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nz79
0 개 10,204 JJW

0718f7c6dd594e5bbe400f11dd9d70c8_1592980970_004.jpg
 

올 겨울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추운 계절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살아 남았지만 그 후폭풍인 정리해고의 희생자가 되었다. 

바이러스 공포가 물러나면서 이제 일자리 공포가 오고 있다. 


실직자수 이미 세계금융위기 때보다 많아  


에어 뉴질랜드 4,000명, 오클랜드 카운슬 1,100명, 웨어하우스 그룹 1,000여명, 플레처 빌딩 1,000명, 밀레니엄 앤드 콥소니 호텔 910명, 스카이 시티 900명,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600명, 스카이라인 엔터프라이즈 500 - 600명, 수디마 호텔 440명, 나이 타후(Ngai Tahu) 309명, 플라이트 센터 250명, 바우어 미디어(Bauer Media) 237명, 탭(TAB) 230명 등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이미 해고됐거나 예정된 몇몇 주요 회사들의 정리해고 현황이다.


이 외에도 NZME, 이벤트 시네마, 카터 홀트 하비, 파머스, 버닝스, 오클랜드 에어포트, 미디어 워크, 투어리즘 홀딩스 등 언론에 보도된 회사들의 정리해고를 포함하면 그 수는 지난달 말 현재 1만4,000명을 넘는다.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중소 회사들의 실직자 수는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센스 파트너스(Sense Partners)의 이코노미스트 샤무빌 이큅(Shamubeel Eaqub)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실업자가 4만5,000명으로 추산되고, 이는 이미 2008년 세계금융위기 때보다 많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실업자 수는 지난 3월 록다운 실시와 함께 크게 늘었다.


3월 25일 자정부터 시작된 전국 봉쇄령 첫 1주일 동안 신규로 실업수당을 신청한 실업자가 9,470명을 기록했고, 그 가운데 8,569명은 일할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다.


파트너가 일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업수당을 신청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은 그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4월 일자리 감소 사상 최고


국민당의 에이미 아담스(Amy Adams) 의원은 더욱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있을 뿐아니라 더욱 적은 일자리가 생겨나는 이중의 어려움을 고용시장이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상 최고 수준인 3만7,5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계절 조정을 한 일자리 수는 3월에 비해 1.7% 감소해 이 부문에 통계를 시작한지 20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다.


1차 산업 일자리는 4.3%인 4,480개가 줄었고, 서비스 산업은 1.7%인 2만9,317개, 제조업은 1%인 4,153개가 각각 감소했다.


3월말 현재 실업률은 4.2%를 나타냈다.


재무부는 실업률이 오는 9월 9.8%까지 상승한 이후 일자리가 급격하게 늘어나 2년 안에 4.2%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경제 컨설팅회사 모투(Motu)의 존 맥더모트(John McDermott) 박사는 고용시장은 느리게 회복하는 경향이 있다며 재무부의 예측에 동조하지 않았다.


맥더모트 박사는 특히 젊거나 경험이 없는 구직자, 대학 졸업자들이 새로운 직업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지적했다.


뉴질랜드에서 마지막으로 실업률이 높았던 시기는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기였지만 그 때 상황이 재현되진 않을 것이라는 예견이다.


토니 알렉산더(Tony Alexander) 이코노미스트는 “1980년대는 1970년대 실수를 수습하기 위해 노력했고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높았으며 보호무역주의가 제거되는 등 지금과 상황이 매우 달랐다”고 말했다.


실업률 문제에서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는 최근 “우리는 코로나19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다”라며 향후 뉴질랜드 경제의 화두로 ‘주4일 근무제 구상’을 던진 상태다. 


주5일에서 주4일로 일하는 방식을 바꿔 근로자들이 보다 많은 시간적 여유를 갖고 일하는 시간을 조금씩 나누면 기업들의 신규 일자리 창출 여력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제2의 정리해고 물결 우려


전문가들은 록다운이 끝난 후 사업체들이 경기 침체를 체감하고 정부의 임금 보조금 혜택 기간이 끝나면 제2의 정리해고 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처음에는 낮은 임금 근로자들이 희생양이 되었지만 점점 고임금 근로자들로 정리해고의 대상이 상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경제 컨설팅회사 인포메트릭스(Informetrics)의 브래드 올슨(Brad Olsen) 이코노미스트는 “사업체들이 록다운 이후 영업을 다시 시작하면서 매출이 이전보다 줄면 사업을 축소하거나 직원을 줄이는 수순을 밟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큅 이코노미스트는 “정리해고는 록다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사업체나 관광업에 그치지 않고 제조업, 서비스업, 도매업 등 경제 모든 부문에 확산되고 있다”며 “제2의 정리해고가 시작됐고 또 한 차례의 해고 사태를 지나면서 20만 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 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사업체들은 경비를 줄이고 상여금을 삭감하게 되고, 수입이 감소한 가계는 소비를 줄이게 되며 소매업체들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이 이어질 것” 이라고 말했다.


임금 보조금 연장 혜택 기간이 끝나면 또 한 차례의 정리해고 바람이 불 것으로 우려된다.


이큅은 “임금 보조금은 1차 실시때 전국적으로 경제활동 연령대 성인 절반 정도인 160만명에 혜택을 주었지만 고객을 늘려 주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비즈니스를 지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오클랜드 중심상업지역(CBD)는 내년 3월까지 1만2,400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세계금융위기 때보다 3배나 많은 수준이다.


카메론 바그리(Cameron Bagrie) 이코노미스트는 “정리해고는 처음 하위직에서 시작되어 고임금의 고위직으로 대상이 올라갈 것” 이라고 설명했다.


알렉산더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를 이유로 바우어 미디어가 리스너(The Listener), 뉴질랜드 우먼스 위클리(New Zealand Woman’s Weekly)와 같은 전통있는 잡지들을 폐간했듯이 앞으로 2-3년간 뉴질랜드 비즈니스 전반에 ‘털어 내기’ 하는 과정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7월부터 무료 직업훈련 실시


취업을 준비하거나 최근 직장을 잃은 사람들은 다음달부터 실시되는 무료 직업훈련 교육에 관심을 가져봄 직하다.


정부는 3억2,000만달러의 예산을 배정해 오는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직업훈련 교육의 수업료를 면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업료는 무료지만 학생 서비스 수수료 등은 납부해야 한다.


무료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과정은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산업 분야로 제한되는데 올 하반기에는 • 농업, 원예업, 포도 재배, 어업, 임업 등 1차 산업 • 건축, 배관, 토목 등 건설업 • 정신건강, 중독 예방, 노인 돌봄, 청소년 지원, 카운슬링 • 제조업, 기계공학, 기술 • 전기공학 • 도로 교통 등 6개 분야에 적용된다.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교육장관은 “무료 직업훈련 교육은 고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내년에 경제 회복을 위해 필요한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적용 과정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무료 직업훈련 교육은 현재 견습생이나 훈련생뿐만 아니라 신입생에도 적용된다.


직업훈련생은 세계금융위기 이후 13만3,000명에서 8만3,000명으로 급감했다.


이에 정부가 나서 무료 직업교육을 실시하게 된 것이다.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0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3,936 | 2020.12.23
■ 기준금리 사상 최저 0.25%로 인하중앙은행은 3월 16일 긴급회의를 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더보기

뜨거워지는 ‘아메리카스컵 요트대회’

댓글 0 | 조회 4,796 | 2020.12.22
지난 12월 15일(화) 오클랜드에서 ‘제36회 아메리카스컵(America’s Cup) 요트대회’의 대회장인 ‘컵 빌리지(Cup Villiage)’가 문을 열고 … 더보기

요식업계의 코로나시대 생존 전략

댓글 0 | 조회 6,289 | 2020.12.0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휩쓴 2020년은 수많은 산업 분야가 큰 변화를 겪은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요식업일 것이다.… 더보기

여름 해변의 불청객 ‘이안류’

댓글 0 | 조회 4,182 | 2020.12.08
본격적인 여름에 접어들면서 지난 호에서는 국내에서 헤엄치기 좋은 곳들과 반면에 수질 문제로 피해야 할 곳들을 대략적으로 소개했다.그런데 매년 여름이면 이곳 뉴질랜… 더보기

통합 10주년 맞은 오클랜드시

댓글 0 | 조회 3,772 | 2020.11.25
지난 1일로 오클랜드가 통합된지 10주년이 되었다. 기존 오클랜드 시티, 노스쇼어 시티, 마누카우 시티, 와이타케레 시티 등 4개 시티 카운슬과 로드니, 프랭클린… 더보기

여름이다! 헤엄치기 좋은 곳 나쁜 곳은 어디?

댓글 0 | 조회 4,803 | 2020.11.24
이제 한달여 남은 달력이 뉴질랜드가 본격적으로 여름에 접어들었음을 알려준다.매년 여름이면 미디어들은 해변을 비롯한 여름휴가 명소들을 소개하곤 하는데, 금년에는 특… 더보기

호주와 중국의 갈등, 어디까지 갈것인가?

댓글 0 | 조회 6,415 | 2020.11.11
호주와 중국이 ‘코로나19’ 바이러스 발원지를 놓고 경제와 정치, 외교 등 전방위에 걸쳐 극한적인 갈등을 벌이기 시작한 지 벌써 반년이 넘어간다.자고나면 새로운 … 더보기

노동당 집권 2기에 예상되는 부동산시장 변화

댓글 0 | 조회 6,773 | 2020.11.10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이 총선에서 압승하여 앞으로 3년 동안 다시 집권하게 되었다. 지난 1996년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 더보기

예기치 못한 집값 상승

댓글 0 | 조회 9,577 | 2020.10.29
주택시장이 전문가들의 예상과 달리 지난 몇 달 동안 강한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 지난 3-5월 전국적인 록다운 기간 동안 은행들은 일제히 적게는 5%에서 많게는 … 더보기

태풍, 돌풍, 훈풍 그리고 삭풍 몰아친 총선

댓글 0 | 조회 4,224 | 2020.10.28
2020년도 뉴질랜드 총선이 ‘코로나19’로 인해 4주 동안이나 연기된 것은 물론 그야말로 갖가지 진기한 신기록들을 수립한 뒤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10월 17일… 더보기

NZ 국민들 ‘대마초 합법화’와 ‘안락사’ 결정한다

댓글 0 | 조회 7,416 | 2020.10.14
오는 10월 17일(토)에 실시되는 ‘2020년 뉴질랜드 총선’에서는 120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된다.이와 함께 ‘대마초 합법화 및 통제법(Cannabis Lega… 더보기

이것만은 알고 투표하자

댓글 0 | 조회 3,064 | 2020.10.13
당초 9월 19일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때문에 오는 17일로 연기된 총선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전례없는 코로나19 팬… 더보기

코로나를 뚫은 황소 장세

댓글 0 | 조회 4,453 | 2020.09.23
코로나19 여파도, 증권거래소 사이버 공격도 황소 장세를 꺾지는 못했다. 모든 장애물을 넘어 뉴질랜드 주가지수가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주가는 역대 … 더보기

아무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경제 위기

댓글 0 | 조회 5,414 | 2020.09.22
전 세계 국가들이 ‘코로나 19’ 사태로 모든 분야에서 근세 들어 단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던 상황들에 직면하면서 경제 역시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수렁에 빠… 더보기

지금부터 유학생 맞을 준비해야

댓글 0 | 조회 9,580 | 2020.09.09
올해 예기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유학업계에 큰 피해를 주었다. 문제는 올해를 포기한 유학업계가 내년에 유학생… 더보기

NZ 아시안들, 어떻게 살고 있나?

댓글 0 | 조회 10,128 | 2020.09.08
2020년 6월말 현재 뉴질랜드 인구는 502만5000명으로 추정돼 2003년 인구 400만명을 넘긴 후 17년 만에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 중 아시안은 70… 더보기

‘코로나 시대’ NZ로 이민 관심 급증

댓글 0 | 조회 10,972 | 2020.08.26
코로나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적은 나라들이 인기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상대적으로 안전한 피난처… 더보기

지금 당신은 행복합니까?

댓글 0 | 조회 3,803 | 2020.08.25
'코로나 19’ 사태로 세계 경제가 급속히 위축되면서 국내에서도 실업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양질의 일자리들도 대거 사라지는 등 국민들의 안정된 삶이 크게 위… 더보기

임금 보조금은 눈 먼 돈?

댓글 0 | 조회 10,191 | 2020.08.12
정부가 임금 보조금(Wage Subsidy) 명목으로 최근까지 지출한 금액이 13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 더보기

록다운 중 실업률이 낮아졌다?

댓글 0 | 조회 5,597 | 2020.08.11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이 지난 8월 5일(수)에 금년 6월말 분기를 기준으로 한 국내 고용시장 동향과 관련된 지표들을 공개했다.현재 전 세계적… 더보기

CO2는 오클랜드, 메탄은 캔터베리?

댓글 0 | 조회 4,114 | 2020.07.29
7월 하순에 통계국은, 지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12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배출된 ‘온실가스(greenhouse gas)’ 규모를 각 지역과 온실가스의 종… 더보기

국경 통제로 오도 가도 못하는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7,959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해외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니면 공식적으로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높은 … 더보기

알루미늄 제련소 폐쇄가 던진 충격파

댓글 0 | 조회 6,784 | 2020.07.15
▲ 티와이 포인트의 알루미늄 제련소 정경지난 7월 9일(목)에 국내 대형 제조업체 중 한 곳인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Tiwai Point alumini… 더보기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개미투자자들

댓글 0 | 조회 5,984 | 2020.07.14
주식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제 침체에 아랑곳없이 최근 역대 최고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급격히 늘어난 개미투자자들… 더보기
Now

현재 바이러스 공포에서 일자리 공포로

댓글 0 | 조회 10,205 | 2020.06.24
올 겨울에 어느 때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추운 계절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살아 남았지만 그 후폭풍인 정리해고의 희생자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