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물거리는 오클랜드 주택 개발

꾸물거리는 오클랜드 주택 개발

0 개 7,255 JJW
focus.jpg

오클랜드의 주택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오클랜드 카운슬은 지난 2013년 오클랜드 주택협정을 체결하고 그해 10월부터 ‘특별주택구역(Special Housing Areas)’를 지정, 3년간 연차적으로 9,000건, 1만3,000건, 1만7,000건 등 총 3만9,000건의 신규주택 건설허가를 목표로 세웠다. 2년이 지난 현재 97개 특별주택지역에서 신축된 주택은 목표에 턱없이 미달, 특별주택구역이 땅값만 올려 놓은 실패작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신속한 허가 절차 위해 ‘특별주택구역’ 지정

오클랜드 주택 건설 경기는 이민과 밀접한 상관을 보여 왔다.

지난 2003년 9월말 기준 신규주택 건설허가는 연간 1만2,500건으로 2001년 9월의 7,300건에 비해 71.2% 급증했다.

이 기간 오클랜드로 유입된 이민자도 크게 늘어 2003년 9월말 기준으로 연간 순이민자 수가 2만명이 넘었다.

그 후 호주에 광산 붐이 불면서 호주로 건너 간 키위들이 급증, 순이민자가 2005년 6,000명으로 떨어졌고 신규주택 건설허가도 2004년 이후 내리막 길을 걸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주택 경기도 한파를 맞았다.

2009년 9월 기준 신규주택 건설허가는 3,300건으로 2003년에 비해 73.6%나 감소한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2013년 9월까지 주택허가는 5,600건으로 다소 회복했으나 늘어나는 인구에 비해 주택 공급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정부와 오클랜드 카운슬이 협정을 맺고 허가 절차를 신속히 처리하는 특별주택구역을 지정하게 된 것이다.

협정 이후 2년간 완공된 주택 고작 102채(?)

지난 2년 동안 호주로의 이주가 줄고 오클랜드 유입 인구가 급증하면서 오클랜드 주택 건설은 활기를 띠고 있다.

오클랜드의 연간 순유입 인구는 9월말 기준 2013년 7,700명에서 올해 2만8,400명으로 급속히 늘었다.

연간 신규주택 건설허가도 9월말 기준 2013년 5,600건에서 2014년 7,400건, 올해 8,700건으로 증가해 왔다.

신규대지 허가까지 포함하면 2014년 1만1,060건으로 오클랜드 주택협정의 1차연도 목표인 9,000건을 초과했으나 2차연도인 올해 6월까지 8,861건을 기록, 목표치인 1만3,000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난 1년간 오클랜드 인구 유입은 사상 최고를 기록하며 2003년 이민 붐 때보다 많았으나 신규주택 건설은 오히려 그 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건설허가가 주택 완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신규주택 건설허가를 발급했어도 실제로 주택이 완공될 보장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실제 10월 8일 현재 97개 특별주택구역 가운데 신규주택 건설허가는 26개 지역에서 2,027건이었고, 뉴질랜드헤럴드지에 따르면 102건만이 완공된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이는 91채의 주택이 지어진 웨이마우스(Weymouth)와 11채의 노던 타마키(Northern Tamaki) 등 2개 지역에 집중됐다.

이와 관련, 오클랜드 카운슬의 주택개발 및 인프라 전략부 데이비드 클레랜드(David Clelland) 부장은 “특별주택구역에서 완공된 주택을 집계하는 시스템이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며 “웨이마우스와 노던 타마키는 우리 감사관이 직접 점검하여 알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97개 특별주택구역가운데 1건 이상의 허가가 이뤄진 26개 지역 이외의 나머지 지역은 아직까지 단 한 건의 신축 허가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특별구역의 토지는 개발되지 않고 묶여 있거나 주택도 지어지지 않은채 전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focus 1.jpg

땅값 급등으로 저렴한 주택 공급 불가

특별주택구역에 신속한 허가를 받아 주택을 개발하는 업자에게는 조건이 따른다.

이들이 공급하는 주택의 10%를 오클랜드 중앙 주택가격의 75%, 현행 57만8,250달러 아래로 공급하거나 5%를 오클랜드 중앙 가구소득의 30%, 현행 40만5,588달러 이하로 공급해야 한다. 이 40만5,588달러는 주택가격의 90%를 현행 2년 금리로 대출받아 30년 동안 상환하는 가정에서 산출한 것이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허가를 내준 2,027건의 주택 가운데 이 같은 조건에 맞는 경우가 웨이마우스와 노던 타마키에 이미 지어진 102건 이외에 622건으로 추산하고 있다.

특별주택구역의 땅값과 각종 건설 자재비 상승으로 그만한 가격대의 주택 건설이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특별주택구역 지정이 땅값을 올려 놓아 부동산 투자자들의 배만 불리고 정작 신규주택 개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이다.

플랫 부시(Flat Bush) 머피스 로드(Murphys Road) 특별주택구역에서 140채의 주택을 짓고 있는 이반 프리스켄(Ivan Frisken)은 “땅값이 크게 올라 이제 모든 섹션은 50만달러를 호가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완공된 주택은 적어도 110만달러를 받아야 한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이제 이 일대는 저렴한 주택 공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별주택구역으로 적당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5월 특별주택구역으로 지정된 쿠메우(Kumeu) 오라하 로드(Oraha Road)의 16헥타아르 부지는 지정된 이후 매각됐다.

패라타(Paerata)의 4.2헥타아르 부지와 2013년 12월 특별주택구역으로 지정된 오네훙가(Onehunga) 조지 테라스(George Terrace)의 0.6헥타아르 상업용 부지도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투기지역으로 변질된 특별주택구역

노동당의 필 타이포드(Phil Twyford) 주택 담당 대변인은 “특별주택구역은 또 다른 부동산 투기 기회만 제공하고 실제 신규주택 건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오클랜드의 주택 부족은 오클랜드 카운슬의 느린 허가 절차에만 기인한 것은 아니다.

생산성위원회는 뉴질랜드 건축산업의 규모와 능력을 포함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오클랜드 주택 공급 부족 문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클랜드 집값 급등은 주택 공급 부족의 원인도 있지만 투기적 수요도 무시하지 못할 요인이다. 

부동산 투자로 한 몫을 챙긴 이들의 이야기가 연일 주요 매체를 장식하면서 부동산 거품이 뉴질랜드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고 최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부동산 시세 상승이 둔화되면 투기적 수요도 잠잠해 질 것이고 토지를 개발하지 않고 보유만 하고 있는 투자자들도 불안해질 것이다.

오클랜드 주택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지난 10월부터 시행된 정부의 세금정책과 지난달부터 실시된 중앙은행의 대출규제 강화가 어떤 식으로든 오클랜드 주택 공급에 도움이 돼야 한다는 기대가 높다.

왜냐하면 정부와 오클랜드 카운슬이 추진하고 있는 오클랜드 주택협정이 주택 공급 측면에서 효과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030 | 5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227 | 7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37 | 7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06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80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86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96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50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59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05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22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48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04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64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25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05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76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75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27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21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82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49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59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82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98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