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0 개 11,433 서현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723_6578.jpg

 

우리가 사는 이 지구 상에 있는 수 많은 길 중에서 가장 ‘위험한 길(road)’은 어디에 있을까?

 

이 질문에 답을 원하는 독자들이라면 인터넷에서 www.dangerousroads.org 웹사이트를 찾아 들어가면 어느 정도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웹사이트에서 금년 초 발표했던 ‘most dangerous in the world’ 목록에 뉴질랜드 남섬에 위치한 ‘스키퍼스 캐년 로드(Skippers Canyon Road)’가 당당히 3위 자리에 그 이름을 올렸다는 사실을 아는 독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번 호에서는 이 길이 도대체 얼마나 험하고 위험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중 하나로 뽑혔는지, 그리고 이 위험한 도로 건설의 계기가 됐던 뉴질랜드 골드러시 이야기를 함께 묶어서 소개해본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90040_1112.png

 

<스키퍼스 캐년 로드는 어디?>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스키퍼스 캐년 로드는 남섬 퀸스타운 인근의 쇼트오버(Coronet Peak) 강이 흐르는 계곡을 따라 나있으며 총 길이는 26.5km(16.5마일)에 이른다.

 

퀸스타운을 한번이라도 방문해 본 독자들이라면 북동쪽 인근에 자리잡은 골드 러시 시대에 형성된 애로우타운(Arrowtown)이라는, 마치 한국의 민속촌 같은 오래된 마을도 함께 방문해 본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방문객들이 퀸스타운에서 애로우타운으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 가다 보면 퀸스타운의 대표적 스키장인 코로넷 피크(Coronet Peak) 스키장으로 올라가는 길을 만나게 되는데, 스키퍼스 캐년 로드는 이 스키장 진입로를 타고 올라가는 도중에 서쪽으로 갈라지게 된다.

 

이곳부터 종착점까지 이어지는 구절양장의 고갯길이 바로 오늘 소개하는 도로인데, 보통 사람들은 이곳에서 운전은커녕 도로 사진만 쳐다 봐도 오금이 저려올 수 밖에 없게 만든다. 

 

관광객들이 국내에서 차를 렌트하면 운행이 금지될 뿐만 아니라 보험으로도 보장 받지 못하는 도로가 2곳 있는데 그 중 한 곳은 북섬 북단인 90마일 해변에 난 도로들이며 다른 한 곳이 바로 이 도로이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810_974.jpg
 

 

<퀸스타운 설립자 윌리엄 리스>

 

현재 퀸스타운 중심가에서 와카티푸(Wakatipu) 호수와 접하는 리스(Rees) 스트리트에 있는 조그만 광장에는 한 남자가 양과 함께 서 있는 동상을 발견할 수 있다.

 

동상의 주인공은 윌리엄 길버트 리스(William Gilbert Rees, 1827~1898)로 그는 부인 프란시스(Frances)와 처남인 니콜라스 폰 툰젤만(Nicholas von Tunzelmann)과 함께 퀸스타운 지역에 정착해 이 지역을 개척했던 첫 번째 유럽인으로 기록돼 있다.

 

영국 해군장교 아버지 밑에서 웨일즈에서 태어났던 그는 해군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852년에 호주의 뉴사우스 웨일즈로 이주해 양 목장을 경영하다가 잠시 영국으로 돌아가 사촌이었던 프란시스와 결혼했다.

 

이후 1860년 뉴질랜드로 온 그는 ‘하이 컨츄리(High Country) 농장’을 와카티푸 호수와 카와라우(Kawaru) 강이 만나는 인근에 만들었는데, 현재 이 자리에는 힐튼 호텔이 들어서 있다.

 

그의 첫 정착지였던 마을이자 오늘날 프랭크톤(Frankton)으로 불리는 퀸스타운의 외곽도시는 그의 부인 이름을 딴 것이며, 또한 국내외 관광객들이 언슬로우(Earnslaw) 증기선을 타고 와카티푸 호수를 횡단해 들리곤 하는 왈터 피크(Walter Peak) 농장은 리스와 프란시스 사이의 첫 아들의 이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851_2301.jpg
 

 

<때맞춰 불어온 골드러시 바람> 

 

그런데 리스가 퀸스타운에 정착한 뒤 1년 뒤인 1861년 5월에 오타고 지역에서 상업적으로 유망한 금맥이 처음 발견되면서 뉴질랜드에서도 본격적인 골드러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원래 뉴질랜드에서는 1800년대 중반에 코로만델 반도에서 고래잡이 선원들에 의해 소량의 금이 발견되고 이후 넬슨에서도 금이 발견됐지만 오히려 뉴질랜드 거주자들이 이보다 앞서 골드러시가 벌어졌던 미국 캘리포니아와 호주 사우스 웨일즈로 떠나는 현상까지도 생기던 참이었다. 

 

그러던 중 오타고 지방의 파머스톤에서도 소량의 금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본격적으로 상업성이 있는 금맥은 광산탐사가였던 가브리엘 리드(Gabriel Read)에 의해 더니든 서쪽의 현재의 로렌스(Lawrence) 인근 지역인 ‘가부리엘스 걸리(Gabriel’s Gully)’에서 발견됐다.

 

이 소식은 삽시간에 전국에 퍼졌으며 그 해 크리스마스 무렵에는 오타고 지역으로 금을 찾아 모여든 사람들만 무려 1만 4천여 명에 달했고, 1861~1864년에 오타고 지역 인구가 400%나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당시 골드러시 바람이 얼마나 크게 불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리스 역시 금맥 찾기에 나섰으며 그와 동업했던 토마스 아서(Thomas Arthur)와 해리 레드펀(Harry Redfern)이 1862년 11월에 쇼트오버 강에서 대규모 금맥을 발견하면서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골드러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당시 아서와 레드펀은 오늘날 ‘아서스 포인트(Arthur’s point)’로 알려진 지역에서 단 3시간 만에 무려 4온스(113g, 약 30돈)에 달하는 금을 발견하는 그야말로 대박(?)을 쳤는데 이들은 이런 사실을 비밀에 부치지 않고 공개했다.

 

그 결과 1864년 2월에는 이 지역의 광부 숫자만 1만 8천 여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에 퀸스타운에는 호텔과 식당 등이 들어서고 경찰서를 비롯한 법원 등 치안기관들도 설치되면서 본격적인 도시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919_7744.jpg
  

 

<골드러시 계기로 건설된 도로>

 

주지하다시피 당시 골드러시 바람 속에는 많은 중국인 노동자들도 뒤섞여 있었는데 이들 중 많은 이들이 앞서 소개한 스키퍼스 캐년 로드 건설에도 동원됐다.

 

이 도로는 1883년부터 1890년 사이에 건설됐는데 당시는 이미 골드러시 바람은 한풀 꺾인 상태였지만 채굴은 계속 이뤄지고 있었으며 이들 광부들을 위한 필수품 운반뿐만 아니라 덩치가 큰 채굴장비를 날라야 하는 필요성도 있었기 때문에 도로 건설이 계속됐다.

 

건설에 나선 인부들은 흑색화약과 수제 장비에 의존해 작업해야 했으며 계곡을 끼고 도는 험한 지형에서 펼쳐지는 난공사였던 만큼 당연히 희생도 컸다. 

 

이 도로는 많은 구간이 깎아지르는 절벽 경사면을 따라 좁게 형성돼 있어 노폭이 좁으며 포장도 안된 자갈길인데다가 편암지대의 특성 상 주변 바위도 쉽게 부서지고 파편화돼 비라도 오면 도로가 미끄러운 진흙으로 뒤덮여버린다. 

 

이로 인해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1900년대 들어서도 차량 운행을 금지시키기도 했었는데 도로는 지금도 건설 당시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906d04d5365c51629cd6400709516e01_1461889985_0384.jpg

 

<역사유산으로 보존된 도로> 

 

이 도로는 2006년 12월부터 뉴질랜드 역사유적 7684번으로 지정돼 보존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는 쇼트오버 강에서 이뤄지는 제트스키나 다른 레저 활동을 즐기려는 이들이 투어용 차량을 타고 이동하는 길이 됐다.

 

대부분의 구간에서 시속 15km 운행이 권장되고 있는데 만약 도중에서 마주 오는 차라도 만나면 둘 중 한 대는 꼼짝 없이 비켜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곳까지 후진해야 한다.

 

길 한편으로 수십 m 낭떠러지가 펼쳐진 좁은 데다 추락방지용 펜스도 없는 길을 후진하고자 한다면 아무리 숙달된 운전자라도 식은 땀 꽤나 흘릴 것을 각오해야 할 텐데, 더욱이 이 길에는 곳곳에 구덩이가 파여져 타이어 펑크 사고도 잦다는 사실까지 알게 되면 보통 사람들은 가보고 싶다는 생각조차 들지 않을 것이다. 

 

실제 이번 기사에서 자동차협회(Automobile Association, AA)의 한 관계자는, 스키퍼스 캐년 로드가 위험한 길 목록의 상위에 올라간 것이 전혀 놀랍지 않다면서, 자신이 한 차례 투어 차량으로 가본 적 있지만 자가운전으로는 가지 않을 거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 도로 주변의 경치는 정말 대단하지만 대부분의 구간에서 머리털이 곤두서는 두려움을 느끼게 되며 구비를 돌아야 하는 곳에서는 특히 더 공포스럽다고 경험을 전했다. 

 

이 길은 이미 예전에도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길 중 하나로 해외언론에 여러 차례 소개된 바 있으며 현재 유튜브(YouTube) 등에는 관광객들이 찍어 올린 동영상이 여럿 올려져 있기도 하다. 

 

한편 이번 기사에서 나온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길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Turkey - D915 Bayburt Road 

2. India - Keylong-Kishtwar Road 

3. New Zealand - Skippers Canyon Road 

4. France, Italy border (in the Alps) - La piste de l’Amitie 

5. Bolivia - Death Road 

6. Pakistan - Fairy Meadows Road 

7. Siberia - BAM Road 

8. Northern Peru - Ruta 3N 

9. Iceland - Route 622 

 

남섬지국장 서 현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029 | 5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225 | 7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37 | 7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06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80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86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96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50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59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05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22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48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04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63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25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05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76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75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27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21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82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49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59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82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98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