정성과 침식 위험에 높게 노출돼 있다.


지난번 사이클론 가브리엘이 강타하면서 산사태로 무너진 무리와이 주택들도 이미 1965년 산사태가 일어났던 지역으로 주택을 다시 짓지 않도록 선포됐으나 1980년대 이후에 같은 지역에 주택들이 건설된 것으로 알려졌다.


■ 오클랜드 홍수 취약 지역 건물 분포 

c1767e72c7b914ef2e9b09cfdbf188f1_1678869587_9738.jpg
 

오클랜드 55,000채 주택 홍수 취약 지역에 위치


선데이 스타 타임스지가 최근 오클랜드 카운슬과 뉴질랜드 토지정보국(LINZ)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오클랜드에 5만5,000채의 건물들이 홍수 지역이나 홍수 취약 지역에 위치해 있고, 그 대부분은 주거용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홍수 위험 지역이라도 100년에 한 번 정도의 폭우에 침수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국립물대기연구소는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가 200년에 한 번 정도의 강우였다고 평가했다.


개발업자와 엔지니어들은 오클랜드 카운슬의 100년에 한 번 위험 주장이 오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실제로 매년 1%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빅토리아 대학 기후변화연구소의 벨린다 스토리(Belinda Storey) 연구관은 “지금 1%의 연간 발생 가능성은 기후 변화로 2~4%로 올라 간다”며 “그러한 확률은 예측보다 빨리 변한다”고 설명했다.


홍수 위험 지역에 여전히 지어지는 주택들


오클랜드 카운슬은 지난 2016년 홍수 지역에 9,220채의 주거용 건축을 허가했고 홍수 취약 지역에 4,295채를 허가했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그 후로도 매년 홍수 지역에 주거용 건축을 허가했고 작년에는 더욱 많이 허가해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 참조)


■ 홍수 지역 오클랜드 카운슬 주거용 건축 허가 (자료: 오클랜드 카운슬)  

c1767e72c7b914ef2e9b09cfdbf188f1_1678869634_5837.jpg
 

망게레에 살고 있는 빅키 사이키스(Vicki Sykes) 몬테 시실리아 주택 트러스트(Monte Cecilia Housing Trust) 회장은 “빗물 관리 대응책 여부에 관계없이 가장 큰 실수는 홍수 지역에 건물을 세우는 것”이라며 “비가 내릴 때마다 무슨 일이 벌어질지 기다리는 것은 하지 못할 일”이라고 말했다.


스토리 연구관도 “홍수 지역에서의 건축은 중단해야 한다”며 “오클랜드의 주택 부족은 높은 지대에 중밀도 주택 건설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스코트 개발과 같이 홍수 지역에 세워진 일부 새로운 주택 개발은 1월 오클랜드 홍수에도 견뎌냈다.


타카니니는 지난 2014년 특별주택지역으로 지정된 후 수 천 채의 주택들이 홍수지역에 들어섰다.


타카니니 주택 개발의 한 섹션에서 홍수 완화 계획을 담당했던 에이알 앤 어소시에이트(AR & Associates)의 안드레스 로아(Andres Roa) 대표는 주택으로의 역류를 일으키는 빗물 배출 막힘을 방지하는 새로운 빗물 수송 통로를 만든 작업이 기본적으로 인조의 개울을 만드는, 기술적으로 매우 힘든 일이었다고 전했다.


제임스 쇼(James Shaw) 기후 변화 장관은 홍수 지역에서는 주택들이 개발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쇼 장관은 “홍수 취약 지역에 주택을 짓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건설되는 이유는 이와 관련된 국가적인 지침이 없고 오클랜드처럼 주택 위기를 겪는 지역의 카운슬들은 주택 수를 늘리기 위해 홍수 지역이라도 건축 허가를 내줄 것”이라고 말했다.


쇼 장관은 카운슬에 앞으로 어디에 주택을 지어서는 안 될지를 규정하는 ‘자연 및 건설 환경법’과 ‘공간 계획법’이 특별위원회에 계류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하지만 홍수 지역에 현존하는 주택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위험 주거 시설을 의도적으로 제거하거나 이전하는 ‘관리 철수’ 문제를 다룰 ‘기후 변화 적응법’은 아직 내각에 제출되지도 않은 상황이다.


쇼 장관은 ‘기후 변화 적응법’이 통과되더라도 시행되기까지는 수 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차드 힐스(Richard Hills) 오클랜드 시의원은 “홍수 지역 건축에 내린 허가를 취소하는 것은 법적으로 가능하지 않지만 현재 접수된 신청은 비상 권한을 이용하여 중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NZ 인구 “이민자 급증, 자연증가 80년 만에 최소”

댓글 0 | 조회 5,294 | 2023.09.12
지난 8월 중순 나온 통계국 인구 동향 자료를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총인구는 522만 명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이는 지난해 6월에 비… 더보기

전면적 검토 필요한 뉴질랜드 교육

댓글 0 | 조회 7,572 | 2023.08.23
한때 세계 최고 수준을 자부하던 뉴질랜드 교육 제도가 위기를 맞고 있다. 학생들의 학습력은 모든 학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고 많은 학생들이 정기적으로 등… 더보기

골퍼 “일반인보다 피부암 발병률 250% 높다”

댓글 0 | 조회 3,841 | 2023.08.22
비가 잦았던 겨울이 지나고 봄기운이 완연해지면서 골프장을 찾는 발걸음도 부쩍 늘었다.골프를 즐기는 이들에게 햇볕과 자외선 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데 … 더보기

더욱 정교해진 신용 사기

댓글 0 | 조회 5,085 | 2023.08.09
이메일, 문자 메시지, 전화 등을 통한 신용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 사기 피해자들은 대부분 다른 사람들은 사기를 당해도 자신은 그렇게 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더보기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물가 “하루하루가 너무 힘들다”

댓글 0 | 조회 4,287 | 2023.08.08
한국의 어느 가수가 부른 유행가 중 “잡힐 듯 잡히지 않는 ‘00’이 너무 아쉬워 다가가면 더 멀어지는 ‘00’ 참 힘드네요”라는 가사가 있다.가사 중 ‘00’에… 더보기

점점 늘고 있는 무주택 은퇴자들

댓글 0 | 조회 8,261 | 2023.07.26
은퇴자들의 자가소유율이 앞으로 계속 감소할 전망이다. 현재 은퇴자들의 80% 정도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만 높은 주택가격과 렌트비, 생활비 등으로 향후 30년 동… 더보기

자유 위해 자원했던 NZ 용사들 이야기(II)

댓글 0 | 조회 1,688 | 2023.07.25
7월 27일(목)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해 3년 1개월이 넘도록 치열하게 벌어졌던 한국전이 끝을 보지 못하고 휴전협정을 맺은 지 70주년이 되는 날이다.당… 더보기

고개 드는 주택시장 바닥론

댓글 0 | 조회 6,889 | 2023.07.12
지난 2021년말부터 떨어지기만 했던 주택가격이 마침내 저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집값 급락세도 멈췄고 그 동안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던 … 더보기

자유 위해 자원했던 NZ 용사들 이야기(I)

댓글 0 | 조회 1,839 | 2023.07.11
오는 7월 27일(목)은 1950년 6월 25일 발발해 3년 1개월이 넘도록 치열하게 벌어졌던 한국전이 끝을 보지 못하고 1953년 7월에 휴전협정을 맺은 지 7… 더보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순이민

댓글 0 | 조회 4,068 | 2023.06.28
국경 개방 이후 뉴질랜드로 들어오는 이민이 늘면서 순이민이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 이상으로 회복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뉴질랜드를 떠나 다른 나라로 이민가… 더보기

슈퍼에서 사라지는 일회용 비닐봉지

댓글 0 | 조회 6,379 | 2023.06.27
지난 5월 말에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서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엔이 개최한 ‘유엔환경총회(UN Environment Assembly)’의 제2차 ‘… 더보기

세계 최악 외래종 해초 침입한 NZ 바다

댓글 0 | 조회 3,987 | 2023.06.14
평소에도 외국에서 온 갖가지 동식물로 가뜩이나 골치가 아픈 뉴질랜드에서 이번에는 바다에서 급속히 퍼지는 외래 침입종으로 비상이 걸렸다.문제의 해초는 ‘카울러퍼(c… 더보기

불공평하지만 정부 해결책 없는 과세 시스템

댓글 0 | 조회 5,778 | 2023.06.13
부유층이 서민에 비해 세금을 적게 내는 것으로 최근 밝혀지면서 뉴질랜드의 과세 제도가 심각하게 불공평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뉴질랜드의 최상위 부유층이 소득의 … 더보기

예산 적자에 비상 걸린 오클랜드시

댓글 0 | 조회 6,423 | 2023.05.24
오클랜드 카운슬이 통합 13년 만에 가장 어려운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오는 7월부터 시작되는 2023/24 예산에서 3억달러가 넘는 대규모 예산 적자를 예상하면… 더보기

불, 불, 불조심의 계절, 내게 맞는 화재경보기는?

댓글 0 | 조회 2,264 | 2023.05.23
5월 16일(화) 한밤중 이른 시간에 웰링턴 대형 호스텔에서 난 큰불로 인해 최소한 6명이 숨지고 부상자도 여럿 나온 가운데 19일(금) 현재 실종자가 많아 사망… 더보기

새로운 장 여는 뉴•호 관계

댓글 0 | 조회 7,391 | 2023.05.10
오는 7월부터 호주에서 4년 이상 거주한 뉴질랜드 시민권자는 영주권 신청 없이도 바로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 호주에 거주하는 뉴질랜드인들에 대한 이같은 … 더보기

100만 불 유산 놓고 다툰 고모와 조카들

댓글 0 | 조회 6,027 | 2023.05.09
뉴질랜드가 갈수록 고령화가 심해지는 가운데 부동산 가격도 크게 오르면서 최근 언론에서는 후손들이 유산을 놓고 법정 싸움을 벌였다는 뉴스가 종종 전해져 사람들의 관… 더보기

다른 길 가는 뉴질랜드 경제와 호주 경제

댓글 0 | 조회 8,793 | 2023.04.26
태즈먼 해를 사이에 두고 있는 뉴질랜드와 호주가 최근 대조적인 경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양국이 공통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문제를 겪고 있는 가운데 이달 들어 호… 더보기

따뜻한 겨울, 어떤 히터로?

댓글 0 | 조회 3,700 | 2023.04.25
아침이면 최저기온이 10℃ 이하로 내려가고 비가 잦아지는 등 계절이 본격적으로 겨울로 접어들면서 이미 상가에는 갖가지 난방기기가 등장한 지 오래이고 TV에서도 난… 더보기

어떤 커튼과 블라인드가 보온에 좋을까?

댓글 0 | 조회 5,527 | 2023.04.12
아침과 밤 기온이 차츰 내려가면서 계절이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살다보면 매년 겨울이 되면 집 안을 어떻게 따뜻하게 만들지를 자주 고민에 빠… 더보기

침체한 주택시장 반영하는 매매 급감

댓글 0 | 조회 5,311 | 2023.04.12
주택시장의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주택시장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인 주택 매매량이 4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주택가격의 하락세도 계속되면서 평균… 더보기

팬데믹이 교육에 미친 긴 영향

댓글 0 | 조회 2,851 | 2023.03.28
정부가 지난달 학생들의 무단결석을 줄이기 위해 출석 사무관들을 추가 배치하는 등 7,400만달러를 투입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규칙적으로 등교하는 학생들이 절반을 … 더보기

“대의를 위해 기꺼이…” 우크라이나에서 전사한 마오리

댓글 0 | 조회 2,625 | 2023.03.28
작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1년 넘도록 이어지면서 엄청난 피해가 나고 있다.서방권을 중심으로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를 원조하는 가운데 외… 더보기
Now

현재 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댓글 0 | 조회 8,888 | 2023.03.15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와 2월 사이클론 가브리엘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내었고 많은 주택들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드러내 주었다. 특히 뉴질랜드 최대 도… 더보기

하늘에 강물이 흐른다?

댓글 0 | 조회 4,174 | 2023.03.14
뉴질랜드가 대형 기상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은 보통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로 2월에 절정에 달하는데, 올해는 시작하자마자 ‘사이클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