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눈에 반한 마을을 통째로 구입한 수집광

첫눈에 반한 마을을 통째로 구입한 수집광

0 개 8,465 서현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418_1512.jpg

▲ 클라이즈데일이 끄는 역마차

 

지난 2010년 6월, 국내 각 신문들에는 “마을 하나를 집 한 채 가격으로 구입한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일제히 실린 적이 있었다. 

 

당시 뉴스는 해외토픽을 통해 한국과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 언론들에도 널리 소개됐는데, 마을 전체가 하나의 부동산 매물로 등장했던 곳은 남섬 중부의 서던 알프스 산자락에 자리잡은 마을인 ‘오티라(Otira)’였다. 

  

<호텔까지 포함한 마을 가격은 150만 달러>

 

당시 부동산 매물로 오른 오티라에는 작은 호텔과 주택 18채, 철도역사와 마을회관, 소방서, 우체국 등의 건물들이 남아 있었으며 거주민은 부동산을 소유한 주인 내외와 임대주택 14채에 사는 40여명이 모두였다. 

 

주인인 빌과 크리스틴 헤나(Bill, Christine Hennah) 부부는 1998년에 이 마을을 7만 3천 달러에 구입했는데 21헥타르에 이르는 마을 부지는 철도회사로부터 임대된 땅(leasehold)이다. 

 

마을에는 ‘John Burns Gallery of Modern Art’라는 이름의 미술관도 하나 딸려 있는데, 주인 부부는 그동안 호텔을 운영하고 주택을 임대하면서 생활했지만 60대를 넘어서면서 나이가 들어 힘에 부쳐 이를 시장에 내놓게 됐다고 밝혔다. 

 

주인 부부는 누군가 새로 나서서 단장하면 가능성이 많은 마을이라면서, 호텔만 구입할 시 35만 달러, 마을 전체는 150만 달러라고 자신들이 원하는 희망 판매가를 밝힌 바 있다. 

 

당시 이들은 지역당국이 홍수와 지진 위험으로 택지분할이나 개발계획을 잘 승인해주지 않은 게 가장 힘든 일이었으며 중앙정부 역시 마을이 국립공원 안에 있다는 이유로 마을 발전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었다.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472_8575.jpg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473_1037.jpg
▲ 스테이지코치 호텔의 현재와 과거 모습

 

<오티라는 어떤 곳?>

 

남섬 동해안 도시인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서해안으로 가려면 대부분 국도 73호선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 도로는 중간에 험준한 서던 알프스 산맥을 넘는 아서스 패스(Arthur’s pass)를 거쳐야 한다.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773_3056.jpg

 ​ 오티라 터널 개통 당시 지도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고개 정상까지는 비교적 완만한 오름세이지만 정상부에서 서해안으로 내려가는 길은 깊은 계곡으로 떨어지면서 경사가 가파르게 변한다. 

 

바로 이 지역이 오티라 협곡이고 마을은 이 협곡에 위치하는데, 과거 동서를 연결하는 철도가 뚫리기 전까지 그레이마우스(Greymouth) 등 서해안 지역에서 동해안으로 이동하자면 중간에 꼭 쉬어가야 하는 마을이기도 했다. 

 

오티라라는 지명 역시 장소를 뜻하는 ‘O’에 여행자들을 의미하는 ‘Tira’가 결합된 단어인데, 1865년에 지어진 호텔의 이름도 건립 당시에는 종점을 뜻하는 ‘터미너스(Terminus) 호텔’이었다. 

 

1899년 완공된 그레이마우스에서 시작되는 미드랜드 라인(Midland Line) 철도 노선 역시 험준한 서던 알프스를 넘지 못하고 이곳까지만 연결돼 오티라는 철도 종착역이자 동서간을 잇는 역마차들이 쉬어가던, 한국식 표현으로 말하자면 옛날 ‘주막거리’이었던 셈이다.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519_6314.jpg

▲ 오티라 마을 전경

 

<터널 공사로 전성기 누렸던 오티라> 

 

이처럼 교통로의 요지로 제법 번창하던 오티라가 더욱 커지기 시작한 것은 1910년대에 서던 알프스를 관통하는 오티라 터널 공사가 본격적으로 작업에 들어가면서부터였다. 

 

당시 돈으로 50만 파운드짜리였던 공사는 국가적 큰 사업이었는데, 1907년에 시작된 공사는 착암기 등 그때로서는 최신 공법이 동원됐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벌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겹쳐 길이가 8.5km에 달하는 터널 양쪽을 관통시키는 데만 11년이나 걸렸다. 

 

1918년 7월에 터널이 뚫린 후 3년 동안 내부에 콘크리트를 바르는 작업이 이어져 실제 개통은 1923년 8월 이뤄졌는데, 개통 당시 터널 길이는 세계 7번째이자 대영제국 안에서 가장 긴 터널이었으며 작업 도중 8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참고로 현재 뉴질랜드에서 가장 긴 기차터널은 타우랑가 인근 카이마이(Kaimai) 터널로 8,879m이며 두 번째는 어퍼 허트(Upper Hutt)의 리무타카(Rimutaka)로 8,798m이고 8,566m의 오티라가 3번째이다.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856_7339.jpg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857_0124.jpg

​ 아서스 패스 고가육교와 구 도로 정경

 

오티라 터널은 아서스 패스 입구가 오티라 쪽보다 해발 250m가 더 높으며 터널의 경사도는 1대 33이다. 

 

터널을 공사할 때 인부들이나 또는 그 가족들이 몰려들면서 오티라는 인구가 700여명에 이르는 꽤 큰 마을로 성장했으며, 터널에 전기를 공급하는 소규모 발전소까지 세워지면서 한창 시절을 구가했다. 

 

그러나 터널 완공 후에는 쇠락의 길로 들어서게 됐으며 더욱이 육상교통까지도 편리해지자 주막거리로서의 오티라의 중요성은 완전히 사라지면서 1988년에는 단 11명의 주민들만이 마을을 지켰다.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574_4637.jpg

증기기관차가 다니던 시절의 오티라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혀지면서 빛 바랜 역사 속 사진으로만 남게 된 오티라가 다시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떠오른 것은 앞서 이야기했듯 주인 부부가 이를 매물로 내놓으면서부터였다. 

 

<첫눈에 사랑에 빠졌던 괴짜 수집광>

 

부동산 시장에 매물로 나와 인터넷을 통해 중국 등지에서 문의가 오는 등 오티라는 세계적인 유명세까지 반짝 치렀지만, 워낙 오지인 데다가 낙후된 곳이라 이후에는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하고 사람들로부터 다시 잊혀졌다. 

 

그러던 오티라가 다시 언론에 등장한 것은 매물로 나온 지 4년 뒤인 2014년 7월. 

 

내용은 남섬 북단의 모투에카(Motueka)의 한 남성이 매물로 나온 오티라를 보고 실제로 현장까지 방문한 후 마치 벼락이라도 맞은 듯 첫눈에 반해 그 해 5월에 이를 구입하게 됐다는 것이었다. 

 

화제의 주인공은 레스터 라운트리(Lester Rowntree)였는데 그는 실제로 먼저 호텔을 구입한 후 3년 동안의 계획 끝에 마을의 나머지 모든 부동산을 구입해 금년 5월이면 갤러리를 제외한 전체 마을이 그의 소유가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해 들어 지역 언론에 그의 인터뷰 기사가 실렸는데, 그는 오티라를 관광객은 물론 청소년들의 교육장으로도 활용하겠다는 원대한 청사진을 가지고 추진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식민지 개척시대 역마차들을 포함해 가구, 공예품 등 상당량의 골동품들을 가진 수집광인데, 대부분이 모투에카의 창고에 있지만 이미 이들 중 많은 물건들이 그가 운영 중인 호텔 객실이나 건물 주변을 장식하고 있다. 

 

10개로 알려진 호텔 객실에는 오래된 침대, 가구들과 함께 진공관식 라디오가 비치돼 있고 응접실에는 박제된 뿔 달린 사슴머리와 함께 개척시대를 회상할 수 가구 및 공예품들과 사진들이 흩어져 있다. 

 

또한 마을 입구에는 술통이 실린 마차를 끄는 덩치 큰 말인 클라이즈데일(clydesdale)의 실물 크기 모형도 전시 중인데, 한번은 ‘샘슨(Samson)’으로 명명된 이 모형 말을 본 이웃의 말 한 마리가 목장을 탈출하는 소란까지 피운 적도 있었다. 

 

라운트리는 이곳을 찾는 ‘트랜스알파인(TransAlpine) 관광열차’ 승객들을 역마차에 태워 오티라 터널이나 지그재그로 된 옛 국도를 따라 유람시키는 한편 지역 별미인 뱅어(whitebait) 시식과 사금 채취, 그리고 연어가 사는 연못도 만들어 낚시도 할 수 있도록 계획 중이다. 

 

<식민지 개척시대 보여줄 체험 장소>

 

라운트리는 “한 마을을 통째로 샀으니 이제 당신이 시장이겠다.”는 취재진 농담에 껄껄 웃으면서, “부인은 암말(mare), 자기는 종마(stallion)처럼 우리는 점잔 빼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는 스타일이다.”고 농담으로 받아 넘겼다. 

 

그는 공연장과 캠퍼밴 전용 무료 주차장, 트럭기사들을 위한 쉼터도 설치하고 사슴과 히말라야 영양, 앵무새 등 동물들도 살게 해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이나 투숙객들, 그리고 어린이들이 식민시대를 기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것이라면서 그런 장소로는 이곳이 정말 안성맞춤이었다고 전했다. 

  

7188f8e04be69888f89ca70a7788d364_1484107638_8051.jpg

 ​ 동서간을 이어주던 Cobb and Co Stagecoach 

 

실제로 그의 할아버지 형제 중 한 명은 식민지 시대에 캔터베리와 서해안을 이어주던 역마차 회사인 ‘Cobb and Co Stagecoach’에서 일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오티라 터널이 개통되던 당일 이곳은 최후의 역마차 5대가 시대의 뒤안길로 모습을 감췄던 역사적인 장소라고 힘주어 말했는데, 이처럼 그 시대와 관련됐던 가족의 역사적 배경이 그에게 이 일을 추진하는 하나의 동기가 된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그는 자신이 이름까지도 아예 ‘역마차(Stagecoach)’로 바꾼 호텔이 뉴질랜드 최고의 호텔은 아니지만 가장 흥미로운 장소인 것은 분명하다면서, 이곳은 찾아온 사람들이 차를 마시면서 옛날을 기억하고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남섬지국장 서 현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1,401 | 3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975 | 4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473 | 4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769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34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30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65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26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35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477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01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34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082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14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11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786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63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50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10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04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69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34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29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67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84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