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8] 범죄의 물결, "몸조심 하십시오"

[338] 범죄의 물결, "몸조심 하십시오"

0 개 4,512 KoreaTimes
신문을 꾸준히 보는 사람이라면 요즘 뉴질랜드의 각종 범죄 뉴스들이 피부에 와 닿을 만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안전한 나라'임을 주장하며 그것을 자랑으로 삼고 있는 뉴질랜드에 닥친 범죄의 물결로 그렇지 않아도 각박해지는 민심을 더욱 조이고 신뢰를 무너뜨릴까 우려된다.

또한 본지 지난 호를 통해 보도된 바 있는 영국 여행자들의 설문 조사에서 뉴질랜드는 태국, 아프리카, 카리브해 지역에 이어 네 번째로 강도와 도로사고가 많은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외(?)의 결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 뉴스에 이어 Stuff 웹사이트상에서 실시된 여론조사 에서 "Do you think NZ is a safe place for tourists?(당신은 뉴질랜드가 안전한 여행지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Yes'로 답한 사람은 73.4%로 'No'(22.2%)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뉴질랜드 국내외의 시각이 이렇게 다르다면, 그리고 심각하고 다양한 종류의 범죄가 지금 우리를 위협하고 있음이 확실하다면, '안전한 나라'의 인상은 그저 우리만의 착각 또는 희망에 가까운 신념이었던가 되돌아 보게 한다.

여행과 유학 산업을 주요 국가 수입으로 하는 뉴질랜드에서 범죄의 증가는 당연히 실질적인 국가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골칫거리가 되기도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안전 위협'이라는 보다 앞선 시급한 문제를 일깨운다.


*****  뉴질랜드에 이런 사건도. . . 악해지는 범죄  *****

뉴질랜드의 범죄들이 더 잔혹해지고 폭력을 포함한 범행은 늘고 있는 추세여서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마약과 음주, 폭행, 가정폭력, 총기사고 등은 여전하고 기본적인 인간 윤리도 무시된 각종 성범죄, 잔혹한 살인, 폭행, 강도가 난무하고 있다. 지난 2주 동안 일어난 사건들만 몇 가지만 보자면;
  타우랑아의 한 십대가 5살 여아를 유괴, 성추행.
  시가 1백만 달러어치 코카인 마약 밀수입 적발.
  Tokoroa 초등학교 교실에서 50대 여교사 살해.
  25세 남자가 78세 할머니 성폭행 목적으로 집에 침입.
  갱단멤버가 한 여인의 집에 마구 총 쏘고 달아나.
  마약반대운동가 자신의 집에서 P마약류 제조.
  3개월된 쌍둥이 형제 살해 당해.
  총기류 판매점 강도 주인가족 위협하고 총기절도.
  파티필 샵에 강도, 주인 및 3명 폭행으로 의식 잃어.
  8명 자녀 둔 31세 엄마, 파트너와 같이 3살 아들 살해.
  부인이 앙심품고 30cm 부엌칼로 남편 찔러...

뉴질랜드의 대표 신문 뉴질랜드 헤럴드 웹사이트에서 지난 2주간 범죄 관련 기사 헤드라인만 110여 건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3개월된 Kahui 쌍둥이 형제 살인사건은 연일 신문 앞면을 장식하며 대서 특필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어린이 학대, 살해 문제에 관한 재조명이 이어졌는데 실제로 뉴질랜드는 세계 27개 나라 중 어린이 살인율이 멕시코, 미국, 헝가리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나라라는 조사 결과가 이번에 발표되었다. 1991년부 터 2000년까지 있었던 어린이 살인 사건의 81%가 부모나 양부모에 의해 저질러진 것 또한 어린이 관련 범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앞서 소개된 뉴스들 중 3살 된 아들을 살해한 부모는 무자비함의 극치를 보여 주었는데 아이가 대소변을 잘 가리지 못해 옷과 침대를 더럽히자 부러진 노의 쇠손잡이 를 이용해 아이를 마구 때리고 그 상태로 찬물에 샤워하게 하는 등 그 동안 아이의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마다 손에 집히는대로 매일 아이를 구타했던 것으로 밝 혀졌다.

사건은 아이의 엄마가 없는 동안 집에 들어온 남편이 아이가 침대를 다시 더럽힌 것을 알고 알루미늄 야구방망이로 아이를 사정없이 때려 의식을 잃게 한 것으로 시작됐다. 쇼핑을 마치고 돌아온 엄마는 이 사건이 알려져 감옥에 가게 될 것이 두려워 경찰이나 앰뷸런스를 부르지 말자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는 이튿날 병원에서 숨졌는데 죽은 아이의 몸에서는 적어도 60 군데의 맞은 자국이 발견되었고 왼쪽 팔꿈치가 뒤틀린 것을 비롯 그 동안의 구타로 만신창이 상태였다.

아동학대와 가정폭력뿐만 아니라 단순강도, 절도 사건도 연일 뉴스에 빠지지 않고 있는데 노인에게서 빵과 단 2달러를 훔쳐 달아난 10대, 학교 청소중이던 청소원을 폭행하고 돈을 훔친 사건, 3시간 동안 자동차 세 대와 돈을 훔친 사건 등 소규모 범행들도 끊이지 않고 있어 언 제 어디서 희생물이 될 지 모르는 사람들의 마음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음주 및 알코올 중독, 총기 사고 등은 폭력과 살인 등이 동반되어 더욱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마약관련 범죄도 끊이지 않고 있는데 지난 주에는 마약중독 가정의가 1999년 한 차례 혐의를 받은 이후 계속해서 의사로 진료 활동을 해 오던 것이 적발되기도 했고 6개월간 도주했던 중국인 마약밀매 부부가 체포되는 일도 있었다.  


*****  범죄증가, 대중의 착각?  *****

London King's College의 범죄정책연구협회 대표 Mike Hough 박사와 옥스퍼드 대학교 범죄학 센터의 Julian Roberts 박사는 최근 법무부 주관으로 웰링턴에서 열렸던 한 세미나에서 일반 대중들이 범죄와 형사판결에 대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오해를 지적했다. 그 중 하나는 '대중들은 항상 범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제적으로 범죄율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렇게 여기고 있다'는 것이었다.

뉴질 랜드경찰은 현재 폭력 범죄를 제하고 25년 기간 동안 가장 낮은 범죄율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크라이스처치 지역에서만 상점 강도가 지난해 60% 늘었다고 하니 오해나 편견을 떠나 현실적으로 범죄가 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  끝나지 않는 범죄 전쟁  *****

정부와 경찰은 가정폭력에 대해서 만큼은 뿌리를 뽑으려는 듯 하다. 작년에 설립된 Task force for Action on Violence within Families는 내년 6월까지 웰링턴과 오클랜드에 3개의 가정법원 설립, 범죄자 대상으로 비폭력교육 지시, 가정폭력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연구 확대, 경찰/CYF(Children Youth and Family)/정부/비정부단체 등과 협력한 어린이 폭력방지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구성하여 행동을 취할 방침이다. 어렸을 때 폭력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란 사람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강도, 폭력 등 범죄 속으로 빠질 확률이 더 많다는 연구결과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으니 이러한 노력들은 현재의 범죄 예방뿐만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점에서 환영받을 만한 일이 될 것이다.

각종 범죄와 관련 국민들이 의지할 수 밖에 없는 경찰들이 얻고 있는 신뢰는 그리 자랑할 만한 것이 못 된다. 아니, 이를 넘어서 경찰마저 범죄자가 되고 있다는 말이 더 맞겠다. 2004년 범죄통계 경찰리포트를 보면 범죄해결률이 2003년 43.5%에서 2004년 44.6%로 약간 올랐는데 현재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지난 달 매춘부로 밤수입(?)을 챙기던 한 여성경찰에 대한 보도 여파가 가라 앉기도 전에 지난 주에는 19명의 경찰이 음주운전-교통사고, 강간, 강제 추행, 고의적인 상해 등 심각한 범죄혐의를 받고 있다는 뉴스가 전해졌다. 그 중에는 최대 20년형에 쳐해질 수 있는 혐의도 포함돼 있어 경찰 범죄가 단순한 '실수' 이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경찰 협회 대변인 Stuart Wilson은 사생활보호와 보안문제로 이들의 정확한 이름과 직위 등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현재 내부 처벌에 대한 예심 중이며 경찰협회장 Greg O'connor도 '솜방망이 처벌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경찰 커미셔너는 30년 근무기간 동안 이렇게 심각하고 다양한 종류의 경찰 범죄가 발생하는 것은 보지 못했다 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언급한 뉴질랜드의 높은 어린이 살인율 보고서에 대해 마오리당의 공동 대표 Tariana Turia는 80년대 말 부터 90년대에 실업률이 최고로 치솟고 구제 지원이 삭감되었을 때 어린이 살인사건 또한 최고를 기록했다고 설명하면서 정부가 '경제 범죄(Economic violence)'의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경제 범죄'란 사람들이 힘과 자원에 대한 접근을 박탈당한 채 경제적으로 피폐해져 인간존엄성이 위험에 처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범죄 사회학 분야에서도 기본적으로 불경기에 범죄율이 증가하고 사회 불평등이 개선되면서 범죄율이 개선된다고 본다. 뉴질랜드 경제가 어려운 것은 금융계와 경제 관련 기관의 동향 발표를 굳이 살펴보지 않아도 국내 경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교민 경제 속에서 우리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경제가 어려우니 생기는 당연한 현상으로 범죄의 범람에 무관심할 수는 없겠다.

최근 로토루아 카운슬에서는 상점 좀도둑과 자동차 도난 등 각종 범죄 방지를 위해 5회 이상의 전과자들을 로토루아 시내중심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자는 제안 투표를 실시했다. 결과는 압도적인 찬성이었으나 지역의원 Steve Chadwick가 반대 입장을 표명해 실제적인 시행은 불투명해졌다. 결과야 어찌되었든 이처럼 범죄와 적극적으로 싸워주는 정부와 경찰의 노력과 최대역량의 발휘가 요구되는 때이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030 | 5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229 | 7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37 | 7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06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80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86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96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50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59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05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22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48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04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64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25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05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76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75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27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21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82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49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59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82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98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