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따라 세계 '금리인상 도미노'…"끝나려면 멀었다"

美연준 따라 세계 '금리인상 도미노'…"끝나려면 멀었다"

0 개 2,552 KoreaPost

(서울=연합뉴스)   하루 동안 세계 중앙은행 13곳이 일제히 기준금리를 올리는 등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 단행(CG)
미국 금리 인상 단행(CG)       [연합뉴스TV 제공 자료사진]

하지만 잇따른 대폭 금리 인상이 경기후퇴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금리 인상 행진이 끝나려면 멀었다는 전망도 나온다.

블룸버그·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미국을 따라 금리 인상에 나선 세계 중앙은행은 영국·스위스·노르웨이와 아시아의 대만·홍콩·인도네시아·필리핀,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UAE)·카타르·바레인·쿠웨이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총 13곳에 이른다.

 

앞서 전날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3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게다가 게다가 올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4.4%에 이를 것으로 전망, 남은 2차례 FOMC 회의에서 1.25%포인트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에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금리 수준에 따른 외화 유출과 환율 변동 가능성을 주요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는 다른 나라들도 잇따라 인상을 단행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은 이날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오른 2.25%로 결정했다. 이로써 두 번 연속으로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 BOE는 "(인플레이션 지속 시) 필요에 따라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스위스도 기준금리를 0.5%로 0.75%포인트 올려 2015년 이후 이어진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마감했고, 노르웨이는 금리를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인 2.25%로 0.5%포인트 인상했다.

아시아에서는 대만(0.125%포인트), 홍콩(0.75%포인트), 인도네시아(0.50%포인트), 필리핀(0.50%포인트)이 일제히 금리 인상을 실시했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고, 인도네시아도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금리 인상 폭을 발표한 뒤 내년 상반기까지 물가를 2∼4% 목표 범위 안에 돌려놓겠다고 강조했다.

남아공도 기준금리를 6.25%로 0.75%포인트 올렸다.

중동에서도 사우디·UAE·카타르·바레인이 미국과 마찬가지로 0.75%포인트를, 쿠웨이트가 0.25%포인트를 각각 인상했다.

이 5개국 중 쿠웨이트를 제외한 4개국은 자국 통화 가치를 미 달러화에 연동하는 고정환율제(달러 페그)를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 지난 20일 스웨덴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1.0%포인트의 파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 기준금리를 1.75%로 높였다. 스웨덴은 11월에도 금리를 0.5%포인트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몽골(2%포인트), 베트남(1%포인트) 등도 이번 주 들어 금리 인상 대열에 동참했다.

이처럼 각국의 통화긴축 흐름이 거세지만, 여전히 높은 각국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당분간 금리 인상 흐름이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블룸버그는 관측했다.

싱가포르 소재 메이뱅크의 추아 학 빈 이코노미스트는 "원자재 가격 강세가 누그러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임금 (상승) 압력은 가라앉지 않았고 근원·서비스 물가 상승세는 더 지속할 수 있다"며 "중앙은행의 (통화)긴축이 끝나려면 멀었다"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도 다음 달 12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그동안의 예상보다 큰 0.5%포인트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하지만 큰 폭의 금리 인상이 거듭되면서 기준금리가 오를수록 경기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모리스 옵스펠드는 연준이 지난해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이라 오판했듯이 이번에는 반대로 상황을 잘못 판단해 경기후퇴를 유발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는 "중앙은행들이 경기 둔화에 따라 물가 상승률이 내려가는 속도를 과소평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호주 청년층, 세대 간 불평등에 대한 우려 속에서 정치적 영향력 확대

댓글 0 | 조회 320 | 3일전
2025년 4월 11일, 호주의 공공… 더보기

호주서 시험관시술 실수로 배아 바뀌어 남의 아기 출산

댓글 0 | 조회 867 | 4일전
(하노이=연합뉴스) 호주의 한 산모가… 더보기

금값 3천200달러 첫 돌파…스위스프랑 10년만에 최고

댓글 0 | 조회 725 | 4일전
(서울=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더보기

'가장 부유한 50대 도시' 1위는뉴욕.

댓글 0 | 조회 825 | 4일전
영국 투자이민 컨설팅 업체 헨리앤드파… 더보기

2025년 세계 공항 순위 발표: 싱가포르 창이공항 1위 탈환

댓글 0 | 조회 1,193 | 4일전
2025년 세계 최고의 공항 순위가 … 더보기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는 ?

댓글 0 | 조회 778 | 4일전
2025년 현재, 비트코인을 가장 많… 더보기

中법원, 살아있는 악어 100t 경매 화제…"직접 가져가야"

댓글 0 | 조회 487 | 8일전
(서울=연합뉴스) 중국 법원이 살아있… 더보기

미얀마서 7.7 강진에 144명 사망…태국선 공사중 30층건물 붕괴

댓글 0 | 조회 562 | 2025.03.29
(하노이·방콕·서울=연합뉴스) 미얀마… 더보기

15년전 신형아이폰 비싸다며 망설였던 80년대생, 中최고부자됐다

댓글 0 | 조회 1,589 | 2025.03.28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권숙희 기자… 더보기

날개위에서 12시간 버텼다…경비행기 호수 추락, 일가족 기적생존

댓글 0 | 조회 1,137 | 2025.03.27
(서울=연합뉴스) 미국 알래스카주의 … 더보기

전신마비 환자, 뇌에 '머스크표 칩' 심고 1년…"게임 실력 늘어"

댓글 0 | 조회 656 | 2025.03.25
(서울=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더보기

"17세 소녀가 50세男 대리모로 쌍둥이 출산" 폭로에 中 '발칵'

댓글 0 | 조회 726 | 2025.03.25
(서울=연합뉴스) 중국에서 17세 소… 더보기

'KO 머신' 조지 포먼, 76세로 타계…최고령 헤비급 챔프

댓글 0 | 조회 994 | 2025.03.22
(서울=연합뉴스) 'KO 머신'으로 … 더보기

빙하 녹는 속도 점점 빨라진다…유엔 "20억명 생존 위협"

댓글 0 | 조회 604 | 2025.03.21
(서울=연합뉴스) 기후 위기로 전 세… 더보기

매머드 복원에 '성큼'…유전자 건들자 '털복숭이 생쥐' 태어났다

댓글 0 | 조회 1,547 | 2025.03.06
(서울=연합뉴스) 멸종된 포유류인 매… 더보기

기적의 핏방울…평생 헌혈로 240만명 살린 희귀혈액 남성 별세

댓글 0 | 조회 1,206 | 2025.03.04
(서울=연합뉴스) 호주에서 평생에 걸… 더보기

‘포도뱅크’ 동포인터넷은행 설립을 위한 한상펀드 600억 조성

댓글 0 | 조회 949 | 2025.02.11
동포인터넷은행 설립을 위하여 재외동포… 더보기

"뇌에 숟가락 한개씩…" 미세플라스틱 탓 치매 가능성 걱정까지

댓글 0 | 조회 1,591 | 2025.02.05
(서울=연합뉴스) 미세플라스틱이 질병… 더보기

"어린 쥐에게 지중해식 식단 먹였더니…기억력·인지 개선"

댓글 0 | 조회 1,651 | 2025.01.06
(서울=연합뉴스) 쥐 동물모델 실험에… 더보기

호주 집값, 22개월 만에 하락 전환…시드니 0.6% 떨어져

댓글 0 | 조회 1,193 | 2025.01.02
(자카르타=연합뉴스) 호주 주택 가격… 더보기

대만서 쌍둥이 '지연 간격 출산'으로 111일 만에 둘째 순산

댓글 0 | 조회 1,267 | 2024.12.25
(타이베이=연합뉴스) 저출산이 심각한… 더보기

"비타민D, 노년기 근감소증 예방에 운동 못지않은 효과"

댓글 0 | 조회 1,414 | 2024.12.20
(서울=연합뉴스) 노인들이 충분한 양… 더보기

세계 최고령 야생새 74살 앨버트로스, 새 짝과 또 '출산'

댓글 0 | 조회 1,216 | 2024.12.07
(서울=연합뉴스) 올해 74세로 세계… 더보기

"노년기 근육 감소는 치매 위험 요인…골격근 손실 예방해야"

댓글 0 | 조회 1,033 | 2024.12.05
(서울=연합뉴스) 노년기에 골격근량이… 더보기

1조4천억 가치 '저주받은 에메랄드' 23년 만에 고향 브라질로

댓글 0 | 조회 1,638 | 2024.11.24
(서울=연합뉴스) 무게 836파운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