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은 뉴질랜드 경제의 생명선

이민은 뉴질랜드 경제의 생명선

0 개 5,645 코리아포스트
최근 경기 침체로 실업이 늘면서 뉴질랜드도 호주처럼 이민을 줄여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뉴질랜드 정부는 외국인 취업을 제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일부 업체의 현지인 해고가 알려지면서 이민자들이 현지인의 일자리를 뺏는다는 피해의식이 확산되고 있는데…

외국인 워크비자 제한 움직임

뉴질랜드는 매년 이민 쿼터를 정해 4만5,000명 내외의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부족한 기술 인력을 충당하기 위해 수천 명의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임시 취업허가를 내주며 뉴질랜드 내 각종 산업체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임시 취업허가는 지난 2007~2008년 회계기간 전년 대비 13% 증가한 18만8,000건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최근 조나단 콜맨((Jonathan Coleman) 이민 장관은 “불경기 때에는 취업에 대한 우선권이 뉴질랜더에게 주어질 것” 이라며 “이에 따라 임시 워크비자의 발급과 갱신은 없을 것” 이라고 발표했다.

콜맨 장관은 지난해 10월 현지인 노동자 28명을 해고하면서 필리핀 출신 용접공들에게는 워크퍼밋을 갱신하면서까지 계속 일자리를 준 뉴 플리머스 소재 ‘MCK Metals Pacific 주식회사’에 대한 조사를 약속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크라이스트처치 소재 ‘Hamilton Jets’라 는 회사에서도 임시 계약으로 고용된 외국인 근로자들은 그대로 두면서 28명의 뉴질랜드 근로자들을 해고하는 일이 벌어졌다.

‘MCK Metals Pacific 주식회사’의 프라모드 카트리(Pramod Khatri) 대표는 “9명의 필리핀 근로자는 2007년 10월 알루미늄 용접 및 광택 분야에서 뉴질랜드인 기술자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고용했다”라고 해명했으나 이민부는 이들 가운데 6명의 워크비자 요건을 취소해 더 이상 일을 못하도록 했다.

이민 당국은 정리해고가 있었던 사실을 미리 알았다면 비자 요건을 승인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워크비자 취소 이유를 설명했고 콜맨 장관은 이 같은 결정을 환영했다.

이민자들 정부 측에 우려 표명

정부가 이민자의 워크퍼밋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민 근로자, 이민자 지원단체, 노조 대표 등 100여명은 지난달 오클랜드의 트레이드 홀(Trades Hall)에서 모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정부 측은 기존의 정책을 변경할 어떤 계획도 없다며 이민자들의 우려를 무마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콜맨 장관을 대신해 참석한 대변인은 “임시 워크퍼밋의 갱신에 대해 정부의 정책 변화는 없다” 면서 “항상 그랬던 것처럼 뉴질랜드인 근로자를 구할 수 없을 때 워크퍼밋은 발급된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또 “실업이 늘면서 일자리를 채울 수 있는 뉴질랜더가 늘었고, 따라서 임시 워크퍼밋의 발급이나 갱신은 줄어 들기 마련이다. 새로운 것은 없고 새로운 것이 있다면 실직한 키위가 늘었다는 점이다. 외국인 근로자가 유효한 워크퍼밋을 가지고 일한다면 뉴질랜더보다 먼저 해고해야 한다는 어떠한 암시도 없다”고 말했다.

워크퍼밋의 취소를 우려해 익명을 요구한 정보기술산업 분야 필리핀 근로자는 “임시 워크퍼밋 갱신을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발표한 뉴질랜드 정부는 위선적이다” 며 “이민부 웹사이트는 퍼밋이 취소될 함정이나 리스크에 대한 경고 없이 기술 이민자를 계속 유혹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국유통노동조합의 라일라 하레(Laila Harre)는 “뉴질랜드는 이민 근로자들을 희생될 수 있는 인력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반드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민 인력에 대한 현지인 시선 개선돼야

하레의 주장처럼 이민과 이민 인력에 대한 현지인의 인식은 개선돼야 한다.

최근 게재된 뉴질랜드헤럴드지의 사설은 이민이 뉴질랜드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현실적인 시선에서 잘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소개할 가치가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제가 어려울 때 일자리 경쟁은 악의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고용 기회를 훔쳐 간다는 비난을 받는 이민자에 대한 적대감이다.

이미 영국에서는 정유소에서 시위가 발생했고 호주에서는 이민 문호를 감축하기로 결정했다.

뉴질랜드에서도 비슷한 동요가 일고 있다.

따라서 뉴질랜드 정부가 호주의 선례를 따르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사업 및 투자이민 조건을 완화하겠다고 언급한 것은 칭찬할 만하다.

전임 노동당 정부에서 연립 정부를 구성했던 뉴질랜드 퍼스트당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당수의 반이민 감정에 영향을 받아 이민 요건이 크게 강화됐다.

그로 인해 투자이민자과 그들의 투자금이 거의 없어지는 암울한 결과를 초래했다.

이제 조나단 콜맨 이민 장관은 앞으로 몇 개월 내에 영어요건과 최소 투자 규모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완화하여 이민을 장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투자 규모에 대해선 큰 이견이 없으나 영어는 언제나 원활한 정착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기 때문에 영어 조건은 항상 논란이 따랐다.

그러나 부유한 투자자들이 살고 있는 지역은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북부 아시아이고 그들은 뉴질랜드의 이민 조건이 너무 까다로우면 언제든지 다른 곳을 선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결국 뉴질랜드는 너무 엄격한 영어 시험을 부과함으로써 등 뒤에 회초리를 벌고 있는 셈이다.

안정된 이민 흐름의 장기 수혜국인 호주가 이제 이민 감축을 단행함으로써 이민자들의 반감을 사게 됐다.

이민 감축은 근시안적 정책

불과 1년전 만해도 호주 정부는 인력 부족과 노령화에 대한 처방으로 1940년대 이후 가장 큰 이민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이제 호주는 이번 회계연도에 기술이민 유입을 11만5,000명으로 거의 2만명 감축했다.

이는 광업 부문의 정리해고와 건설업 침체에 대한 대책으로 이해된다.

호주의 크리스 에반스(Chris Evans) 이민 장관은 “이는 외국인 혐오나 반이민에 기인한 정책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에반스 장관의 설명이 맞을지 모르나 설령 그렇다고 해도 이는 대단히 근시안적인 정책이다.

이민은 수요가 되살아 났을 때 기술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처방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이민 감축은 소매 증가, 일자리 창출, 주택시장 활성화 등 이민자가 기여한 긍정적인 효과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번 정책은 호주 실업 문제의 희생양을 찾는 사람들에게 환영 받을지 모르나 이민으로부터 얻는 혜택과 이민자들이 일자리를 뺏어간다는 인식을 각인시키는 접근이라는 점에서 모든 정부들은 배척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단순하지 않고, 그 중심에는 이민자 유입의 조절은 단지 다른 형태의 보호주의에 불과하다는 논점이 있다.

이번 발표로 호주에서의 반발을 피할 수 없고 뉴질랜드가 반사이익를 볼 수도 있다.

실업률이 오르고 있지만 뉴질랜드는 아직도 기술력 부족을 겪고 있다.

이전에 호주를 선호했던 기술 인력이 이제 뉴질랜드로 올 수 있고 그렇게 된다면 뉴질랜드에게는 이득이 될 뿐 아니라 세계 경제가 회복됐을 때 더 좋은 곳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되고 우호적인 이민 정책이 절대 필요한 것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예의바른 전화가 이틀 연속 내게… 왜?

댓글 0 | 조회 1,353 | 1일전
최근 뉴질랜드 주재 한국대사관은 웹사이트 등 자체 온라인망을 통해 교민들에게 ‘경찰 사칭 스캠 전화’를 주의하라는 안내를 내보냈다.대사관 측은, “주재국 경찰 당… 더보기

절도, 이민자 착취, 위협 행위, 그리고 녹색당

댓글 0 | 조회 1,417 | 3일전
좌파 계열의 녹색당이 올해 들어 소속 의원들의 잇단 비행에 지지도가 급락하고 있다. 매장에서 물건을 훔치는가 하면 운영했던 사업체에서 이민 근로자의 임금을 체불한… 더보기

해외로 이주하는 뉴질랜드인 역대 최대

댓글 0 | 조회 5,359 | 2024.06.12
높은 생활비와 장기화되고 있는 경기 침체에 버티기 힘든 뉴질랜드인들이 더 나은 기회와 높은 수입, 삶의 질을 위해 뉴질랜드를 떠나고 있다. 뉴질랜드 시민권자의 이… 더보기

아시안과 마오리 인구, 엇비슷해졌다

댓글 0 | 조회 1,987 | 2024.06.11
뉴질랜드 통계국은 2023년 3월 7일 기준으로 실시했던 ‘제35차 센서스(35th Census of Population and Dwellings)’ 중 인구와 … 더보기

죽음의 공포 겪은 국제선 승객들

댓글 0 | 조회 4,909 | 2024.05.29
최근 런던을 떠나 싱가포르로 향하던 국제선 여객기가 극심한 ‘난기류(turbulence)’를 만나 한 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크게 다치는 참사가 벌어졌다.이번 … 더보기

일부 지역 올해 주택 감정가 떨어질 듯

댓글 0 | 조회 3,474 | 2024.05.28
올해는 오클랜드 카운슬을 비롯한 지역 카운슬들이 3년마다 지역내 주택들의 감정가격을 고시하는 해이다. 지난 2021년에 이어 3년 만에 실시되어 연말쯤 각 가구에… 더보기

이민 줄이기 위한 워크비자 강화

댓글 0 | 조회 7,703 | 2024.05.15
이민자 수가 사상 최대로 늘면서 이민 규제에 대해 검토해온 뉴질랜드 정부가 마침내 세부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달 7일 에리카 스탠포드(Erica Stanford)… 더보기

“어! 내 차가 어떻게…” 도난차 뒤쫓다 벌어진 참극

댓글 0 | 조회 3,854 | 2024.05.14
5월 초부터 남섬 북부 말버러 지방의 중심 도시인 ‘블레넘(Blenheim)’에서는, 2년 전 이 지역에서 발생했던 한 교통사고와 관련한 재판이 시작돼 국내 언론… 더보기

긴 생활비 위기에 중산층까지 무너질 판

댓글 0 | 조회 7,171 | 2024.04.24
뉴질랜드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역성장을 하면서 기술적 경기 침체 국면에 빠졌다. 끈질기게 물러나지 않는 고인플레 시대를 겪고 있는 보통 뉴질랜드인들은 경기까지 … 더보기

개 & 고양이, 그리고 테이저건 이야기

댓글 0 | 조회 2,230 | 2024.04.23
지난 2010년부터 뉴질랜드 경찰은 많은 논란 끝에 제압 도구로 권총 형태로 생긴 ‘테이저건(Taser gun)’을 도입해 현재까지 일선 현장에서 사용 중이다.테… 더보기

재산세 폭탄 … 평균 15% 인상 전망

댓글 0 | 조회 6,518 | 2024.04.10
물가 급등의 긴 그림자가 재산세까지 미칠 것으로 보인다. 작년에 이미 10% 가까운 평균 인상률을 보였던 재산세가 지방 카운슬들의 각종 사업 비용이 상승하면서 올… 더보기

이슈로 다시 등장한 ‘갱단 단속법 개정안’

댓글 0 | 조회 2,907 | 2024.04.09
국민당 주도 새 연립정부가 지난해 10월 총선 캠페인에서 공약하고 실제로 집권 후 마련한 ‘100일 계획’ 중 하나로 발표했던 새로운 갱단 관련 법률안에 대한 주… 더보기

깜짝! 50달러 지폐가 왜 나무둥치 밑에…

댓글 0 | 조회 5,617 | 2024.03.27
평범한 두 명의 뉴질랜드 시민이 50달러 지폐를 우리 주변의 은밀한 장소에 숨긴 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올려 다른 사람이 찾아가도록 하는 ‘… 더보기

갑자기 불어닥친 언론 한파

댓글 0 | 조회 2,974 | 2024.03.26
오는 7월부터 텔레비전 채널 3에서 모든 뉴스 프로그램이 사라진다. 또 채널 1에서도 5월 중순부터 저녁 6시 뉴스 이외의 모든 뉴스 프로그램과 대표적인 시사 프… 더보기

가는 뉴질랜드인, 오는 외국인

댓글 0 | 조회 6,163 | 2024.03.13
작년 뉴질랜드 시민권자의 이민 순유출이 사상 최고를 보인 반면에 비시민권자의 이민 순유입도 사상 최고를 기록하며 대조를 이루었다.또한 인구의 자연 증가율이 194… 더보기

철로, 말발굽에서 튄 불꽃이…

댓글 0 | 조회 1,888 | 2024.03.13
여름이 지나고 계절이 가을로 접어들었지만 전국 곳곳에서 산불을 비롯해 야외에서 일어난 화재 소식이 끊이지 않고 있다.지난 2월 중순 크라이스트처치의 ‘포트 힐스(… 더보기

‘오커스’ 합류가 뉴질랜드의 최선 이익인가?

댓글 0 | 조회 3,339 | 2024.02.28
국민당 주도 3당 연립정부 출범 이후 호주, 영국, 미국의 안보 동맹인 오커스(AUKUS, Australia-United Kingdom-United States)… 더보기

“2월 14일만 되면…” 고난 겪는 ‘Captain Cook’

댓글 0 | 조회 1,753 | 2024.02.27
매년 2월 14일이 되면 백화점 등 유통업계는 ‘밸런타인 데이’를 맞아 초콜릿을 비롯한 갖가지 상품을 내걸고 연인들을 유혹한다.하지만 이날이면 수난을 당하는 역사… 더보기

빚의 덫에 빠진 사람들

댓글 0 | 조회 5,413 | 2024.02.14
뉴질랜드 인구의 약 10%인 56만명이나 되는 많은 사람들이 사회개발부, 법무부, IRD 등 정부기관에 오랜 기간 갚지 않은 빚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더보기

강진과 자연재해 “더 세고 더 자주 온다”

댓글 0 | 조회 2,451 | 2024.02.14
2월 초 뉴질랜드 언론들은, 중앙 정부가 앞으로 더욱 빈발할 기상 재해와 함께 그리 멀지 않은 미래, 당장 내일일 수도 있는 때 나라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는 ‘… 더보기

새학기 “학부모 허리 휘게 하는 교복”

댓글 0 | 조회 3,739 | 2024.01.31
​최근 새 학년도 출발을 앞두고 뉴질랜드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교복 마련에 허리가 휘고 있다는 기사가 여러 차례 국내 언론에 실렸다.실제로 팬데믹을 거치며 엄청난 … 더보기

2024년 주택시장 예측

댓글 0 | 조회 5,830 | 2024.01.30
올해 주택시장이 거의 2년간의 침체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이민 증가로 주택수요가 늘고 금리는 궁극적으로 하락해 주택시장에 활기를 … 더보기

땜방식 비자 정책에 설 곳 잃은 이민자들

댓글 0 | 조회 4,649 | 2024.01.17
이민 당국의 비자 정책이 자주 바뀌면서 뉴질랜드에 정착하려는 많은 이민자들이 불법체류자로 전락하는 등 뜻하지 않은 상황에 맞닥뜨리고 있다. 이민 관련 단체들은 이… 더보기

10만 년 이래 가장 더웠던 지구, 뉴질랜드는?

댓글 0 | 조회 4,130 | 2024.01.16
지구가 그야말로 펄펄 끓어오르고 있다.본격적으로 여름을 보내는 중인 뉴질랜드 역시 무더위가 몰려온 데다가 건조한 날씨까지 이어져 전국 곳곳에서 화재가 빈발해 소방…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3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445 | 2023.12.23
■ 아던 총리 전격 사임1월 19일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가 네이피어에서 열린 노동당 연례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에서 “다음 4년을 위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