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부터 달라지는 것들

새해부터 달라지는 것들

0 개 11,941 JJW

00644496a0f2b0d95db429471acc5a93_1516175680_4364.jpg

■ 주택대출 규제 완화

 

1월 1일부터 주택대출 규제가 다소 완화됐다. 

중앙은행은 주택 투자자에 대한 신규대출의 경우 시중은행들이 40% 미만 디포짓의 대출을 5%로 제한했던 것을 35% 미만 디포짓으로 완화했다. 

 

실거주자에 대한 대출의 경우 이전에 20% 미만 디포짓의 대출을 10%로 제한했던 것을 15%로 확대했다. 중앙은행은 이 같은 조치로 시중은행들이 주택 구입자 및 투자자에 대한 대출을 다소 여유있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번 주택대출 규제 완화 정도가 미미해 주택에 대한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생애 첫집 구입자는 대부분 여전히 주택가격의 최소 20%를 디포짓으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대출 완화로 인한 큰 혜택을 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재 20% 미만 디포짓을 가진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을 아예 실시하지 않는 은행도 있고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신규대출의 8%선에서 이 같은 대출을 해주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이에 대한 제한이 15%로 완화되면 자금이 부족한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담뱃값 10% 인상

 

지난 1일부터 담뱃값이 10% 인상됐다. 이는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금연 국가를 만든다는 목표로 지난해부터 4년 동안 담뱃세를 매년 10%씩 인상, 오는 2020년에는 한 갑당 약 30달러가 되도록 한다는 계획에 따른 것이다. 

 

2013년 인구 센서스에 따르면 뉴질랜드 15세 이상 인구의 15%가 정기적으로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00644496a0f2b0d95db429471acc5a93_1516175872_1867.png
 

 

■ 학생수당 주당 50달러 인상

 

지난 1일부터 학생수당이 주당 50달러 인상됐다. 이에 따라 부모와 떨어져 독립해서 생활하는 24세 미만 풀타임 대학생의 학생수당이 주당 177.03달러에서 227.03달러로 올랐다. 

 

13만명의 대학생들이 학생수당 인상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학생융자를 신청할 때 생활비 명목으로 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도 주당 178.81달러에서 228.81달러로 50달러 올랐다. 

 

20세 미만 대학생의 학생수당 227.03달러는 같은 연령대의 주당 실업수당 175달러보다도 많고 24세 이상 학생 수당 262달러도 같은 연령대의 실업수당 210달러보다 많아 제1야당인 국민당은 진정으로 공부할 목적 없이 대학에 등록할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대학 신입생 등록금 면제

 

올해 대학 과정에 입학하는 신입생들의 첫해 등록금이 면제된다. 대학 첫해 등록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은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뉴질랜드 영주권 취득 후 3년 이상 거주한 자, 3년 이상 거주한 호주 시민권자 등으로 나이 제한은 없다. 

 

기존에 NZQF 레벨3 이상 과목에서 60 크레딧 이상을 이수한 사람은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교육부는 대학생 3만여 명과 폴리테크닉 및 사설 대학, 직업훈련 기관 등의 학생 5만여 명이 등록금 면제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산했다. 

 

풀타임 과정으로 공부하지 않는 직업훈련 기관의 학생들은 2년 동안 등록금이 면제된다. 

 

정부는 대학 무상교육을 오는 2021년까지 2년, 그리고 2024년까지 3년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기술이민 및 워크비자의 급여기준 상향조정

 

1월 15일부터 기술이민과 일반 워크비자의 급여 기준이 상향조정됐다. 기술이민 신청시 ANZSCO(호주·뉴질랜드표준직업분 류) 기술 레벨 1, 2, 3에 속한 직업군의 경우 급여기준이 기존의 시급 23.49달러 이상에서 24.29달러 이상이거나, 그에 상응하는 연봉 수준을 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당 40시간 기준으로 연봉이 5만523.20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ANZSCO 기술 레벨 4, 5에 속한 고급 직업군의 경우 시급 35.24달러에서 36.44달러로 상향조정됐다. 일반 워크비자 신청시 ANZSCO 기술 레벨 1, 2, 3에 속한 직업군의 경우 기존의 시급 19.97달러에서 20.65달러로 인상됐다.

 

■ 최저임금 시간당 16.50달러로 인상

 

4월 1일부터 법정 최저임금이 시간당 75센트 인상되어 16.50달러가 된다. 신입 수습 직원의 최저임금은 12.60달러에서 성인 노동자 최저 임금의 80%선인 13.20달러로 오른다.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혜택을 받는 노동자는 16만 4,500여 명, 임금 인상액은 연간 1억2,900만달러 정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동당 연합정부는 오는 2021년까지 최저임금을 20달러까지 인상할 계획이다.

 

■ 유급 육아 휴가 22주로 연장

 

현행 18주인 유급 육아 휴가가 7월 1일부터 22주로 늘어난다. 지난해 11월 국회를 통과한 유급 육아 휴가 고용법 개정안에 따르면 유급 육아 휴가를 올 7월에 22주, 오는 2020년 7월에는 26주로 늘리도록 하고 있다.

 

■ 오클랜드 지역 유류세 부과

 

새로운 유류세가 늦어도 7월 1일부터 오클랜드 지역에서 부과될 예정이다. 

 

지방세 범주의 이 새로운 세금은 1리터당 10센트에 GST, 즉 GST 포함 11.5센트가 부과된다. 교통부는 늦어도 7월 1일 시행을 목표로 관련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오클랜드 교통문제 해결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유류세 도입을 주장해 왔다. 유류세를 통해 연간 1억3,000만-1억5,000만달러의 재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필 고프(Phil Goff) 오클랜드 시장은 유류세가 효율적이고 저렴하며 관리하기 쉽다고 주장했다. 고프 시장은 유류세로 걷힌 세금은 오클랜드 CBD로부 터 오클랜드 공항 간의 경전철 건설 등 향후 10년간 교통 인프라에 필요한 270억달러에 쓰여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오클랜드 시민들은 유류세 신설이 대중교통 요금과 식료품비 등 다른 물가 인상에도 줄줄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오클랜드 저소득 계층은 유류세 부과로 인한 생활비 상승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분석됐다. 

 

오클랜드 카운슬이 2014년 내놓은 교통 재원 옵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재산세와 유류세 부과가 저소득 가구에 추가로 15%의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민들은 현재 기름값에 GST가 포함돼 있는데 GST 포함 유류세를 신설하는 것은 세금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587 | 8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472 | 9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92 | 9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40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519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655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442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69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73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24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39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65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22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007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40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17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92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97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42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38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100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64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81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97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517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