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잘못된 곳에 지어지는 오클랜드 주택들

mogumogu
0 개 8,893 JJW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와 2월 사이클론 가브리엘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내었고 많은 주택들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드러내 주었다. 특히 뉴질랜드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에는 약 5만5,000채의 주택들이 홍수 취약 지역에 위치해 있고, 여전히 그러한 위험 지역에 지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변화로 앞으로 이번 홍수와 같은 극단적인 기상 이변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금세기 최악의 홍수 피해 


뉴질랜드의 여름은 대개 건조한 계절이지만 올해 기후 위기 속에 여름 폭우가 잦은 기현상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여름철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주 이례적으로, 기후 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1월 27일 시작된 기록적 폭우가 오클랜드에 내리면서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곳곳이 침수됐고 4명이 숨졌으며 오클랜드 공항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잇달았다.


시내에서는 주택과 상가가 침수되면서 주민들이 한 밤중에 대피하기도 했다.


뉴질랜드 기상청인 메트 서비스(MetService)는 28일 새벽까지 24시간 동안 오클랜드 지역에서 249mm의 강우량이 기록됐다고 전했다. 


종전 1월 월간 강우량 최고 기록은 1986년 200mm로, 이를 고려하면 이날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비가 쏟아진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다고 메트 서비스는 설명했다.


또 뉴질랜드 국립물대기연구소(NIWA)는 지난 1월 센트럴 오클랜드에 내린 강우량은 539mm로, 종전 월간 강우량 최고 기록인 1869년 2월의 420mm를 넘었다고 밝혔다.


교민들이 많이 사는 노스쇼어와 와이타케레 등 오클랜드 25개 지역 6,000~8,000채의 주택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277개 주택에 출입이 안전하지 않다는 빨간 플래카드가 붙여졌고 1,615개 주택에 제한적인 접근의 노란 플래카드가 붙여졌으며 2,566개 주택에는 최소의 피해를 나타내는 흰색 플래카드가 발부됐다.


오클랜드에 최악의 물난리가 난 지 보름 만인 지난달 12일부터 14일까지 사이클론 가브리엘이 북섬을 강타하면서 혹스 베이, 기스본, 오클랜드, 코로만델 등지에 10여 명이 숨지는 인명피해와 함께 홍수, 산사태, 가옥 침수, 도로 유실, 단전 등 큰 피해를 입혔다.


키어런 맥어널티(Kieran McAnulty) 비상 관리 장관은 14일 전례 없는 기상 사태로 오클랜드, 노스랜드, 와이카토 등 6개 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정부는 피해를 복구하는데 135억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반복되는 침수 피해 


이번 두 차례의 물난리와 지난달 24일 오클랜드 등 북섬 북부와 중부 지역에 내린 많은 비와 토네이도로 수 많은 사람들이 소중한 보금자리를 잃었다.


집이 기거할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되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은 주택 소유주들의 트라우마는 오래 갈 것이며 이번 일을 계기로 홍수, 산사태 등에 대한 주택의 안전성이 주택시장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뉴질랜드 최대 보험사인 IAG의 모델링에 따르면 뉴질랜드 주택의 1%인 2만채 정도의 주택이 심각한 홍수 위험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게레의 한 거리 주민들은 폭우가 내릴 때마다 가옥 침수를 걱정한다.


지난 1월 오클랜드 홍수에도 망게레 벤투라 스트리트에 있는 대부분의 주택들은 침수 피해를 입었다.


피해를 입은 주택들의 상당수는 국영기관인 카잉가 오라(Kainga Ora)가 개발한지 3년이 안된 새 집들이다.


이 거리의 한 주택에 사는 켄트 페니(Kent Peni)는 “비가 올 때마다 정원이 물로 찬다. 빗물이 빠져 나갈 길이 없다”고 전했다.


그는 벤투라 스트리트의 주택들이 테 아라라타 개울로부터 100미터 거리에 있기 때문에 폭우시 빗물과 하수가 급격하게 불어난다고 설명했다.


망게레는 오클랜드의 저지대 가운데 하나이고 카잉가 오라가 주관한 망게레 웨스트 주택 개발 지역의 중심으로 테 아라라타 개울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이 주택 개발 단지는 거의 홍수 지대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주민 마노지 레그미(Manoj Regmi)는 작년 7월 플레처 리빙(Fletcher Living)으로부터 집을 구입한 후 6개월 동안 두 번의 침수 피해를 입었다고 털어놨다.



레그미는 이러한 지역에 주택을 짓도록 허가해준 오클랜드 카운슬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후 변화로 기상 이변이 더욱 많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오클랜드 카운슬은 빗물 인프라를 갖춰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망게레-오타후후 지역위원회 닉 바쿨리치(Nick Bakulich) 의장은 “오클랜드 카운슬도 이 문제를 알고 있지만 빗물 인프라가 그에 따라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카잉가 오라와 협력하여 망게레에 새 주택들을 건설한 플레처 리빙 측은 협정에 따라 이 지역의 인프라 업그레이드에 대한 책임은 오클랜드 카운슬과 카잉가 오라에 있다고 밝혔다.


플레쳐 리빙의 대변인은 “카잉가 오라가 제안한 망게레 밀집화에 따라 빗물과 하수의 증가는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카잉가 오라 오클랜드 및 노스랜드 지역 캐롤라인 버터워스(Caroline Butterworth) 부회장은 “모든 개발은 토지 조사와 홍수에 대비한 빗물 처리 계획이 수반된다”고 말했다.


와이모코 개울에 인접한 스완슨 주거지역도 가옥 침수 피해가 반복된다.


캔디아 로드와 푹스 로드 교차로 근처의 주택에서 12년째 살고 있는 데릭 저지(Derek Judge)는 이번 오클랜드 폭우로 자신의 주택에 노란 플래카드가 붙여졌다.


지난 2021년에도 침수 피해를 입은 그의 주택은 이번 폭우로 와이모코 개울이 순식간에 2미터 이상 불어나면서 다시 피해를 보았다.


그는 “무슨 색의 플래카드가 붙여졌든지 상관없이 우리 가족은 그 집에 돌아가지 않을 것이다”며 “정부나 오클랜드 카운슬이 심한 홍수 피해를 입은 주택들을 구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지역에 홍수 피해를 입은 주택 소유주들은 단체를 결성하여 관계 당국에 홍수 피해 주택들의 구입을 요청했다. 


오클랜드는 뉴질랜드에서 해안 지대를 따라 가장 높은 인구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안 지역의 불안정성과 침식 위험에 높게 노출돼 있다.


지난번 사이클론 가브리엘이 강타하면서 산사태로 무너진 무리와이 주택들도 이미 1965년 산사태가 일어났던 지역으로 주택을 다시 짓지 않도록 선포됐으나 1980년대 이후에 같은 지역에 주택들이 건설된 것으로 알려졌다.


■ 오클랜드 홍수 취약 지역 건물 분포 

c1767e72c7b914ef2e9b09cfdbf188f1_1678869587_9738.jpg
 

오클랜드 55,000채 주택 홍수 취약 지역에 위치


선데이 스타 타임스지가 최근 오클랜드 카운슬과 뉴질랜드 토지정보국(LINZ)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오클랜드에 5만5,000채의 건물들이 홍수 지역이나 홍수 취약 지역에 위치해 있고, 그 대부분은 주거용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홍수 위험 지역이라도 100년에 한 번 정도의 폭우에 침수될 것이라고 설명한다.


국립물대기연구소는 지난 1월 오클랜드 폭우가 200년에 한 번 정도의 강우였다고 평가했다.


개발업자와 엔지니어들은 오클랜드 카운슬의 100년에 한 번 위험 주장이 오도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실제로 매년 1%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빅토리아 대학 기후변화연구소의 벨린다 스토리(Belinda Storey) 연구관은 “지금 1%의 연간 발생 가능성은 기후 변화로 2~4%로 올라 간다”며 “그러한 확률은 예측보다 빨리 변한다”고 설명했다.


홍수 위험 지역에 여전히 지어지는 주택들


오클랜드 카운슬은 지난 2016년 홍수 지역에 9,220채의 주거용 건축을 허가했고 홍수 취약 지역에 4,295채를 허가했다.


오클랜드 카운슬은 그 후로도 매년 홍수 지역에 주거용 건축을 허가했고 작년에는 더욱 많이 허가해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 참조)


■ 홍수 지역 오클랜드 카운슬 주거용 건축 허가 (자료: 오클랜드 카운슬)  

c1767e72c7b914ef2e9b09cfdbf188f1_1678869634_5837.jpg
 

망게레에 살고 있는 빅키 사이키스(Vicki Sykes) 몬테 시실리아 주택 트러스트(Monte Cecilia Housing Trust) 회장은 “빗물 관리 대응책 여부에 관계없이 가장 큰 실수는 홍수 지역에 건물을 세우는 것”이라며 “비가 내릴 때마다 무슨 일이 벌어질지 기다리는 것은 하지 못할 일”이라고 말했다.


스토리 연구관도 “홍수 지역에서의 건축은 중단해야 한다”며 “오클랜드의 주택 부족은 높은 지대에 중밀도 주택 건설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스코트 개발과 같이 홍수 지역에 세워진 일부 새로운 주택 개발은 1월 오클랜드 홍수에도 견뎌냈다.


타카니니는 지난 2014년 특별주택지역으로 지정된 후 수 천 채의 주택들이 홍수지역에 들어섰다.


타카니니 주택 개발의 한 섹션에서 홍수 완화 계획을 담당했던 에이알 앤 어소시에이트(AR & Associates)의 안드레스 로아(Andres Roa) 대표는 주택으로의 역류를 일으키는 빗물 배출 막힘을 방지하는 새로운 빗물 수송 통로를 만든 작업이 기본적으로 인조의 개울을 만드는, 기술적으로 매우 힘든 일이었다고 전했다.


제임스 쇼(James Shaw) 기후 변화 장관은 홍수 지역에서는 주택들이 개발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쇼 장관은 “홍수 취약 지역에 주택을 짓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건설되는 이유는 이와 관련된 국가적인 지침이 없고 오클랜드처럼 주택 위기를 겪는 지역의 카운슬들은 주택 수를 늘리기 위해 홍수 지역이라도 건축 허가를 내줄 것”이라고 말했다.


쇼 장관은 카운슬에 앞으로 어디에 주택을 지어서는 안 될지를 규정하는 ‘자연 및 건설 환경법’과 ‘공간 계획법’이 특별위원회에 계류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하지만 홍수 지역에 현존하는 주택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위험 주거 시설을 의도적으로 제거하거나 이전하는 ‘관리 철수’ 문제를 다룰 ‘기후 변화 적응법’은 아직 내각에 제출되지도 않은 상황이다.


쇼 장관은 ‘기후 변화 적응법’이 통과되더라도 시행되기까지는 수 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차드 힐스(Richard Hills) 오클랜드 시의원은 “홍수 지역 건축에 내린 허가를 취소하는 것은 법적으로 가능하지 않지만 현재 접수된 신청은 비상 권한을 이용하여 중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491 | 10일전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200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298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318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182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439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412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360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093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044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817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3,971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760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39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304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088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871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47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513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699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38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61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

관광세 대폭 인상, 得인가 失인가

댓글 0 | 조회 3,404 | 2024.10.09
지난 1일부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부과되는 이른바 ‘관광세’가 100달러로 인상됐다. 정부는 많은 방문객 관련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며 관광세를 기존보다… 더보기

NZ 거주 인구 “30%는 해외에서 태어났다”

댓글 0 | 조회 3,692 | 2024.10.08
원주민인 마오리와 유럽계, 그리고 태평양 제도 출신이 주류이던 뉴질랜드의 인구 다양성이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더욱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10월 3일 뉴질랜드 통계… 더보기

실업 느는데 수당 강화하는 정부

댓글 0 | 조회 4,939 | 2024.09.25
정부가 수당 수급자들에 신호등 체제를 도입하는 등 수당을 강화하고 나섰다. 일부 수급자들은 벌써부터 수당이 깍이는 등 변화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