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에도 적용되는 ‘금수저’ ‘흙수저’

뉴질랜드에도 적용되는 ‘금수저’ ‘흙수저’

0 개 10,691 JJW

부모의 직업이나 소득이 자녀의 학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천에서 용 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이른바 ‘금수저 흙수저 계급론’이 평등주의를 앞세우는 뉴질랜드에서도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db4195cfa470f4ba85b98e3f3c04134e_1548822193_3255.jpg
 

선진국 가운데서도 높은 뉴질랜드 교육격차

 

뉴질랜드 교육 체제가 사회를 평등하게 만드는 기능을 상실하고 학생들의 태어난 환경에 따라 가난과 부를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8 OECD 교육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결과 뉴질랜드 사회ㆍ경제적 지위 지표상 하위 25% 학생 그룹 성적이 상위 25% 학생 그룹보다 101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평균 88점에 비해 높은 결과로 부모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 격차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에 대한 소속감도 가난한 학생들은 2003년 조사의 81%에서 2015년 66%로 떨어지면서 부유한 학생들에 비해 13%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35개 OECD 회원국 가운데 다섯 번째로 높은 격차이다.

 

또 12개국의 1985년 출생자를 대상으로 가정에 100권 이상의 서적이 있는 그룹과 100권 미만의 서적이 있는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대상자들이 10세였던 1995년 조사에서 뉴질랜드가 두 그룹간의 수학 성적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고 25-29세였을 때의 조사에서는 네 번째로 높은 격차를 나타냈다.

 

OECD 보고서는 모든 국가들은 올바른 교육 정책과 실천으로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 학생 개인에 필요한 맞춤식 교육과 가난한 학생들에 대한 교육 자원 추가 지원, 가난한 가정 부모들과의 상담 개선, 성적에 따른 우열반 폐지 등을 주문했다.

 

학년 올라갈수록 빈부간 학업격차 심화

 

한때 세계에서 가장 평등한 국가를 자부했던 뉴질랜드는 이제 태어난 집안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거의 극복하기 어려운 불평등한 OECD 회원국 8위로 전락했다. 

 

뉴질랜드 헤럴드지가 최근 교육부의 자료를 분석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가난한 지역과 부유한 지역 학생들간의 학업성취가 학년이 높을수록 벌어지고 대학 진학률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부유한 지역인 데실(Decile) 10 고교 학생들과 반대인 데실 1 고교 학생들간의 NCEA 합격률이 12학년의 NCEA 레벨2에서는 7%포인트 격차를 보이고 13학년의 레벨3에서는 18%포인트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학점인 UE(University Entrance) 획득은 44%포인트로 벌어졌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는 높은 소득으로 연결되는 대학 인기학과의 2학년 학생수에서 볼 수 있다.

 

지난 5년간 6개 대학 법학과, 의학과, 엔지니어링학과 등의 약 1만6,000명 대학생들 가운데 60%가 상위 3개 데실 고교 출신이고 하위 3개 데실 고교 출신은 6%에 불과했다.

 

가장 가난한 지역인 데실 1 고교 졸업생들은 단 1%에 그쳤다.

 

오클랜드 대학 의학과 2학년 진급생 1,160명 가운데 데실 1 고교 졸업생은 12명 밖에 없었고 캔터베리 대학의 엔지니어링학과의 경우 지난 5년간 2,000명의 입학생 가운데 데실 1 고교 출신은 단 1명에 불과했다.

 

오클랜드 대학 사회학과 알란 프랑스(Alan France) 교수는 “계층 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해야 하는 교육이 뉴질랜드에서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모든 것이 돈과 계층, 부유층의 특권과 관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교수는 뉴질랜드는 이러한 불평등 문제를 무시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이제 위험한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경고했다.

 

모든 사람에게 공평한 기회 없는 뉴질랜드 교육

 

대학들은 가난한 지역 출신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가 학점을 따지 못하기 때문이고 특히 낮은 데실의 고교들은 학생들이 마지막 학년인 13학년까지 진급하는 것에 중점을 두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대학 입학 장학금도 높은 데실 고교가 낮은 데실 고교에 비해 4배 더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례로 지난 2017년 데실 10의 엡솜 걸스 그래머(Epsom Girls Grammar)는 오클랜드 대학으로부터 22만5,000달러의 장학금을 받았지만 데실 1의 망게레 컬리지(Mangere College)는 2만달러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아오리어 컬리지(Aorere College)의 메리 케리간(Mary Kerrigan) 진로상담사는 “대학 입학 장학금 선정은 학생들의 과외활동에 크게 좌우되는데 낮은 데실 학교 학생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파트타임 일 등으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많은 과외활동을 할 수 없어 불리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부유한 학생들은 입학 장학금을 받지 않아도 대학 진학에 지장이 없지만 특히 가족 중에 대학 졸업자가 없는 가난한 가정 출신 학생들에게 장학금 무혜택은 종종 대학 진학의 꿈을 좌절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지난 2016년 오타고 대학 의학과를 졸업한 애슐리 인슬리(Ashley Insley)는 오타고 대학이 마오리 학생에 주는 새로운 장학금 제도에 운좋게 선정돼 대학을 마친 드문 경우이다.

 

인슬리의 고향인 이스트 코스트(East Coast)의 작은 마을 테 카하(Te Kaha)에서는 아무도 대학에 다닐 꿈을 꾸지 않는다고 한다.

 

그녀도 14세에 학교를 중퇴하고 카페에서 일하다가 다시 학업을 시작했다.

 

그녀는 “테 카하같은 작은 마을에서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기 매우 어렵다”며“사람들은 대부분 학교를 중퇴하고 하루 벌어 하루 살아가는 가족을 돕기 위해 일을 하고 대학 진학을 위한 동기부여나 교육이 없다”고 말했다.

 

뉴질랜드에서 가난한 사람들이 배제되는 전형적인 실례는 최고 학군의 높은 부동산 가격이라고 할 수 있다.

 

오클랜드 그래머(Auckland Grammar) 학군의 높은 집값과 렌트비는 가난한 가정으로서는 언감생심이다.

 

대학 무상교육 오히려 공평성 저해 

 

뉴질랜드 8개 종합대학들을 대표하는 단체인 ‘유니버시티 뉴질랜드(Universities New Zealand)’의 조사에 따르면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생 160만달러의 소득을 더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니버시티 뉴질랜드’의 크리스 휄란(Chris Whelan) 회장은 작년 대학 신입생부터 실시되고 있는 대학 1학년 무료 등록금 정책이 자원을 올바른 방향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당 정부의 대학 무상교육은 국민에게 보다 나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를 가지고 있지만 부모의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학생수당과 달리 집안이 가난하든, 부유하든 똑 같은 혜택을 주고 있어 불공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로 작년 혜택을 받은 대학 또는 폴리테크닉 학생들의 71%와 산업훈련기관의 79%가 백인 학생들로 조사돼 마오리 및 파시피카의 대학 진학률을 높이려는 정부 당국의 목표를 무색케 했다.

 

이에 대해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교육장관은 “대학 무상 교육은 고교 졸업후 교육에 대한 대중의 태도 변화에 관한 것이다”며 “사회ㆍ경제적 지위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대해 할 일이 많은 것을 알고 있고 대학들에도 이에 대해 해결해 나가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1,336 | 2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954 | 4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468 | 4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767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28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24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62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23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32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474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398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32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080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09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09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784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60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48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08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01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67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32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27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65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82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