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색한 안작 우정' -NZ이주자에 대한 호주의 주요 정책 변화

'퇴색한 안작 우정' -NZ이주자에 대한 호주의 주요 정책 변화

0 개 8,440 JJW

뉴질랜드와 호주는 매년 4월 25일 공통으로 안작데이를 기념한다. 이 날은 1915년 제 1차 세계 대전 당시 호주·뉴질랜드 연합 군단(ANZAC, 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이 다르다넬스 해협 장악을 위해 터키 갈리폴리 반도에 상륙한 날로 터키군의 거센 방어에 막혀 갈리폴리 장악에 실패하고 12월까지 터키군과 전투를 벌이며 호주·뉴질랜드군 1만1,400여명이 전사한 것을 기리고 있다. 하지만 올해 안작데이를 전후해 이어진 호주의 일방적이고 비우호적인 조치는 양국의 각별한 우정을 퇴색시키고 있다.

 

 

86257920918c632565e6ee6d745221fd_1495610978_9853.jpg

 

호주의 일방적인 시민권 취득 강화

호주가 지난 2001년 사회 보장 관련 법률을 개정하기 전까지 호주로 이주한 뉴질랜드인들은 각종 사회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었기 때문에 굳이 호주 시민권을 취득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호주가 2001년 2월 법률을 개정하면서 호주에 입국하는 모든 뉴질랜드 시민권자를 영주권자가 아닌‘비보호’특별범주비자상의 임시 거주자로 분류하여 각종 사회복지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뉴질랜드 정부는 이를 시정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인 끝에 지난해 2월 존 키(John Key) 전 총리가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호주 총리로부터 2001년 2월에서 2016년 2월 사이 호주에 입국하고 5년 연속 5만 3,000 호주 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린 뉴질랜드인에 영주권 신청 자격이 주어지고, 영주권 취득 1년 후 시민권 신청 자격을 주기로 하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호주 정부는 지난달 18일 외국인 임시 취업비자, 일명‘457비자’를 폐지하면서 시민권 부여 과정에서 뉴질랜드인들을 우대하는 신속처리 절차도 일방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16년 2월 합의된 뉴질랜드인의 호주 시민권 특별 취득 합의 내용은 계속 유효하지만 2016년 2월 이후 호주에 입국한 뉴질랜드인이 시민권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영주권 취득 후 4년을 기다려야 한다.

 

호주의 일방적인 학비 보조금 폐지

‘자국민 우선주의’를 내세운 호주 정부는 지난 1일에도 사전 설명 없이 대학교육 개혁안을 발표하면서 뉴질랜드 대학생들에 대한 학비 특혜를 더는 부여하지 않기로 했다.

 

호주 영주권자와 뉴질랜드 국적자를 정부의 대학생 보조금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한 것이다.

 

그 동안 영주권자와 뉴질랜드 국적자는 시민권자와 동일한 보조금 혜택을 받아 유학생이 지급하는 학비의 대략 4분의 1 수준만 내면 됐다.

 

예컨대 멜버른 대학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뉴질랜드 학생은 보통 1년 학비가 2만9,632호주달러지만 6,349호주달러만 내면 된다. 또 과학 전공자는 학비가 본래 3만5,824호주달러지만 실제로는 9,050호주달러만 납부한다.

 

이런 변화는 기존 학생에게는 적용되지 않지만, 학위 과정을 바꾸면 적용을 받는다.

다만 호주 정부는 혜택 축소에 따른 부담을 고려해 시민권자 학생들에게만 부여했던 정부의 학생융자 자격을 영주권자나 뉴질랜드 학생들에게도 부여하기로 했다.

 

호주 정부 안은 상원에서 통과되면 내년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른 평균 학비 부담 상승액은 8,000-9,000호주달러 정도이고 호주에서 공부하고 있는 6,000명 정도의 뉴질랜드 학생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 동안 특히 의대 등 선택의 폭이 넓은 호주 대학들에 뉴질랜드 학생들이 진학했으나 이번 조치로 학생융자를 받을 수 있다고 해도 학비가 지금보다 최고 5배까지 올라 호주의 대학으로 유학가는 뉴질랜드 학생들이 감소할 전망이다.

 

호주 정부의 급작스러운 발표에 대해 호주에 거주하는 뉴질랜드 국적자들은 대학 학비 부담이 지나치게 늘게 되면 결국 호주를 떠나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불만을 털어놓고 있다

또 뉴질랜드의 호주 유학생들에게는 같은 혜택이 여전히 부여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뉴질랜드에 사는 호주인은 거주 2년 후에 편부모수당과 실업수당 자격이 주어지고 3년 후면 가족수당과 학생융자를 받을 수 있으며 뉴질랜드 영주권자가 되면 주거 보조금과 장애수당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통적 방식에 대한 호주 태도“불확실”

이처럼 안작데이를 전후해 이어진 호주의 비우호적인 조치는 호주에 살고 있는 뉴질랜드인은 물론 많은 뉴질랜드 사람들의 분노를 사면서 양국 관계가 크게 삐걱거리고 있다.

빌 잉글리시(Bill English) 총리도“매우 좋지 않을 일”이라며 호주 정부가 제대로 설명도 없이 혹은 간단한 통지만으로 계속 이런 일을 한다며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잉글리시 총리는“전통적인 처리 방식에 대한 호주의 태도에 이제 중대한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노동당의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교육 담당 대변인은 키 전 총리와 턴불 호주 총리 사이에 있었던 두 나라의 사이의‘두텁고 친밀한 관계(bromance)’가 끝난 것같다고 표현했다.

 

제리 브라운리(Gerry Brownlee) 신임 외무장관은 지난 3일 호주에 가서 줄리 비숍(Julie Bishop) 호주 외무장관을 만나 항의했으나 이미 결정된 정책들을 되돌릴 수 없었다.

다만 비숍 장관으로부터 앞으로 호주 거주 뉴질랜드인들에 대한 정책 변화는 없을 것이며 변화가 있을 경우 뉴질랜드 정부와 협의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호주의 다음 조치가 공립학교에 다니는 뉴질랜드 학생들에 대한 수업료 부과일 것이라는 항간의 우려에 대해 비숍 장관은 추측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호주 거주 뉴질랜드인들의 권익단체인 오즈 키위(Oz Kiwi)의 티모시 가씬(Timothy Gassin) 대표는“만약 뉴질랜드가 아무런 조치 없이 이대로 넘어 간다면 호주가 계속해서 뉴질랜드 국적자의 권리를 해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잉글리시 총리는 최근 이어진 호주의 변화들은 호주 우선 정책과 호주 정부 재정 적자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뉴질랜드가 호주 이주를 위한 중간 입국지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며“호주 정부 관료들이 종종 이 이슈를 걸고 나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진상조사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잉글리시 총리는“두 나라의 상호 여행 협약을 변경할 계획은 없다”며“뉴질랜드인은 항상 호주로 이주할 수 있었고 호주에 특별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덧붙였다.

 

노동당과 뉴질랜드 퍼스트(New Zealand First) 당은 뉴질랜드가 많은 이민자들에게 호주로 가는‘뒷문’이 돼왔다며, 이로 인해 호주 정부로부터 뉴질랜드인들이 불이익을 받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 뉴질랜드 이주자에 대한 호주의 주요 정책 변화

- 2001년 2월: 비보호 특별 범주 비자의 임시 거주자로 분류하여 시민권 자동 부여 폐지. 자녀 및 가족 수당 등은 유지되나 실업수당과 장애 수당 등은 중단.

- 2015년 10월: 특별 범주 비자 소지자에 한해 2016년 1월부터 학생 융자 허용하고 특별 범주 비자 없는 뉴질랜드인은 학생 융자 불가.

- 2015년 11월: 각종 범죄로 12개월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받거나 아동 성범죄를 저지른 뉴질랜드 국적자는 비자를 취소하고 뉴질랜드로 추방.

- 2016년 2월: 2001년 2월 26일부터 2016년 2월 19일 사이에 호주에 입국하고 5년 연속 연간 5만 3,000 호주 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린 뉴질랜드인은 2017년 7월 이후 영주권 및 시민권 신청 자격을 부여.

- 2017년 4월: 시민권 신청 자격을 영주권 취득 1년 후에서 4년 후로 강화. 2016년 2월 발표된 시민권 특별 취득 합의 내용은 유효.

- 2017년 5월: 뉴질랜드 국적자에 대한 학비 특혜 폐지. 

노숙인들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

댓글 0 | 조회 2,252 | 5일전
최근 거리나 공원, 자동차 등에서 생활하는 노숙인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그러나 정부는 비상주택에 지내고 있는 사람들이 줄었다며 관련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 더보기

서머타임, 앞으로도 유지할까?

댓글 0 | 조회 2,037 | 5일전
지난 4월 6일(일) 새벽에 ‘서머타임(Summer time, ST)’ 적용이 끝나면서 시계가 한 시간 전의 ‘표준시’로 돌아갔다.매년 서머타임이 시작되거나 끝날… 더보기

AI 시대가 온다: 일자리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823 | 6일전
1. AI 시대의 도래와 현재 기술 발전 현황 (2023~2025)인공지능(AI)이 더 이상 공상과학 속 미래 기술이 아닌, 우리 일상의 중심 화두가 되었다. 특… 더보기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3,605 | 2025.04.09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2,009 | 2025.04.08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723 | 2025.04.08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931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641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853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595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327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657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94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517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225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80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123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93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65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341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496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94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7,017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153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609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