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입국이 거부됐나?

누가 입국이 거부됐나?

0 개 8,282 서현

3b493627a0c0357c6d450ba3bc241e93_1548908904_3331.jpg

1월 중순에 뉴질랜드 이민부(Immigration NZ)는 ‘2017/18 회계년도(2017.7.1 ~ 2018.6.30)’ 에 뉴질랜드 입국과 관련된 연례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해당 기간 동안 모두 685만9483명이 뉴질랜드의 각 국제공항과 항구들을 통해 입국했는데, 이는 전년의 654만2421명보다 4.8%가 증가한 것이다.  

 

입국자 대부분은 별 문제가 없었지만 입국 목적이 불분명하거나 범죄 등이 의심되는 입국자들은 출발지나 또는 국내의 각 입국장에서 심사 후에 입국이 거부되기도 했다. 

 

이 중 출발지에서 아예 비행기 탑승 자체가 사전에 거부된 경우는 3378명이었으며 국내 도착 후 심사 과정에서 입국이 거부된 것은 1201명이었다.  

 

이번 호에서는 해당 보고서를 중심으로 한 해 동안의 각종 입국 통계와 함께 어떤 유형의 사람들의 입국이 거절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국내 공항에서의 입국 거부 사례와 관련 통계]  


<점쟁이도 바꿔주지 못한 운> 

크라이스트처치 국제공항에 도착했던 타이완 출신의 한 여성은 도착 직후 이민부의 ‘통상적인 입국 심사(routine screening)’를 받는 과정에서 의심스러운 점이 발견됐다. 

 

인터뷰 중 그녀가 여러 차례 이름을 바꾼 사실이 밝혀졌는데, 당사자는 첫 번째 이름은 자신이 싫어서 바꿨으며 마지막으로 바뀌기 직전의 이름은 ‘점쟁이(fortune-teller)’가 ‘불운(bad luck)’을 가져온다고 해 바꾸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녀는 추가 조사에서 미국에서 추방당한 전력이 확인된 데다가 불법적으로 매춘업에 종사할 것으로 의심돼 결국 다음 비행기 편으로 강제 출국 조치됐다. 

 

<소셜 미디어로 인해 들통난 입국 이유> 

중국의 의류업계에서 일하는 중이라는 폴란드 출신의 한 젊은 여성이 중국을 떠나 방문자(visitor) 자격으로 오클랜드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그녀는 ‘자연도 감상하고(see the nature)’ 뉴질랜드 시민권자인 친구도 한 명 만날 예정이라고 입국 심사관에게 밝혔다.  

   

그러나 심사관은 그 시점에 친구라는 여성은 뉴질랜드를 떠나 외국에서 모델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또한 폴란드 여성이 퀸스타운에서 3일 동안 모델로 일하기 위해 입국했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이 같은 사실은 심사관이 그녀의 페이스북(Facebook)에서 “뉴질랜드에서 3일 동안 일을 잡았다. 꿈이 현실이 됐다(So I booked a 3 day job in New Zealand!!! Dreams do come true!)”라는 내용을 발견하면서 확인됐다.   

 

결국 이 여성은 조용히 처리했어야 될 일을 주변에 대놓고 자랑을 하다가 들통이 나는 바람에 돌아가야하는 신세가 됐다.  

 

3b493627a0c0357c6d450ba3bc241e93_1548908996_4343.jpg
 

<심사관 눈길을 끈 지나치게 많은 속옷> 

유럽 북부 발트해에 면한 작은 국가인 에스토니아(Estonia)의 수도인 탈린(Tallinn) 출신의 한 여성이 런던을 거쳐 오클랜드 국제공항으로 입국했다. 

 

휴가 여행차 입국했다는 그녀의 짐에서 유난히 입국 심사관의 눈길을 끈 것은 ‘지나치게 많은 속옷과 가죽 정장들(a large quantity of lingerie and leather outfits)’ 이었다. 

 

이 여성은 과거에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뉴질랜드에 머문 적이 있었는데, 해당 여성을 정밀심사로 이끈 것은 공항이나 항만 도착자들을 대상으로 이민부가 운영 중인 이른바 ‘Risk Targeting Programme(RTP)’ 제도였다.    

 

결국 이 여성 역시 심사관이 성적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는 광고 내용이 담긴 뉴질랜드 내의 한 웹사이트에서 해당 여성의 사진을 발견하면서 입국이 거절됐다. 

 

한편 이 여성은 인터뷰 과정에서 호주에서도 비슷한 이력으로 추방돼 3년 동안 입국이 금지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민국 관계자는 뉴질랜드에서는 매춘 서비스업이 불법은 아니지만 이 여성과 같이 방문 비자를 소지한 경우에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으며 여성 역시 다음 비행기 편으로 강제 출국 조치됐다.  

 

<국적까지 바꿨지만 입국 실패한 아프리칸> 

지난 2016년에 아프리카 토고(Togo) 출신의 한 남성이 두 차례나 뉴질랜드 입국을 요청했지만 진정한 방문 사유가 의심돼 결국 입국이 좌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남성은 이에 굴하지 않고 1년 뒤에 다른 이름을 이용해 뉴질랜드 입국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프랑스 여권을 손에 넣고 웰링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그는 입국 목적을 묻는 심사관에게 과거에 뉴질랜드 입국 비자를 신청한 적이 없으며 당연히 거부를 당한 적도 없다고 진술했다. 

 

하지만 심사관은 전산 시스템에서 그의 이력을 찾아냈으며, 결국 그는 허위 및 이민관의 판단을 오도시킬 수 있는 진술을 했다는 이유로 입국이 거절됐다.  

 

<사기꾼으로 의심된 루마니아 출신 3인방> 

3명의 루마니아 출신자들이 오클랜드 국제공항에 도착한 가운데 이들 중 2명이 이민 심사관과 인터뷰를 통해, 과거 영국에서 ‘범죄 활동(criminal activities)’과 관련된 일로 입국이 거부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한 이들 3명은 뉴질랜드에서 보고자 하는 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없었으며 아무런 사전 지식도 없었다. 

 

이에 따라 입국 심사관은 이들이 ‘신용카드 사기(credit card skimming)’를 포함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들의 입국을 거부했다. 

 

<워크비자 없이 입국했던 영상업체 직원들>

스페인의 한 ‘영상업체 직원(film crew)’들로 알려진 일행 6명이 남섬 퀸스타운 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스페인은 뉴질랜드 입국시 무비자 대상국이지만 이민부 직원들은 이들의 소지품들에 주목했는데, 그것은 다름아닌 ‘고가의 전문적인 카메라 장비들이 담긴 가방들(pelican cases of expensive professional camera equipment)’ 이었다. 

 

인터뷰에서 이들은 퀸스타운과 와나카에서 열리는 ‘윈터 게임스(Winter Games)’에 개인적인 목적으로 참여하려 한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좀더 이어진 인터뷰에서 결국 이들이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상업적 영상을 촬영하려는 것이 진짜 입국 목적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들은 이 같은 목적으로 입국하려면 입국 전 미리 ‘취업비자(work visas)’를 발급받아야 한다는 점을 미처 알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이민 당국은 이들에게 관련 내용을 공지하고 향후에는 절차를 밟으라고 통보하면서 일단 이들의 비자를 변경해서 입국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해줬다. 

 

3b493627a0c0357c6d450ba3bc241e93_1548909096_2148.jpg
 

<국제공항 통한 입국자는 연간 515만명> 

이번 보고서를 보면 2017/18회계년도 동안 오클랜드 국제공항을 통한 입국자는 내국인이나 영주권자 등을 포함해 총 515만1750명에 달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입국자 숫자 규모로 두 번째였던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이 88만2118명인 것과 비교하면 다른 공항들에 비해 압도적인 숫자임을 알 수 있다. 

 

3위는 45만3521명을 기록한 웰링턴 공항이었으며 그 뒤를 30만6381명의 퀸스타운 공항이 잇고 있고 더니든 공항은 5만3604명이었다. 

 

이들 5개 거점 국제공항 외에도 전국에는 종종 국제공항 역할을 하는 공항들이 있지만 국제선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입국자 규모는 미미한 수준이다. 

 

<말레이시아와 브라질 출신들 입국 거부 많이 당해> 

한편 2017/18회계년도 동안에는 모두 3만7652편의 국제선 여객기들이 뉴질랜드 공항들에 도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하루 평균 100여편 정도에 해당한다. 

 

이들 국제선 여객기들을 타고 입국했던 사람들 중 가장 많은 숫자는 당연히 뉴질랜드 내국인들로 모두 284만8419명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그 뒤를 108만3867명의 호주 출신이 이었고 중국 출신이 57만9235명으로 3위에 자리했으며 4위는 37만4538명을 기록한 영국 출신 입국자들이었다. 

 

또한 미국인들이 영국인들보다 약간 적은 35만9855명, 그리고 인도 출신이 14만5383명이었고 독일도 12만5388명을 기록하면서 7위에 올랐다. 

 

그 뒤를 연간 11만8673명의 한국이 이으면서 8번째 국가가 됐으며 일본은 이보다 조금 적은 11만6895명, 그리고 프랑스가 연간 11만4053명으로 공항을 통한 입국자수 상위 10개 국가의 마지막 순위에 들었다.      

 

한편 국내 공항 도착 후 입국이 거부된 1201명 중 국적별로는 말레이시아 출신이 2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168명의 브라질이 따랐다. 

 

중국은 83명이었으며 타이완이 71명, 그리고 호주가 70명을 기록하면서 입국 거부자 출신국가의 상위 5개국에 각각 이름들을 올렸다. 

 

[범죄 관련자 잡아내는 출발지에서의 사전 입국 심사] 

 

<연간 3000여명 이상, 출발지에서 탑승 거부당해> 

한편 뉴질랜드 정부는 현재, 국내에서 이뤄지는 입국 심사와는 별도로 해외의 여러 공항에서도 사전에 입국자를 심사하는 이른바 ‘Advance Passenger Processing (APP)’제도를 시행 중이다. 

 

이는 사전에 항공사가 탑승자 명단을 뉴질랜드 이민 당국에 제출하는 것으로 중동의 두바이(Dubai)를 비롯한 해외의 일부 중요 허브(hub) 공항들에는 ‘Airline Liaison Officers (ALO)’들이 파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출발지 공항에서부터 아예 비행기 탑승이 거부되는 경우가 오히려 국내 공항에서의 입국 거부자보다 더 많은데, 해당 기간 동안 모두 3378명의 탑승이 사전에 거부됐다. 

 

이들을 각 사유 별로 나눠보면 ‘비자가 없었던 경우(no visa)’가 1727건이었으며 ‘입국 요건에 부합하지 못한 경우(entry requirement not met)’가 908건, 그리고 ‘입국 심사 경보 시스템에 의해 거부된 경우(subject to alert)’가 436건에 달했다. 

 

또한 ‘유효한 여행 서류가 없는 경우(no valid travel document)’가 204건, 그리고 허위 여권이나 신분이 모호한 경우(false passport/ID concerns)’가 103건이었던 것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 APP 제도에 의한 탑승 거부에서는 범죄와 연루된, 특히 그중에서도 마약과 관련된 인물들이 많이 걸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내 각 공항의 입국 과정에서 적발된 마약 밀수범들은 입국 거부가 아니라 현행범으로 체포돼 국내에서 재판에 넘겨지는데, 마약 밀수범이 아니라도 잠재적 위험성이 있다면 외국 공항에서 사전에 탑승을 저지하는 것이 ALO들의 목표이다. 

 

또한 관련 법률(Immigration Act 2009)에 따라 각 항공사들에게는 의무가 주어져 있는데, 이를 등한시했을 경우 기소되거나 또는 벌금형에 처해지며 해당 기간 동안 733건의 위반 행위가 적발됐다. 

지난 2011년 이후 모두 7개의 항공사에 14건의 기소가 이뤄졌으며 이들에게는 5000달러에서 1만2000달러에 달하는 벌금들이 각각 부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3b493627a0c0357c6d450ba3bc241e93_1548909233_158.jpg

 

<교묘한 방법의 우회 입국 시도 많아> 

일선 현장에서는 심지어 살인 범죄 경력이 있는 인물이 위조여권으로 신분을 세탁한 후 입국을 시도하다가 걸린 경우도 있으며 국제 마약 조직이 뉴질랜드를 경유지로 삼으려 한 경우도 여럿 있었다. 

 

남미 칠레의 산티아고에서 오클랜드로 향하는 국제선을 타려던 칠레 출신의 한 남성은 심사 과정에서 미국에서 살인 혐의로 인터폴을 통해 지명수배된 사실이 드러났으며 그가 남미 갱 조직과 연관됐을 가능성도 발견된 바 있다. 

 

또한 일본 나리타 공항에서 뉴질랜드로 향하려던 멕시코 출신 한 남성은 미국에서 마약 혐의로 기소되고 또 불법적으로 국경을 넘었던 혐의로 복역한 전력이 드러난 데다가 방문자에게는 필수인 출국 항공권도 소지하지 않아 탑승이 불허됐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출발해 중동의 도하(Doha)를 거쳐 오려던 2명의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이 아버지와 아들 관계라고 주장했으나 탑승 심사 과정에서 한 명의 여권이 인터폴에 의해 도난 여권으로 신고된 것이 확인됐다. 

 

또한 아버지라고 주장한 인물이 자기들의 항공권을 누가 예약했는지도 몰랐을 뿐만 아니라 자기 아들의 생일조차 제대로 기억하지 못해 결국 탑승이 거부되기도 했다.  

 

허위의 인도네시아 여권을 사용하려던 2명의 아프가니스탄인들은 ALO와 전화를 통한 사전 심사에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에 제대로 답변을 못했으며 심지어는 자신들의 생년월일조차 맞추지 못하기도 해 역시 탑승이 거부됐다. 

 

이들 출발지에서의 탑승 거부 사례 중 482건은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인도에서 302건,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93건이 나온 가운데 피지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각각 147건과 125건이 발생했다. 

 

또한 공항별로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공항이 238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홍콩 94건, 두바이 86건, 중국 광쩌우가 72건이었고 싱가포르 국제공항이 58건으로 상위 5개 공항 리스트의 마지막에 이름을 올렸다. 

 

3b493627a0c0357c6d450ba3bc241e93_1548909384_9884.jpg
 

<계절 상관없이 증가 중인 크루즈 관광객들> 

한편 공항이 아닌 선박을 통해 입국하는 경우는 크루즈 여객선을 통한 입국이 대부분인데, 해당 기간 동안 21개 선사에 속한 총 38척의 크루즈 선박들이 뉴질랜드의 각 항구에 연간 759차례 정박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선박을 통해 연간 25만9000여명이 입국했으며 이는 그 전년보다 17% 늘어난 것으로 이들이 지출한 비용은 연간 4억34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 역시 전년 대비 18.3%나 증가했다. 

 

이들 크루즈 승객들 중 호주 출신이 전체의 44%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인들이 20%, 그리고 뉴질랜드 내국인 역시 13%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영국 출신이 8%를 차지한 가운데 캐나다 4%, 그리고 기타 국가 출신이 11%였던 것으로 각각 분석됐다. 

 

현재 뉴질랜드를 찾아오는 크루즈 관광객들은 매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예전과 달리 관광 비수기라고 할 수 있는 동절기에도 크루즈 관광객들의 증가세가 뚜렷한 상황이다.  

 

남섬지국장 서현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1,420 | 3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984 | 4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474 | 4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770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435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531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65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29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35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477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02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34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085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914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11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786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63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50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14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07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69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34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29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67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84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