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었지만 여전한 남녀 간 임금 격차

줄었지만 여전한 남녀 간 임금 격차

0 개 3,596 서현

0e5bcd798b4c023d6d10fb30a021e7c3_1566968135_8709.jpg

년 들어 뉴질랜드의‘성별 임금 격차(gender pay gap)’가 1998년부터 자료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래 3번째 규모로 축소됐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대략 90%가량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록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차이가 나는 남녀 간 임금 실태의 현황과 함께 최근까지의 변동 추이를 정부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역대 3번째로 격차 줄어든 남녀별 임금> 

 

지난 8월 21일(수) 뉴질랜드 통계국(Stats NZ)은 금년 6월말 분기를 기준으로 남녀 간의 임금 격차에 대한 정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6월말 현재 성별 임금 격차는 9.3%로 나타났는데, 이는 관련 통계가 발표되기 시작한 1998년을 포함한 22년 중 3번째로 작은 격차이다. 

 

참고로 통계국에서 성별 임금 격차를 산출할 때 사용하는 임금의 기본은 이른바 ‘시간당 중간(위) 임금(median hourly earnings)’ 이다. 

 

이는 남녀 근로자들의 절반은 ‘시간당 중간 임금’ 보다 많이 받고 나머지 절반은 이보다 적게 받는 것을 의미하는데, 평균을 내지 않고 이렇게 하는 이유는 최상위 고소득자와 최하위 저소득자들이 통계에 미치는 영향을 가급적 배제하기 위함이다. 

 

성별 임금 격차는 통상 남성 근로자의 중간 임금과 여성 근로자의 중간 임금 격차를 남성 노동자의 중간 임금으로 나눈 값을 성별 임금 격차로 표시한다.

 

* (남성 중간임금 - 여성 중간임금 ) / 남성 중간임금 X 100 = 성별 임금 격차, 단위:%)  

 

조사가 처음 시작됐던 지난 1998년에는 성별 임금 격차가 16.2%에 달했는데, 이후 조금씩 개선되는 추세가 이어지다 지난 2012년 6월 분기에는 자료 발표 이래 가장 작은 9.1%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2013년에 다시 11.2%까지 벌어졌던 격차는 2015년과 2016년 두 해 동안에도 각각 11.8%와 12%로 격차를 10% 이상으로 벌린 바 있다. 

 

이후 2017년에 9.4%, 그리고 이듬해 9.2%로 차이가 다시 줄어든 뒤 금년에도 이와 비슷한 9.3%로 3년 연속해 10% 이하를 보였다.  

 

0e5bcd798b4c023d6d10fb30a021e7c3_1566968217_0748.jpg
▲ 연도별 남녀 간 임금 격차 변동 상황

금년 6월말 분기 현재 여성이 ‘봉급이나 급료(salaries and wages)’로 받은 ‘시간당 중간 임금’은 2018년 6월에 비해 0.75달러 증가해 3.2% 늘어나면서 24.50달러가 됐다. 

 

남성은 같은 기간에 3.3% 증가해 여성보다 많은 0.85달러 임금이 늘어나 27.0달러가 됐는데, 당연히 남성의 임금 증가가 여성에 비해 높으면 그해의 성별 임금 격차가 이전보다 커지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작년에 9.2%로 1998년 이래 두 번째로 작았던 임금 격차는 금년 들어 0.1%p가 더 벌어지는 상황이 됐다. 

 

그러나 2010년대 중반부터는 남녀 간의 시간당 중간 임금 상승률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도 안정적으로 변하는 추세라고 통계 담당자는 분석했다. 

 

실제로 아래 <도표 2>를 보면 2013년과 2015년에 남성이 큰폭으로 임금이 상승하면서 해당 연도에 남녀 임금 격차가 11.2%와 11.8%로 벌어진 현상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여성이 4.6% 상승해 1.6%에 그친 남성을 크게 앞섰던 2017년에는 남녀의 임금 격차가 9.4%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0e5bcd798b4c023d6d10fb30a021e7c3_1566968259_3021.jpg
▲ 도표 2: 연도별 남녀 간 시간당 중간 임금 연간 증가율

‘남녀간 임금 격차’ 통계 자료는 산출 방식의 단순함으로 인해 성별의 차이에 따른 소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된다.  

 

그러나 남녀 간의 작업 내용에서 오는 차이와 함께 노동시간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 제한이 따르며, 자격증 유무나 또는 연령에 따른 차이 등 개인별 특성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실제로 통계 담당자에 따르면 남녀별 임금 격차는 나이가 상대적으로 젊은 30대 근로자들 사이에서는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무직과 관리직의 임금 격차 적어> 

 

한편 금년 6월 분기 기준으로 ‘직업별(occupation)’로 남녀 간 임금 격차를 조사한 결과 ‘사무직과 관리직(clerical and administrative workers)’이 7.1%로 다른 분야에 비해 가장 임금 격차가 적었다.

  

그 뒤를 이어 이른바 ‘단순 근로자(labourers)’가 9.7%로 나타났는데, 단순 근로자는 직업별 구분에서 시간당 중간 임금 절대액이 가장 적은 직종이기도 하다. 

 

이에 반해 ‘전문직(professionals)’은 16.7% 그리고 ‘기술직과 숙련공(technicians and trade workers)’은 임금 격차가 16.2%에 달해 이들 2개 분야가 직업별 구분 중 가장 임금 차이가 컸다.

 

현재 일하는 여성들 중 73.5%는 ‘사무직과 관리직’ 분야에서 일해 여성 취업 시장에서는 이 분야가 주종이다. 

 

반면 임금이 상대적으로 많은 ‘기술직과 숙련공’ 으로 일하는 여성은 전체 여성 근로자들 중 20.4%에 불과한 실정이며, 이는 결국 전체적인 남녀 간 임금 격차를 벌어지게 하는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한다. 

 

여성들이 주로 일하는 사무 관리직 분야에는 비서와 같은 ‘개인 보조 업무직(personal assistants)’, ‘접수직(receptionists)’, 그리고 ‘장부 관리직(bookkeepers)’ 등이 포함된다. 

 

기술, 숙련공은 ‘기계공(mechanics)’과 ‘전기공(electricians)’, 그리고 ‘요리사(chefs)’ 등이 포함되며, 전문직 분야는 ‘의사(doctors)’나 ‘정보통신 전문가(ICT professionals)’ 그리고 ‘회계사(accountants)’와 같은 전문화된 자격을 갖춘 이들을 말한다. 

 

아래의 <도표 3>은 금년 6월 기준으로 남녀 간의 임금 격차를 8개의 직업별로 크게 분류해서 보여준다.  

 

이를 분석해 보면 많은 여성들이 일하는 직업에서는 임금 격차가 다른 직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는데 그러나 해당 분야는 임금 절대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이다. 

 

또한 고급 자격증 등이 필요한 반면 여성 종사자의 비율은 떨어지는 상위 전문직으로 올라갈수록 점점 더 임금 격차가 커지는 모습 역시 확인할 수 있다. 

 

0e5bcd798b4c023d6d10fb30a021e7c3_1566968384_0083.jpg
▲ 도표3: 직업별 남녀 간 임금 격차

<90%의 여성근로자들 임금 올랐지만...> 


한편 금년 통계 자료를 보면 위의 도표에서 구분된 총 8개 직업군 중 남녀를 구분하지 않았을 때 ‘단순 근로직(labourers)’ 6.5%, ‘영업직(sales workers)’이 5.3%, 그리고 ‘기술직 및 숙련공(technicians and trades workers)’이 4.2 %, 그 외에 ‘사회 및 인력 서비스직(community and personal service workers)’과 ‘전문직(professionals)’이 각각 4.0%와 2.4%씩의 시간당 중간 임금이 한 해 동안에 늘어났다.  

 

이 중 여성의 경우에는 모두 6개 직업 분야에서 시간당 임금이 상승했는데 반면 남성은 2개 분야에서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남녀를 합쳐 6월말까지 한 해 동안 중간 임금은 연간 2.0% 상승해 현재 시간당 25.50달러에 도달했는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여성 근로자들 중 90%가량이 시간당 임금이 오른 것으로 보인다. 

 

<태평양 제도 출신과 마오리, 주당 임금 증가에서 앞서>  

 

한편 이번 자료에서는 시간당 중간 임금 변동이 인종별로도 구분해 제시됐는데, 이에 따르면 6월말까지 마오리들과 아시안들의 중간 임금 연간 상승률이 공히 4.3%로 다른 인종들에 비해 높았다. 

 

태평양 제도 출신은 3.7%였으며 유럽계는 3.3%로 뒤를 이었다. 

 

또한 정기적인 봉급자들과 일용 근로자들의 임금 체계가 다른 만큼 이를 구분해 비교할 수 있는 ‘주당 중간 임금(median weekly earnings)’도 이번에 함께 공개됐다. 

 

이에 따르면 금년 6월 분기의 평균 ‘주당 중간 임금’은 1016달러로 집계됐는데 여성은 일년 동안 4.9%가 오른 반면 남성은 상승률이 0.9%에 머물렀다. 

 

이와 같은 여성 임금의 큰 폭 증가에는 풀타임으로 일하는 여성이 지난 한 해 동안 2만8600명이 늘어난 것도 배경에 자리잡고 있다. 

 

인종별로 볼 때 주당 중간 임금의 연간 증가율은 태평양 제도 출신이 5.1%로 가장 앞서면서 2018년의 876달러에서 금년에는 920달러로 임금이 늘어났다. 

 

그 뒤를 900달러에서 937달러로 4.1% 오른 마오리가 이었으며 아시안은 924달러에서 959달러로 3.8% 상승했고, 상승률 2.3%에 그친 유럽계는 주당 중간 임금이 1036달러에서 1060달러로 늘었다. 

 

0e5bcd798b4c023d6d10fb30a021e7c3_1566968481_1408.jpg
▲ 인종별 주당 중간 임금의 연간 변동

<갈길 먼 성별 임금 격차 해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금년에 낸 자료를 보면 2018년 뉴질랜드의 성별 임금 격차는 자체 조사 때의 9.4%보다 많이 낮은 7.9%로 나타난다. 

 

이는 통계를 보정하는 방식에 의한 차이인데, 이 자료에서 OECD 평균은 뉴질랜드보다 높은 13.5%이며 이웃 호주는 이와 비슷한 11.7%로 조사됐다. 

 

한편 루마니아가 1.5%로 임금 차별 최소 국가가 된 가운데 한국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34.6%라는 높은 수치로 격차가 가장 심각한 국가로 등장했다.  

 

선진국일수록 최근 들어 성별 임금 격차가 좁아지는 중인데, 특히 생명공학이나 의학, 교육, 헬스케어, 보험 등 분야에서 격차가 축소되는 경향이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격차가 존재하면서 뉴질랜드는 물론 어느 나라에서건 이 문제는 단순히 남녀 간의 임금 차이가 아닌 꽤 심각한 사회 문제로 등장한 지 오래이다. 

 

이런 상황에서 가정과 사회에서의 여성의 역할이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정립되는 한편 직업 선택과 교육을 포함해 양성 평등 등 국가와 사회의 제도와 정책들이 사회적 합의를 통해 새롭게 만들어지고 시행되어야 함은 반드시 이뤄져야 할 일이다. 

 

뉴질랜드는 한 세기도 훨씬 더 전인 지난 1893년에 세계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인정해 인류 역사의 한 페이지를 화려하게 장식한 바 있다. 

 

현재 국내의 많은 운동가들은 노동 현장에서의 남녀 간 임금 차별이 여전하며 해결을 위해 갈길도 멀다고 말하는데, 양성 평등 문제에서 빛나는 역사적 경험을 가진 뉴질랜드가 이 문제에서도 슬기로움을 발휘해 세계적으로 앞서가는 나라가 되었으면 한다. 

 

0e5bcd798b4c023d6d10fb30a021e7c3_1566968527_3245.jpg
▲ OECD 국가별 성별 임금 격차, 2018년 기준 

남섬지국장 서 현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2,366 | 7일전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2,642 | 8일전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2,621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2,732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7,877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3,691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593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128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5,819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1,939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632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4,875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390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442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103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340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

관광세 대폭 인상, 得인가 失인가

댓글 0 | 조회 3,274 | 2024.10.09
지난 1일부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부과되는 이른바 ‘관광세’가 100달러로 인상됐다. 정부는 많은 방문객 관련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며 관광세를 기존보다… 더보기

NZ 거주 인구 “30%는 해외에서 태어났다”

댓글 0 | 조회 3,578 | 2024.10.08
원주민인 마오리와 유럽계, 그리고 태평양 제도 출신이 주류이던 뉴질랜드의 인구 다양성이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더욱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10월 3일 뉴질랜드 통계… 더보기

실업 느는데 수당 강화하는 정부

댓글 0 | 조회 4,773 | 2024.09.25
정부가 수당 수급자들에 신호등 체제를 도입하는 등 수당을 강화하고 나섰다. 일부 수급자들은 벌써부터 수당이 깍이는 등 변화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더보기

3년간 작전으로 와해시킨 대형 갱단, 하지만…

댓글 0 | 조회 3,163 | 2024.09.24
현재 뉴질랜드가 가진 사회적 문제 중 가장 심각한 사안은, 갈수록 늘어만 가는 마약 문제와 더불어 좀처럼 줄지 않는 불법 총기 문제, 그리고 청소년 범죄 문제라는… 더보기

중앙은행의 깜짝 금리인하 …기다렸던 결정이지만 비난받는 이유

댓글 0 | 조회 7,198 | 2024.09.11
중앙은행이 지난달 깜짝 기준금리 인하에 나섰다. 4년여 만에 단행된 기준금리 인하는 긴 경기 침체와 높은 대출금리에 신음하는 많은 사람들이 고대하던 소식이었다. … 더보기

의사는 어디 가면 만날 수 있나요?

댓글 0 | 조회 3,239 | 2024.09.10
전국에서 의사를 포함한 의료진 부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주니어 의사는 물론 간호사와 구급요원, 그리고 보건 행정 직원까지 시위에 나서고 있… 더보기

가드닝 계절 “레지오넬라병도 조심해야”

댓글 0 | 조회 2,931 | 2024.08.28
겨우내 움츠렸던 나무와 풀이 생기를 찾고 새순이 돋아나면서 꽃들이 저마다 자태를 뽐내면서 봄이 왔음을 알리고 있다.매일 아침이면 기온이 영하 가까이 떨어지는 꽃샘… 더보기

외식업계의 한숨 “폐업 위기 내몰려”

댓글 0 | 조회 6,349 | 2024.08.28
외식업계에 찬 바람이 쌩쌩 불고 있다. 모든 업체들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레스토랑과 카페, 바들이 영업을 유지하기가 힘들 정도로 매출이 크게 줄었다고 호소하고 있다… 더보기

일자리 없어 본국으로 돌아가는 이주 근로자들

댓글 0 | 조회 7,021 | 2024.08.14
새로운 삶에 대한 꿈을 품고 뉴질랜드에 입국한 많은 이주 근로자들이 공교롭게 뉴질랜드를 덮친 경기 침체에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꿈을 펼쳐 보지도 못하고 본국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