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급한 어린이 환자를 살려라!

위급한 어린이 환자를 살려라!

0 개 3,761 서현
560.jpg

태어나자마자 목숨이 경각에 달렸던 한 신생아를 살려낸 기적 같은 이야기가 최근 국내 언론에 소개됐다.

이 아기를 구하는 데는 당연히 전문 의료진들의 신속했던 대응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최근에 도입된 어린이 환자 전용의 구급 비행기가 없었다면 치료 자체가 아예 불가능했었다는 사실이 또한 함께 알려졌다.
 
이번 호에서는 당시 긴박했던 신생아 이송 및 치료과정과 함께 도입 이후 현재까지 전국을 무대로 활약하고 있는 구급용 비행기를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생사의 갈림길에 섰던 신생아>
 
지난 7월 31일(금)에 웰링톤 병원에서는 로라 랜즈(Lola Rands)라는 이름을 가진 여자아이가 제왕절개수술로 태어났다.
 
로라의 부모에 따르면, 강인했던 자신의 증조 할머니 이름을 물려 받은 것으로 알려진 로라는, 그러나 태어나자마자 자력으로는 호흡이 거의 불가능했는데 이는 로라가 엄마의 뱃속에 있었을 당시 삼켰던 한 모금의 양수가 그녀의 폐로 들어가 염증을 일으켰기 때문이었다.
 
출산 후 단 12분 만에 아이의 호흡이 거칠어지면서 맥박이 급격히 떨어지자 웰링톤 병원 의료진은 즉시 아이에게 마스크를 씌운 후 관을 호흡기에 연결하고 외부에서 강제로 산소를 주입하는 인공호흡장치를 다는 등 해당 병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취했다.
 
그러나 기존 장비로는 로라의 생존에 충분한 만큼의 호흡을 시킬 수 없는 한계에 봉착했고 결국 로라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핏기를 잃어가면서 몸 전체가 파랗게 질려가기 시작했다.
 
결국 태어나자마자 죽음의 벼랑 끝에 내몰린 로라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몸 밖에서 그녀의 폐와 심장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장비인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를 이용하는 방법뿐이었다.
 
한국에서는 ‘에크모’라고 알려진 이 장비는 지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발생 당시 이 병에 감염됐던 삼성병원 의사가 위독한 상황이라며 이를 부착했다고 보도되면서 용어 자체가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진 바 있다. 
 
보통 산소마스크를 가지고도 자발적 호흡유지가 안 되는 경우 기도에 관을 넣어 폐에 공기를 넣은 일반적인 인공호흡장치를 부착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 기능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혈액까지 산소를 공급하는 게 불가능해진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한국어로 ‘체외막 산소화 장치’라고 불리는 에크모로서 이를 통해 신체 외부에서 바로 혈액으로 산소를 공급해주는데 주로 심장판막수술 등 심장과 관련된 수술을 할 때 사용된다.
 
그런데 문제는 이 장비를 가동할 수 있는 시설이 오클랜드 병원과 함께 같은 오클랜드 지역에 있는 스타쉽(Starship) 아동병원 등 국내에서는 단 2곳의 병원에만 설치돼 있다는 점이었다.
 
 
<긴급히 소집된 전문의들>
 
상황이 이에 이르자 로라를 살리기 위해 스타쉽 병원의 전문 의료진들이 긴급히 소집됐는데, 이들은 스타쉽 병원의 커스틴 피누캔(Kirsten Finucane) 소아심장 전문의를 비롯해 소아심장 마취의 데이비드 버클리(David Buckley) 등 모두 5명이었다.
 
이들은 준비된 의료용 전문 구급 비행기를 타고 650km 떨어진 웰링톤으로 향했는데, 문제는 비행기로 이동 중에도 태어난 지 얼마 안 되는 신생아가 과연 이 같은 과정을 무사히 견뎌낼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또한 설령 무사히 살아난다고 해도 뇌에 공급되는 산소의 부족으로 인해 영구적인 뇌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았는데, 그러나 로라는 사람들의 모든 예상을 뒤엎고 꿋꿋이 모든 과정을 기적처럼 이겨냈다.
 
결국 아이는 스타쉽 병원의 소아 중환자실에서 그녀에게는 생명줄이나 다름 없는 ECMO를 부착한 채 폐가 회복되기까지 10일 동안을 머문 후에 웰링톤의 신생아 중환자실로 옮겨질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됐다.
 
로라의 부모는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온갖 의료장치들을 몸에 주렁주렁 매단 채 스타쉽 병원으로 향할 당시만 해도 생존 가능성이 없으리라고 포기하다시피 했지만 기적과 같은 일이 벌어졌다면서 감사하고 있다.
 
로라를 치료한 의료진 중 한 명은, 아기가 잘 버텨주었으며 또한 필요한 시기에 반드시 필요로 했던 의료진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일 수 있었던 것도 큰 행운이었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것이 바로 우리가 이 일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아이를 살린 보람을 전했다.
 
 
<맹활약 중인 어린이 환자 전문 에어 앰뷸런스>
 
이번에 로라를 살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비행기의 정식 이름은 ‘Starship National Air Ambulance’으로, 기종은 미국의 텍스트론 항공에서 만든 11인승 규모의 ‘King Air 350’이며 쌍발 터보 프로펠러기이다.
 
이 비행기는 인구는 적은 대신 상대적으로 국토가 넓어 외딴 오지가 많은데다가 충분한 의료장비와 의료진을 갖추지 못한 도시가 많은 뉴질랜드의 제반 환경을 감안, 생명에 위협을 받는 어린이 환자를 스타쉽 병원으로 긴급하게 이송하기 위해 도입됐다.
 
기존에도 에어 앰뷸런스는 여러 종류가 운항 중에 있지만 이 비행기에는 전문적인 최첨단 생명유지장치가 설치됐으며 더 빠르기도 하거니와 호주나 남태평양 지역까지 비행도 가능한데,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는 중인 어린 환자들을 위해 기체에 만화 캐릭터 같은 그림을 그려 넣는 등 디자인에도 세심하게 신경을 썼다.
 
즉, 신생아를 포함한 아동 환자들은 성인과는 전혀 다른 환경에 놓이게 된다는 사실을 감안, 전문적인 의료인력이 이송 과정 중에 첨단 장비들을 가지고 현장에서 곧바로 대처할 수 있도록 어린이 환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아동들이 겪는 일상적 질병보다는 교통사고나 야외활동 중 일어나는 각종 사고와 함께 심장과 뇌에 관련된 급작스러운 질병 등에 대처하는 것이 주 목적인데, 지난 6월 25일에 도입된 후 이 비행기에 설치된 모든 생명유지장치를 사용해 이송한 첫 번째 환자가 바로 로라였다.
 
재단 홈페이지에 따르면 11월 초 현재, 지난 3개월 동안 이 비행기는 와이카토와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에 각각 13번씩이나 출동했던 것을 비롯해 웰링톤과 크라이스트처치에도 7번씩 출동했으며 사우스랜드에 6회 등 전국 방방곡곡을 아주 바쁘게 날아다녔던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쉽 재단(Starship Foundation)은 이 에어 앰뷸런스를 운영하기 위해 매년 150만 달러를 모으고 있으며 이는 전문 직원들의 훈련비용과 함께 비행기의 운항경비로 사용되는데, 현재 이 에어 앰뷸런스에 대한 가장 큰 후원기업은 위성방송채널인 SKY TV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11월 한달 동안 SKY TV는 가입자들을 상대로 매달 5 달러씩의 기부금을 모으는 캠페인을 전개 중인데 기부금 전액은 재단에 기부되며 기부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www.sky.co.nz/starship-offer를 참조하면 된다.  

남섬지국장 서 현

노숙인들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

댓글 0 | 조회 1,864 | 2일전
최근 거리나 공원, 자동차 등에서 생활하는 노숙인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그러나 정부는 비상주택에 지내고 있는 사람들이 줄었다며 관련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 더보기

서머타임, 앞으로도 유지할까?

댓글 0 | 조회 1,597 | 2일전
지난 4월 6일(일) 새벽에 ‘서머타임(Summer time, ST)’ 적용이 끝나면서 시계가 한 시간 전의 ‘표준시’로 돌아갔다.매년 서머타임이 시작되거나 끝날… 더보기

AI 시대가 온다: 일자리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730 | 3일전
1. AI 시대의 도래와 현재 기술 발전 현황 (2023~2025)인공지능(AI)이 더 이상 공상과학 속 미래 기술이 아닌, 우리 일상의 중심 화두가 되었다. 특… 더보기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3,565 | 2025.04.09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971 | 2025.04.08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706 | 2025.04.08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908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613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826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580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312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641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84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506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215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70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099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82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56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334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484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85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7,003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138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602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