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미국 달러화의 초강세 속에 아시아 양대 경제 대국인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 가치의 급락으로 1997년처럼 아시아 금융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6일 진단했다.
한국 원화도 필리핀 페소화와 더불어 아시아 각국 통화 중 가장 취약한 통화로 꼽혔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3%포인트 인상한 반면, 일본·중국 중앙은행은 초저금리를 유지하거나 경기부양적 통화정책을 시행하면서 달러 대비 엔화와 위안화 가치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들어 엔/달러 환율은 24.922%, 중국 역내 기준 위안/달러 환율은 12.151% 각각 뛰어올랐다.
이 같은 엔화·위안화 약세는 달러 강세의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외환보유고를 쏟아붓는 아시아 지역 국가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이는 양국이 아시아 경제·무역에서 차지하는 위상 때문이다. 중국은 지난 13년간 동남아 국가들의 최대 교역 파트너였고, 세계 3위 경제 대국인 일본은 주요한 자본·신용 수출국이다.
이들 국가의 통화 가치 급락으로 글로벌 펀드들이 아시아 지역 전체에서 자금을 회수해 대량 자본 이탈로 이어질 경우 진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이런 위기가 아니더라도 각국간 경쟁적인 통화 평가절하와 수요·소비자 신뢰의 하락이라는 악순환이 촉발될 수 있다.
일본 미즈호은행 관계자는 "위안화와 엔화 약세는 아시아 무역·투자와 관련해 통화가치를 불안정하게 할 위험이 있다"며 "우리는 어떤 면에서 세계적인 금융위기 수준의 스트레스를 향해 가고 있는데 이런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본과 중국의 위상은 금융시장에서 더 두드러진다.
위안화는 아시아 통화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를 웃돌고, 엔화는 세계에서 3번째로 거래가 많은 통화다.
최근엔 이 두 통화와 나머지 아시아 각국 통화가 점점 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 양국 통화가치 급락의 파급효과가 더 커지고 있다.
예컨대 엔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 통화지수 간 120일 상관계수가 지난주 0.9 이상으로 급등해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관계수는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해 브릭스(BRICs) 용어의 창시자로 유명한 짐 오닐 전 골드만삭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엔화의 경우 달러당 150엔과 같은 특정 심리적 저항선이 뚫리면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수준의 혼란이 초래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이런 저항선보다는 통화가치의 하락 속도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월가 투자은행(IB) BNY멜런의 투자운용 사업부 관계자는 "여기서부턴 위안화의 추가적인 평가절하가 더 골칫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엔화와 위안화 가치의 추가 하락이 반드시 금융위기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아시아 각국은 1990년대 후반 위기를 겪은 후 외환보유고를 크게 늘리고 달러 차입을 줄여 왔다. 그럼에도 위험은 여전하다.
호주 맥쿼리캐피털 관계자는 아시아 통화 중 한국 원화, 필리핀 페소화 등 경상수지 적자 국가들의 통화를 가장 취약한 통화로 꼽았다.
이 관계자는 엔화와 위안화 둘 다 가치가 하락하면 신흥국 통화 보유자의 헤지(위험 회피)와 달러 매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실제 원화 가치는 이날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전 10시 11분 현재 달러당 1,428.25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8.95원이나 급등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개장하자마자 1,421.0원까지 올라 세계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9년 3월 이후 13년 6개월 만에 1,420원선을 돌파한 뒤 1,430원선에도 육박하고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