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인 정신건강 ‘적신호’

뉴질랜드인 정신건강 ‘적신호’

1 5,891 JJW

11b00444566873023aee34001458b3fb_1549936179_4889.png
 

뉴질랜드인들의 정신건강에 빨간 불이 켜졌다. 매년 뉴질랜드인 5명 가운데 1명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고 약 2만명이 자살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공공 의료 시스템과 달리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지원이 부족해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평안으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대해 살펴본다.

 

매년 2만명이 자살 시도 

정부 용역으로 론 패터슨(Ron Paterson) 오클랜드대 교수를 비롯한 5인의 관련 전문가들이 조사하여 최근 발표한 ‘평안으로 가는 길’보고서는 219쪽에 걸쳐 뉴질랜드인의 정신건강과 중독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정신질환과 자살, 알코올 및 마약 중독 등이 증가 일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인 5명 가운데 1명은 매년 정신질환을 겪고 뉴질랜드인 50-80%는 평생에 걸쳐 정신질환 또는 중독 문제를 한 차례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서도 높은 편이다. 보고서는 매년 15만명의 뉴질랜드인이 자살을 생각하고 5만 명이 자살 계획을 세우며 2만명이 자살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자살률이 다소 감소했으나 2015년 525 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등 최근 4년 동안 자살률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5-44세 남성에서 자살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이 자살에 대한 제한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자살한 사람의 가족들은 대개 자살 위험의 초기 징후를 알지 못했거나 어떻게 도와 주어야 할지 몰랐던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자살 예방을 위한 조직적인 대책이나 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했다. 

 

지난 2017년 각 지역보건위원회들에 보고된 자살 가운데 최소 208건은 공공의료서비스를 받고 있는 중이거나 마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한 가계 재정이 정신건강에 악영향 

뉴질랜드의 정신건강 위기는 가난과 저소득, 열악한 주거 환경, 불안정한 고용 등이 요인들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불안정한 가계 재정이 정신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했다. 

 

“가난과 정신건강 사이에 명확한 연관이 있다. 사람들은 평안한 정신을 위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주거 가능한 주택과 양질의 교육, 직업과 수입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보고서는 정신적 고통과 자해 행위를 보이는 어린이와 젊은이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종종 가난과 함께 학대에 노출돼 있고 회복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정신건강과 중독간에 강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중독 서비스를 받은 사람의 70% 이상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었고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의 50% 이상은 중독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 젊은이 자살의 50% 이상은 알코올 또는 불법 마약 사용과 관계돼 있었다. 

 

뉴질랜드의 강한 음주 문화는 지역사회에도 해를 끼쳐 지역 범죄자의 약 60%는 알코올 또는 마약 문제를 가지고 있고 수감자의 87%는 평생 동안 한 번 이상 알코올 또는 마약 문제를 경험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술과 마약의 사회적 해악에 대한 공감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막고 중독자를 돕기 위한 폭넓은 서비스가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11b00444566873023aee34001458b3fb_1549936395_1452.png
  

정신질환으로 120억달러의 사회적 비용 

보고서는 뉴질랜드 정신건강 시스템은 정신질환이라고 진단을 받은 사람들에 적용되고 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위기의 상황으로까지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스트레스나 우울증, 만성불안, 정신적 외상, 약물남용 등과 같은 흔한 증상을 겪는 사람들은 공공 시스템을 통한 선택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또한 정신질환으로 진단받아 치료를 받는 사람들도 약물 처방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적절한 지원과 재활치료가 부족하며 많은 정신질환 환자들이 존엄성이나 공감이 결여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뉴질랜드는 2017 회계연도에 정신건강 부문에 14억달러를 투여했지만 국민들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마오리에 대한 결과가 나쁘고 퍼시픽 아일랜더, 장애인, 수감자, 난민, 이민자 등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가 필요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정신질환이나 중독 문제를 겪는 사람들의 기대수명은 25년이 단축되는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질환의 사회ㆍ경제적 부담 또한 막대하다. 

 

뉴질랜드는 정신질환과 알코올 및 마약 중독으로 인한 실업, 직장 결근, 생산성 저하, 신체건강 추가 비용 등으로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5%인 120억달러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정신건강 서비스에 지원되는 1달러마다 3.50달러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는 뉴질랜드의 정신건강 위기는 정부 또는 의료 시스템 단독으로 고쳐질 수 없고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며 12가지 영역에 걸쳐 40개의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그 가운데 오는 2030년까지 20% 자살 감소를 목표로 하는 국가적인 자살 예방 전략을 조속히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보고서는 또 시대에 뒤떨어진 정신건강법 개정도 주문했다. 

 

현행 정신건강법은 뉴질랜드의 국제협약 의무사항들과도 배치되며 때로 환자에 정신적 외상을 가져오는 결과를 가져 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정신건강웰빙위원회 신설도 보고서의 권고사항에 포함돼 있다. 

 

정신건강웰빙위원회는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감시 단체로 활동하고 정신건강 및 중독에 대한 진전 보고서를 대중에 알릴 책임을 맡게 된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주류 판매 및 공급을 더욱 엄격하게 하고 마약류 소지에 대한 형사적 제재를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정신건강 서비스에 지원되는 돈은 3배가 넘는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했다. 

 

즉 정신건강 서비스에 사용되는 1달러마다 2.50달러의 생산성 향상과 1달러의 신체건강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정부는 다음 달까지 보고서의 권고사항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Inter
정신질환 혼자는 현재 변화되고 있는 뉴질경제에서 낙오되어 불만으로 가득차 있으며 그것을 마약과 음주로 대신하고 있다 이상황에서 또 이민은 늘어난다 지금 우려되는것은 이민자들과 현지인들과 마찰이다 작게 아니면 크게 공공기관 및 각종 회사에서 불익한 대우나 말투 이민자들의 피해가 말로 형용할수없이 늘어나고 있다. 이제 조금만 시간이 더 흐른다면 마음놓고 공원도 배회 못할것이다. 알콜 중독과 마약중독으로 넘처나는 옥클랜드는 특히 무법지대나 다름없다 대립 갈등 마찰 이대로 보고 넘어갈것인가? 아니면 모르는척 할것인가 피할것인가 선택은 현재 살고있는 이곳 이민자들에게 달려있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547 | 8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448 | 9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88 | 9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36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515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648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436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67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71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22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34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63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20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002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37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15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89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95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39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35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98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62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76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93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514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