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공포불감증(恐怖不感症)

[343] 공포불감증(恐怖不感症)

0 개 2,880 KoreaTimes
10월은 우리에게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을 동시에 가져다 주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의 ‘유엔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피선과 북한의 ‘핵실험 강행’은 해외에 사는 우리에게도 자랑스러움과 안타까움을 공감하게 한다.

반 장관은 내년 초부터 코피 아난의 뒤를 이어 5년간 사무총장 일을 하게 된다. 이는 반 장관 개인의 명예는 물론, 대한민국이 건국이래 가장 중요한 국제적 기구의 수장 자리를 차지한 쾌거라 할만하다. 그동안 분단과 전쟁과 혁명으로 이어지는 격동기를 지나 어느 정도 정치적, 경제적 안정을 이룬 우리로서는 크나 큰 행운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현안들이 산적해 있고, 유엔안보리가 반 장관을 단일 후보로 확정한 10월 9일에 이를 시샘하듯 북한이 핵실험이라는 계산된 불장난을 하는 등 결코 만만한 상황은 아니다. 주간 타임 최신호는 “반장관은 다른 정부를 거스르지 않는 성격(inoffensiveness) 이지만 북핵문제 등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과연 제 역할을 해낼지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추석 연휴 직후 핵실험을 단행 한 이유에 대해 나라마다 해석이 분분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분석 또한 제각각이다. 특히 한반도의 다른 쪽 상대인 대한민국의 입장과 미국, 중국, 일본등 관련 당사국들 그리고 다른 나라의 이해와 득실이 얽혀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가공할 핵무기의 위력과 예측 불허인 북한 김정일의 파행 앞에 우리는 속수무책이다. 핵실험 강행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은 “핵실험 이후의 남북 관계는 전과는 다를 것이라고 분명히 경고했다”고 말했지만 상대가 경고로 듣지 않는다면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다. 우리는 아무런 잘못도 없이 자칫 그 결과에 대한 최대 피해국이 될 수 있는 답답한 현실이다.

‘펄 벅(Pearl S. Buck)’은 동서 갈등을 그린 ‘북경서 온 편지(Letter from Peking)’에서 이념 때문에 그보다 훨씬 중요한 인생이 파괴 될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주인공 ‘리즈’는 ‘칼 막스’에 대해 말한다.<Karl Marx, the strange little man, long dead, who lived narrow little life, and somehow managed, by the power of his wayward brain, to lay hold upon millions of human lives.” (오래 전에 죽은 쬐끄맣고 괴상한 사나이, 칼 막스, 그는 편견에 찬 하찮은 인생을 살았지만 외고집 두뇌로 수 많은 인생을 사로 잡았다.)> 그 ‘막스 이론’이 추종자였던 김일성과 아들 김정일에 의해 완성, 왜곡, 변질된 채 ‘악의 축’의 정신적 지주로 아직도 세상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펄 벅은 나중 한국을 배경으로 ‘살아 있는 갈대(The Living Reed)’를 써서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다. 왜 우리는 갈대처럼 시달려야만 하는가!

뉴질랜드 TV내용중 많은 부분이 ‘엽기호러물’이다. 또한 실감나는 광고는 교통사고현장이다. 음주 또는 과속운전자가 일으키는 사고 순간을 보여주는데 너무나 적나라해서 처음 접할 때는 섬뜩한 나머지 거부감마저 들지만 자주 접하게 되면 무덤덤한 느낌이 들게 된다.

터프가이로 알려진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쾌활하고 호탕하면서도 ‘죽음이 무서워 엽총으로 미리 자살한’ 아이러니를 남긴 ‘이해하기 힘든 소설가’(misunderstandable novelist)이다.  그런데 그가 전쟁을 배경으로 쓴 ‘무기여 잘 있거라’( Farewell to Arms)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For whom the Bell tolls)는 둘 다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불멸의 명화로 자리 잡았다. 그 두 작품에서 우리는 전쟁을 통해 갖가지 교훈-공포, 파괴, 비정, 가난, 사랑 등-을 얻고 최악의 상황들을 간접 경험하기도 한다. 하지만 놀라운 일은 그 소설과 영화의 종결 부분쯤 되면 전쟁의 공포를 별로 실감치 못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충격과 공포의 반복이 가져다 주는 무반응과 불감증인데 이는 실로 무서운 일이다.

처음 핵실험에 대해 크게 불안해 했던 고국의 뉴스 프로에서조차 시간이 지나면서 주식시장등 경제 파급효과 외에는 이렇다할 공포감은 더 이상 확산 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 주고 받은 고국과의 이 메일이나 전화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공포감이나 걱정은 희박해져가고 오히려 “여기선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데 왜 밖에서들 과민 반응일까?”하는 느낌을 감지하게 된다. 북한 핵실험에 따른 유엔과 관련 국가들의 후속조치, 특히 이에 대한 고국의 반응과 국민적 정서 변화를 보면서 느끼는 해외 동포들의 심정은 참으로 착잡하다. 헤밍웨이의 작품에서 느끼는 전쟁불감증 같은 것은 아닐까 걱정 된다. 진정 아무 일도 없어야 하지만 정신장애 지도자나, 막다른 골목에 몰린 무서운 아이가 벌이는 해프닝쯤으로 치부하기엔 자꾸만 걸리는 부분이 있다.  부모, 형제 그리고 동포들이 살고 있는 고국의 일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