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7] 변화하는 뉴질랜드 사회

[357] 변화하는 뉴질랜드 사회

0 개 3,815 KoreaTimes
작년 3월에 실시된 인구 센서스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5년마다 실시되는 센서스 발표 결과를 보면 지난 5년간 뉴질랜드 사회의 변화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센서스에서는 아시안 인구의 빠른 증가가 가장 큰 특색으로 나타났다. 이번 센서스에 담긴 뉴질랜드 사회의 변화상을 알아봤다.


뉴질랜드내 한국인 인구 2006년 현재 30,792명

이번에 발표된 인구 센서스는 2006년 3월 7일을 기준으로 실시된 것으로 뉴질랜드에 거주했던 사람이면 누구나 해당되며 장기 체류 여행자들도 포함됐다. 뉴질랜드에서 센서스는 5년마다 실시되는데 정부가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정확한 인구를 조사해 교육, 보건, 주택건설, 투자 계획 등을 세우는 기본자료가 된다.

2006년 센서스에서 한국인은 3만792명으로 집계돼 아시아 출신들 중에서 중국인(14만7570명)과 인도인(10만4583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필리핀인 1만6938명, 일본인 1만1910명, 스리랑카인 8310명, 캄보디아인 6918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아시안으로 분류된 35만4552명 가운데 한국인의 비율은 8.7%이다.


한국인은 2001년 센서스

서비스 때 1만9026명으로 조사됐는데 그 때에 비하면 61.8% 늘어 증가율 면에서 68.2% 를 기록한 인도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시험 도입 등으로 이민 요건이 강화되기 이전 인 2001년과 2002년에 장기사업비자 등으로 한국인 이민자들이 쇄도한 데 따른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기술이민 요건이 IELTS 영어시험 6.5점으로 상향 조정되고 투자이민과 장기사업비자 등에도 영어시험이 도입되면서 한국인 이민 신청자가 뚝 끊긴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뉴질랜드 출생 한국인 증가

흥미로운 사실은 한국에서 태어난 뉴질랜드 거주 한국인이 2만8806명으로 집계돼 1986명 정도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한국인 2세로 추정된다. 이는 2001년 센서스의 1095명에 비해 81.4% 증가한 것으로 교민 1.5세들이 차츰 결혼 적령기에 이르면서 이 땅에서 태어나는 교민 2세들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 이민 역사 100년에 가까운 중국의 경우 14만7570명 가운데 중국에서 태어난 사람은 7만8117명으로 나머지 6만9453명 정도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돼 이미 다수가 뉴질랜드를 출생지로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아시아 출신자들의 숫자는 2001년 23만8176명에서 2006년 35만4552명으로 48.9% 늘어 다른 인종들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시안은 젊은 층이 많아 15~29세 사이 뉴질랜드 인구 가운데 아시안의 비중은 31%나 됐다. 뉴질랜드는 아직 전체인구 418만1060명 가운데 유러피언이 67.6%로 절대 다수를 이루고 있다. 마오리는 14.6%로 56만5329명, 아시안은 9.2%로 35만4552명, 퍼시픽 아일랜더는 6.9%인 26만5974명을 각각 차지하고 있다. 아시안 인구의 빠른 증가는 앞으로 20년안에 뉴질랜드 토착민인 마오리의 숫자를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아시아 이민자 3분의2 오클랜드 정착

아시아 출신자들의 주거 지역으로는 오클랜드가 가장 인기가 있어 3분의 2가 오클랜드 지역에 모여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클랜드는 인종적으로 가장 다양한 지역으로 56.6%의 유러피언에 이어 아시안이 18.9%로 두 번째로 많다. 즉 오클랜드 주민 5명 가운데 거의 1명 꼴로 아시안인 셈이다. 그 뒤로 퍼시픽 아일랜더가 14.4%, 마오리가 11.1%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오클랜드 지역 전체인구는 131만8700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들의 37%는 해외에서 태어난 사람들로 조사됐다.

해외에서 태어난 인구의 비율은 2001년 19.5%에서 2006년 23%로 꾸준히 높아졌다. 이제 뉴질랜드인 거의 5명중 1명은 해외에서 태어났다는 의미다. 나라별로는 영국이 20만2401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7만8117명), 호주(6만2742명), 사모아(5만649명), 인도(4만3344명) 순이다. 한국은 2만8806명으로 9위를 차지했다.

아시안 인구 증가 등으로 다중 언어 구사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구사하는 인구가 17.5%로 10년전 13.6%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힌두어 사용자는 5년전보다 두 배 늘어난 4만4589명에 달했고 만다린 사용자는 4만1391명으로 늘었다. 영어는 뉴질랜드인 95.9%가 사용하는 단연 주된 언어이고 마오리어가 4.1%로 두 번째로 조사됐다.


무종교 인구 늘어

한편 센서스 결과 종교가 없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5년전보다 26만9052명 늘어난 129만7104명의 뉴질랜드인들이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이는 전체인구 가운데 34.7%에 해당된다. 특히 젊을수록 무종교 비율이 높아 10명당 4명은 종교가 없다고 응답했다. 유러피언의 무신론적 경향이 점차 강해져 이들의 37.7%인 95만5250명이 종교가 없다고 조사된 반면 중동이나 아프리카 출신자들은 상대적으로 무종교가 적었다. 전체적인 종교 인구 감소 속에서도 가톨릭은 5년전보다 4.7% 증가한 50만8437명으로 55만4925명의 영국국교회(Anglicans)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종파로 조사됐다.

가톨릭 교단의 한 관계자는 이민자 증가와 자녀들의 가톨릭계 진학 등을 카톨릭 교인 증가 요인으로 꼽았다. 아시안, 특히 한국인과 퍼시픽 아일랜더들이 모이는 교회 수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이번 센서스 조사시 인종 기타란에‘'New Zealander'라는 항목을 처음 적용시킨 것에 대해 인종 통계를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2001년 센서스때‘European’항목에 포함됐던 것으로 기존 통계와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것. 유러피언 인구 비율이 2001 년 80%에서 2006년 67.6%로 급감했지만 상당수는 이 기타란의 ‘New Zealander’범주에 포함돼 있을 거라는 추정이다.

매시대학의 폴 스푼리(Paul Spoonley)교수는 이에 대해“정부가 2500만달러를 써가며 센서스를 실시해 놓고 인종 통계에 대해 커브볼을 던졌다”고 빗대었다. 스푼리교수는“정부는 이민자 수를 늘리는데 주력했으나 이제 그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일, 예를 들어 단기 일자리를 마련하는 등의 정착 지원책을 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2,595 | 8일전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1,477 | 9일전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594 | 9일전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840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520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655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442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269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573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524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439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165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123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007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040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817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92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97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142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938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100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64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781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97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517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