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silvererain
0 개 6,832 서현

dee5cbf6706da0c679900bf65f9baf8f_1732097795_8582.png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만 명이 329억 달러를 대출받았다. 


2023년 12월에 나온 ‘학자금 대출 연례 보고서’를 보면, 이들 중 88만 2,000명이 이미 대출금을 전액 상환했으며 지금까지 상환한 대출금은 210억 7,000만 달러였다. 


하지만 학업을 마쳤거나 또는 중도에 그만둔 이후에도 제대로 갚지 않는, 이른바 ‘학자금 미상환액’이 갈수록 많아지면서 이 문제가 뉴질랜드 정부의 골칫거리가 된 지도 이미 오래 지났다.   


특히 해외로 나간 뒤부터 원금 상환은 물론 아예 연락처조차 끊기는 일명 ‘학자금 대출 먹튀자’ 문제는 그중에서도 가장 큰 골칫거리로, 이들로부터 받아내야 하는 금액도 어마어마한 수준이다.   


뉴질랜드 ‘국세청(Inland Revenue, 이하 IRD)’도 이미 오래전부터 대책을 세워 시행해 왔지만, 이번 달 들어 이러한 해외 체류자의 대출금을 회수하는 작업팀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또한 뉴질랜드와 호주를 중심으로 법적 조치도 강화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특히 팬데믹이 끝나고 호주를 비롯해 해외로 이주하는 뉴질랜드인들이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점점 더 많아진 이때, 자칫 이 문제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상황이 더 악화할 가능성도 높다. 


이번 호에서는 미상환 학자금의 상황과 이를 받아내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최근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그간의 언론 보도와 IRD 및 교육부 자료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dee5cbf6706da0c679900bf65f9baf8f_1732097816_3054.png
▲ 1992년 이후 학자금 대출 현황


<해외 체류자 학자금 대출 미상환금만  22억 달러 넘어> 


11월에 잇달아 나온 보도를 보면 현재 연체된 학자금 대출 잔액은 23억 7,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로 늘어났다. 


문제는 그중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22억 달러가 해외에 체류 중인 이들이 연체한 금액이라는 점인데, 이에 해당하는 인원은 7만 7,000여 명이며, 또한 이들 중 67% 정도가 5년 이상 뉴질랜드를 떠난 가운데 연체자 대부분이 호주에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해외 체류 중인 학자금 대출자 중 지난 12개월 동안 상환 의무를 일부라도 이행한 사람은 단 29%에 불과해 1/3도 채 안 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IRD도 이미 오래전부터 회수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갈수록 연체 금액이 늘어나면서 정부 재정을 압박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됐으며, 이는 또한 국내외 거주자들 간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30일을 기준으로 65세 이상으로 학자금 대출을 상환해야 하는 사람은 모두 2만 1,710명에 달했으며 이 중 1만 6,600명이 국내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에게 지급되는 노령연금에서도 학자금 대출액이 당연히 공제되는데, 미처 이를 몰랐다가 연금을 받기 시작하면서 이런 사실을 알고 깜짝 놀라는 경우도 꽤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규정으로는 연 소득이 2만 4,000달러 정도를 초과하는 소득 중 12%를 대출 상환금으로 내야 하는데, 노령연금이 통상 연간 3만 달러가 넘는 만큼 국내 거주자는 학자금 대출 잔액이 남아 있으면 자동으로 공제하고 있다. 


만약 학자금 대출 미상환자가 사망하면 그의 유산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발생한 연체액을 공제하기도 한다. 


결국 해외에 나간 경우는 젊을 때는 물론 65세 이상이 되었어도 ‘나 몰라라’ 하면 뜯기지도 않고 있는 돈을 국내에 산다는 한 가지 이유만으로 꼬박꼬박 공제 당하다 보니, 상환해야 할 돈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저 만만한 게 뉴질랜드에 사는 국민이냐?”고 하면서 볼멘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dee5cbf6706da0c679900bf65f9baf8f_1732097926_532.png
▲ 연도별 학자금 대출액과 대출자(기간: 1992~2023, 단위: 명, 백만 달러) 


상황이 이렇게 되자 IRD는 올해 예산에서 채무자의 상환 의무 준수와 이의 집행을 강화하기 위해 1억 1,600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받았는데, 그중 일부를 해외 거주자의 연체된 학자금 대출을 회수하는 작업에 특별히 할당했다. 


또한 나머지 자금은 암호화폐, 신탁을 비롯해 소위 지하 경제와 조직범죄 등 징세 시스템에서 이를 피해 가는 또 다른 영역에 대한 조사에 사용하고 있다.


IRD 관계자는 해외로 향하는 젊은이는 학자금 대출에 대한 이자가 누적된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할 수 있다면서, 나아가 이는 본인의 ‘채무 관리에 있어서도 나쁜 기록(a bad track record of managing debt)’을 남겨 개인 신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하지만 현재 학자금 대출 미상환자 대부분은, 그동안 단 한 번도 상환하지 않은 40대나 50대의 사람들이라면서 이는 정말 큰 문제라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dee5cbf6706da0c679900bf65f9baf8f_1732097970_3178.png
▲ 국내와 국외 거주자를 나눈 인별 미상환액과 인원(2023년 6월) 


<호주 세무 당국과 추심업체의 협조 > 


하지만 지금은 영국과 호주의 ‘채권 회수 업체(debt collection agencies)’가 일부 미상환자를 추적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IRD 관계자는 전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에만 약 7,000명의 명단이 호주 채권 업체에 이름이 공유됐고, 그 결과 약 1,000명이 현재 대출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환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몇 년간의 직업과 비교해 볼 때 큰 성과이자 진전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한편, IRD는 외국의 추심 업체뿐만 아니라 호주 세무 당국과도 연락을 취했으며, 이를 통해 호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연락처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그는 대부분은 ‘접촉(contact)’과 그 이후 ‘협상(negotiation)’이 이뤄지는데, 일단 미상환자와 접촉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 경향이 많다면서, 바로 이 점이 호주 세무 당국과 데이터를 공유하게 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또한 ‘최악의 경우(the worst cases)’에는 IRD가 현지 법원을 통해, 미상환자가 호주에서 일하는 동안 받았던 임금에서 미상환액을 공제하려는 시도까지 하고 있다.


dee5cbf6706da0c679900bf65f9baf8f_1732098030_5364.png 

▲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학자금 대출 토론 광경


<150명은 귀국하면 체포영장 발부할 수도…>  


한편 IRD에 따르면 학자금을 상환하지 않은 11만 명의 뉴질랜드인 중 1만여 명이 매년 뉴질랜드를 찾는다.  

 

현재 학자금 대출 미상환액이 1,000달러가 넘는 사람이 만약 뉴질랜드로 돌아오면 IRD로부터 연락을 받게 된다. 


이전에는 IRD가 이에 해당하는 사람 중 1/4 정도에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모든 사람과 연락할 수 있는 자원이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부 미상환자의 경우에는 상황이 더 나빠질 수도 있는데, 관계자는 뉴질랜드로 돌아올 경우 체포영장을 발부할 수 있는 150명의 명단을 IRD가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대상자들이 미상환 채무에 대해 협상하지 않았다면 다시 출국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관계자는 강조했다. 


미상환 대출금의 액수와 기간, 그리고 지금까지 상환금을 전혀 내지 않았던 행위 등이 이들이 출국 금지 등 적색 경고를 받는 이유 중 하나이다.  


관계자는 미상환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상환 절차에 대한 합의를 시작하면 이자도 일부 줄어들 것이라면서, 우리는 그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으며 또한 그들이 해외에서도 상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관해서도 이야기를 나눈다고 설명했다. 


한편, 여권 신청자의 경우에도 여권 발급 주관 부서인 ‘내무부(Internal Affairs, DIA)’가 아닌 IRD로부터 연락을 받을 수도 있다. 


dee5cbf6706da0c679900bf65f9baf8f_1732098076_2437.png
 

<소셜미디어까지 뒤지는 IRD> 


IRD 관계자는 학자금 대출 미상환과 관련해 기준을 넘는 사람과 접촉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올해 예산에서 IRD가 이 작업을 위해 40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받았는데, 이에 대한 수익률은 4대 1에 이르며 내년에는 8대 1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올해 들어 7월부터 9월까지 해외에서 6,000만 달러에 상당하는 학자금 대출 미상환금을 징수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나 증가한 실적이다. 


IRD가 해당자를 찾아내는 방법 중에는 LinkedIn을 포함한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것도 포함하는데, IRD는 이 작업을 수행하는 팀을 늘리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IRD는 또한 부동산 거래 데이터도 사용했으며, 해외 체류 미상환자가 가진 국내의 부동산이 개인, 회사 또는 신탁에 의해 소유됐는지 등등에 대한 명확한 정보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지난 분기에 부동산 투자자와 개발업체에 대한 수백 건의 조사도 실시했다고 전했다. 


그는 대상자들이 여전히 국내에 여러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고 또 임대료 수입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대출금을 더 이상 상환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수백 건의 조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IRD는 ‘신탁(trust)’을 통해 소유한 이들 등 부동산 여러 채를 가진 200명의 사업주와 연락을 취했으며 그들이 채무를 상환하지 않으면 IRD가 더는 ‘느슨하게 대처하지 않을 것(cutting them much more slack)’이라고 경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에 해당했던 이들의 미상환금은 1,400만 달러가 넘었는데 IRD의 조치에 따라 한 달 안에 1,000만 달러 이상을 상환했거나 또는 상환 방안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자는 지난 1분기에 실시한 2,000여 건의 조사 중 10%가 국내 최대 규모 기업들과 관련됐는데, 이에 따라 IRD는 도시 지역 사업체를 대상으로 액수가 큰 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주류 판매장, 전자담배 판매장과 네일 살롱, 미용실도 IRD가 현금 소득이 제대로 신고되지 않다고 판단해 조사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학자금 미상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세금에 대한 조사도 아울러 실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계자는 우리가 이러한 곳을 예고 없이 방문했는데 업주들이 보통 우리를 보고 기뻐한다면서, 이들은 우리에게 의심스럽게 일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쟁 업체에 대해 말해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IRD는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 남섬지국장 서 현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1,028 | 4일전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854 | 5일전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4,078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281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136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330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364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317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060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000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8,684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3,944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24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2,725 | 2024.12.18
■ 절도와 이민자 착취 혐의로 녹색당 의원들 사임1월 16일 뉴질랜드 첫 난민 출신 국회의원으로 주목 받았던 녹색당 골리즈 가라만(Golriz Ghahraman)… 더보기

영화 ‘나 홀로 집에’와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 요령

댓글 0 | 조회 2,218 | 2024.12.18
또 한 해가 저무는 가운데 성탄절과 연말 휴가철을 앞두고 마음이 한껏 부풀고 있다.바다로 산으로, 호수와 강으로 떠날 휴가가 기대되는 이때, 하지만 오래 집을 비…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자리잡아 가는 한국인

댓글 0 | 조회 6,237 | 2024.12.04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이민 역사가 더해가면서 이민자 수가 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센서스 결과 나타났다.조금 오래되긴 했… 더보기

Westport “빈번한 물난리, 아예 도시 전체를…”

댓글 0 | 조회 2,062 | 2024.12.03
남섬 서해안 ‘웨스트 코스트 지역(West Coast Region)’ 해안 도시인 ‘웨스트포트(Westport)’가 잦은 홍수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도시 전… 더보기
Now

현재 IRD “외국 나가 살아도 학비 대출금 끝까지…”

댓글 0 | 조회 6,833 | 2024.11.20
지난 1992년부터 뉴질랜드에서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자금 대출 제도(Student Loan Scheme)’를 시작한 이래 2023년 6월까지 147… 더보기

수당 수급자 역대 최다

댓글 0 | 조회 5,011 | 2024.11.20
각종 수당을 받는 사람들이 거의 40만명에 이르면서 역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수당 강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당 수급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경제가 … 더보기

경제정책에 밀려난 환경정책

댓글 0 | 조회 1,480 | 2024.11.06
국민당 주도 연립정부가 집권하면서 가장 뚜렷하게 바뀐 정책 기조 가운데 하나가 환경보다 경제를 우선시하는 것이다.이전 노동당 정부가 추진했던 환경정책들을 접고 경… 더보기

NZ, 지난 5년간 이렇게 변했다

댓글 0 | 조회 4,653 | 2024.11.06
지난해 실시된 센서스 자료가 5월에 1차로 공개된 데 이어 10월에 다시 나왔다.센서스 결과는 인구 동향을 비롯해 지난 5년간 뉴질랜드인들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더보기

자주 결석하는 학생의 부모 기소될 수도

댓글 0 | 조회 3,205 | 2024.10.23
앞으로 자주 무단결석하는 학생의 부모는 기소될 수도 있다고 정부가 으름장을 놓았다. 또 학기중 수업을 하지 않는 교사의 날이 금지된다.이같은 내용들을 포함하는 정… 더보기

주택보유율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오클랜드는…”

댓글 0 | 조회 3,430 | 2024.10.22
지난 10월 초 발표된 ‘2023년 센서스’ 중 주택과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전국의 ‘주택 보유율(home ownership)’이 5년 전인 2018년 … 더보기

관광세 대폭 인상, 得인가 失인가

댓글 0 | 조회 3,377 | 2024.10.09
지난 1일부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부과되는 이른바 ‘관광세’가 100달러로 인상됐다. 정부는 많은 방문객 관련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며 관광세를 기존보다… 더보기

NZ 거주 인구 “30%는 해외에서 태어났다”

댓글 0 | 조회 3,670 | 2024.10.08
원주민인 마오리와 유럽계, 그리고 태평양 제도 출신이 주류이던 뉴질랜드의 인구 다양성이 시간이 점점 지날수록 더욱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10월 3일 뉴질랜드 통계… 더보기

실업 느는데 수당 강화하는 정부

댓글 0 | 조회 4,900 | 2024.09.25
정부가 수당 수급자들에 신호등 체제를 도입하는 등 수당을 강화하고 나섰다. 일부 수급자들은 벌써부터 수당이 깍이는 등 변화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