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이혼 통계로 본 2013년의 NZ

결혼과 이혼 통계로 본 2013년의 NZ

0 개 9,691 서현
524.jpg

작년 12월 31일까지 1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이뤄진 결혼등록 건수는 모두 19,237건이었으며 반면 이혼 건수는 8,279건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자료는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NZ)이 이 5월 5일(월) 발표한 2013년 한 해 동안의 결혼과 이혼 등에 대한 통계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이번 통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해 살펴봄으로써 결혼과 이혼 등에 대한 뉴질랜드 국민들의 태도가 과거에 비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계속 감소하는 결혼 등록>
2013년에 등록된 결혼 건수 19,237건은 한해 전의 20,521건, 그리고 2003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간 평균인 21,108건보다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 (표 1 참조)
524 2.jpg

이는 사회적으로 결혼을 굳이 하지 않고 사실혼 관계만으로도 결혼과 동일한 권리를 얻을 수 있는 법적인 제도 변화와 사회 풍조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가 반영된 것이며, 특히 젊은 세대의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9,237건의 결혼 등록 중 13,312건이 첫 결혼 등록이며 5,825건은 재혼 또는 그 이상의 결혼이었으며 100쌍의 커플이 그들의 관계를 ‘시빌 유니온(civil union)’에서 정식 결혼 관계로 변경시켰다. 

이 같은 결혼 건수 감소로 인해 작년에 만 16세 이상 인구 중 결혼한 비율(general marriage rate)는 해당 인구 1천명당 10.9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장 높았던 지난 1971년의 45.5명에 비해서는 1/4 이하로 급감한 상태이다. (표2 참조)
524 3.jpg

한편 2013년에 동성 간의 결혼 등록 건수는 209건으로 알려졌으며 이 중 84건은 남성간, 그리고 나머지 125건은 여성 간의 결혼 등록이었는데, 국내에서 동성간 결혼이 합법화된 것은 2013년 8월 19일 이후이다.

이 같은 동성 간 결혼에서 여성이 남성들보다 더 많은 추세는 지난 2005년에 결혼에 준하는 관계를 인정해주는 ‘시빌 유니온’이 공식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현상이다.

또한 결혼 등록 중 20% 가량인 2,416건은 외국에 거주하는 이들이 국내에서 결혼 등록을 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60% 가량은 이웃 국가인 호주 출신이 결혼하기 위해 뉴질랜드로 들어온 경우로 밝혀졌다.

전국의 각 지역별로 이뤄진 작년의 결혼 등록 및 시빌 유니온 등록은 다음과 같다. 
524 1.jpg

<점차 늦어지는 결혼 연령>
연령별로 분석된 결혼 등록 통계를 보면 초혼인 경우 작년에 결혼 등록자의 중간연령(median age)은 남자의 경우 30.1세, 여성의 경우는 28.6세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녀 각각 27.3세와 25.2세였던 1993년에 비해서는 남녀 공히 약 3살 정도씩 결혼 연령이 높아진 셈이다.

16세 이상 국민 중 결혼 비율이 가장 높았던 1971년에 처음 결혼하는 남녀의 중간연령은 각각 23세와 20.8세였는데 이후 2004년까지 빠른 속도로 초혼 연령이 계속 늦어지다가 이후에는 그 추세가 둔화됐다. (표 3 참조) 
524 4.jpg

한편 초혼인지 재혼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작년에 이뤄진 결혼등록의 중간연령은 남녀가 각각 32.4세와 30.4세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종전에 보지 못했던 기록을 세웠던 1971년의 남녀 각각 23.5세와 21.2세에 비해서는 거의 10살 정도나 높아진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동성간 결혼 합법화로 시빌 유니온 감소>
한편 작년 8월에 동성간 결혼이 합법화된 이후 이전까지 결혼에 준하는 관계로 인정 받아온 동성 간의 시빌 유니온 등록은 2012년의 235건에서 작년에는 121건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작년에 시빌 유니온 등록건수 중 46건은 외국에서 온 사람들로 이 역시 그 한 해 전의 87건에 비해 감소했는데, 2006년부터 1013년 사이에 시빌 유니온 관계 등록을 위해 뉴질랜드를 찾았던 커플 10쌍 중 9쌍은 동성 간 등록이었다. 

<커플 1천 쌍 중 9.4쌍 이혼>
한편 2013년에 국내의 각 지역 법원에 의해 이혼이 허가된 건수는 모두 8,279건이었는데, 이는 매 1천 쌍의 커플 중 9.4쌍의 커플이 작년 한 해 동안에 이혼했으며 이로 인해 추정되는 이혼율이 9.4%이었음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이혼이 급증했던 해는 지난 1981년으로 이는 그 한 해 전에 ‘화해할 수 없는 차이(grounds of irreconcilable differences)’를 사유로 하는 이혼이 가능하도록 법이 개정된 결과였다. 

이로 인해 1982년에도 한 해 동안 12,395건의 이혼이 이뤄지면서 이혼율도 17.1%까지 치솟았는데 그 다음 해에는 8,555건으로 건수가 급감했으며, 2004년에 이르러 연간 이혼 건수가 10,609건으로 다시 늘어나기 시작한 것으로 통계는 보여주고 있다.

이후 이혼 건수는 대부분 매년 감소 추세를 보였고 이혼율 역시 하락했는데 2009년부터 작년까지 5년 동안에는 매년 평균 8,645건의 이혼 등록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참조) 
524 5.jpg

이에 따라 비록 정확하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자료를 근거로 추정할 수 있는 이혼율은 1990년대 후반 12% 대에서 2000년대 중반에 11% 대를 거쳐 현재는 10% 미만으로 낮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혼을 하는 연령대는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작년에 이혼한 사람 중 중간연령은 남자의 경우 46.4세, 그리고 여자는 43.8세로 나타났는데, 이는 2003년의 남녀 각각 42.5세와 40.1세에 비해 10년 만에 남자는 3.9세 여자는 3.7세가 늦어진 것이다. 

이 같이 이혼 연령이 종전보다 더 많아진 데는 초혼 연령이 예전보다 늦어진 경향과 함께 결혼 유지기간이 길어진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실제로 이혼하는 사람들의 평균 결혼 유지기간은 작년에 14.2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0년 전인 2003년의 13.1년에 비해 1년 이상 길어진 상황이다. 

또한 시빌 유니온 관계를 해소한 건수도 작년에 164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아지는 이혼 연령> 
이번 통계자료를 통해서는 결혼 등록 중 이혼이라는 파국으로 결말을 맺은 건수가 정확히 집계되지는 않으나 연간 결혼 등록건수와 이혼건수를 참조해 비교했을 때, 지난 1988년에 결혼했던 커플이 결혼 25주년이었던 작년까지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그 이전에 이혼했을 경우가 3쌍 중 1쌍 꼴인 35%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 1978년에 결혼했던 커플 중 32%가, 그리고 1968년에 결혼했던 커플은 26%가 같은 시기 내에 이혼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이들보다 높은 비율로, 이혼율 역시 세대가 내려갈수록 높아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편 작년에 이혼한 커플 중 3,510쌍은 자녀가 있는 상태에서 이혼했는데 이들의 자녀는 모두 6,289명으로 집계돼 커플 당 평균 1.79명의 자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2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10년 전인 2003년에는 자녀가 있는 4,838쌍이 이혼했으며 이들에게는 모두 9,121명의 자녀가 있어 평균 1.89명이었는데, 이혼하는 커플의 자녀 숫자는 매년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이다.       

              <남섬지국장 서현>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1,280 | 2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942 | 3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466 | 3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766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24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19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62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22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30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471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395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32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080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08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09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784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60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47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08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00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64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32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27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65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82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