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6] 나는 비행기를 날게 하는 Avionic-Air New Zealand 항공 정비사 설진수씨

[376] 나는 비행기를 날게 하는 Avionic-Air New Zealand 항공 정비사 설진수씨

0 개 9,098 KoreaTimes
'Air New Zealand 항공 정비사 설진수씨'

어렸을 적 누군가 나에게“커서 무엇이 되고 싶니? 장래 희망이 뭐니?”라고 물어 보았을 때 혹시 과거에 당신이 대답한 꿈을 현재 이루었나요? 장래희망을 이룬 사람은 분명 그만큼의 노력과 운도 많이 따라 주었을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공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하늘을 나는 파일럿이 장래희망이었던 설진수씨는 비록 파일럿의 꿈을 이루진 못했지만 비행기를 워낙 좋아하여 항공 정비사의 꿈을 이루게 되었다. 뉴질랜드 최고의 항공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에어 뉴질랜드(Air New Zealand)’의 한국인 항공 정비사 설진수씨를 만나 그가 말하는 항공 정비사와 에어 뉴질랜드에서 항공 정비사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 그의 스토리를 인터뷰해 보았다.

  2001년 중순 뉴질랜드에 처음 발을 내딛은 설진수씨는 한국에서 수능시험을 보고 공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파일럿이 되기를 원했지만 안타깝게도 수능시험에서 원하는 점수를 받지 못해 공군 사관 학교를 포기했다고 한다. 재수할 생각까지도 했으나 부모님의 권유로 뉴질랜드로 유학의 길을 선택했다고. 마침 본인이 어렸을 때부터 들어가고 싶었던 항공 학과가 뉴질랜드 매씨 대학교(Massey University)에 있었고 꼭 항공학과에 입학해야겠다고 생각했다. 1년 동안 어학원을 다니면서 영어공부를 하고, 뉴질랜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했거나 한국에서 온지 얼마 안 된 학생들을 위한 코스인 파운데이션 코스(Foundation Course)에서 6개월간 공부를 이수해 2003년에는 매씨 대학교에 정식으로 입학 하게 되었다.

  처음 1년은 컴퓨터 사이언스 학과(Bachelor of Science)를 다니면서 대학생활을 시작했지만 설씨의 적성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해 항공학과로 이전 했다고 한다. 항공학과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과정 에서 파일럿 코스를 신청했지만 인터뷰에서 두 번 실패 하고 정식 파일럿이 되는 과정은 너무 힘들다고 파악해 전공을 항공 정비학과(Bachelor of Aviation Aircraft Maintenance)로 신청하게 되었다. 그는“어려서부터 자동차와 비행기에 대한 관심이 유난히 많았고 특히 파일럿과 항공정비사에게는 막연한 동경심만 있었는데.... 지금도 공항에서 비행기를 보면 가슴이 떨려요”라며 학부시절에는 공부와 실습(비행 나가는 것)을 병행하는 것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들었지만 어려서부터 동경해 왔던 항공학을 공부 하게 되어 행복했고 지금도 일하는 것은 하루하루가 재미있다고 말한다.

  본인이 졸업한 학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부탁한다는 질문에 설진수씨는“항공정비학과(Bachelor of Aviation Aircraft Maintenance)는 단순 정비사보다는 정비팀의 매니저를 양성하기 위한 학과입니다. 그러므로 단순 항공정비만 이수하는 것이 아니라 Management Course도 함께 공부 합니다. 1학년 때는 에어 뉴질랜드 항공사의 level 3 기초정비코스(National Certificate in Aeronautical Engineering : Related Technology - Level 3)시험을 보고, 2학년 때는 11개의 정비사 자격증 시험을 보는데 모든 시험은 70% 이상을 받아야 패스를 하고 다음 학년으로 올라갈 수 있어요. 3,4학년 때는 항공 매니지먼트 과목과 비즈니스 과목을 선택하여 시험을 보고 패스를 해야 졸업 할 수 있답니다.”라며 4년의 힘든 과정인 항공정비 학과를 진지하게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3,4학년의 이론과정 보다는 오히려 1,2학년의 실습과정이 더욱 힘들었다는 것이 그의 설명. 그의 동기생들은 1,2학년 때 많이 떨어져 나갔으며 총 졸업생의 수는 10명이 넘지 않을 정도로 항공정비학과는 어려운 코스라고 설명한다.

  2005년도에는 같은 대학교 파일럿 코스의 두 견습생이 경비행기를 몰고 연습 중이었는데 둘의 비행기가 실수로 충돌해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났었다. 그 중 한 명은 한국인이었으며 그 날의 비행기 충돌 사고로 견습생 둘 다 사망했고 언론에서도 큰 이슈가 되었다고 한다. 당시 학부생이었던 설진수씨에게는 큰 충격이었다고.... 그는“항공정비사나 파일럿이 정비를 하거나 비행을 나갈 때는 반드시 책임감을 가지고 업무에 임해야 합니다. 본인의 실수, 혹은 잘못된 정비문제로 인해 몇 백 명의 인원이 죽을 수 있기 때문이죠. 의사만이 사람을 살리는 건 아니라고 봐요. 우리에게도 사고가 나지 않도록 정비를 철저하게 하는 의무와 책임이 있죠.”라고 말해 본인이 맡은 임무에 대한 자부심과 책임감을 전한다.  

  설씨는 학부과정을 이수하면서 취업과 관련된 본인의 미래가 불투명했다. 영주권 이상의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력서를 제출해도 인터뷰를 보자고 연락 오는 회사는 없었다. 그는 우연한 기회로 에어 뉴질랜드에 이력서를 넣고 인터뷰를 보게 되었는데 3주 후 회사 측에서 함께 일 할 마음이 있느냐고 연락이 왔다. 학생신분으로 경력도 없었는데 운이 좋게도 에어 뉴질랜드에 정식 직원으로 계약을 하게 되는 기쁨을 얻은 것이다. 설씨는 에어 뉴질랜드에서 Avionic으로 일하고 있는데 Avionic은 Aviation과 Electronic의 합성어로 항공전자를 뜻한다. 항공전자 에서 주로 하는 일은 각종 전자 장비 혹은 시스템 테스트, Light System 정비, 영화나 음악을 듣는 시스템인 IFE(In Flight Entertainment)의 정비 및 업그레이드, Oxygen system 정비 등 전기가 사용 되는 부분은 다 Avionic의 담당이다.

  그는 일을 하면서 몇 번 실수했던 에피소드도 살짝 귀띔해주었다. "한 번은 기내 밖으로 사용된 물을 배출하는 통로에 얼지 말라고 Thermostat라는 자동 온도조절장치가 있는데 이게 약 US$2000이에요. 이걸 실수로 부신 기억이 나네요. 일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을 때라 많이 당황했던 기억이 나요. 또 한 번은 뉴질랜드에서 호주로 가는 기내 안에서 정비와 검사를 마친 후 깜빡하고 의자 밑에 손전등을 놓고 내려 일주일 뒤 호주에서 뉴질랜드로 배달되어 왔던 기억도 있구요... (웃음)" 지금은 웃으며 이야기 할 수 있지만 그 당시에는 퇴사당할까 걱정도 하고 잠도 이루지 못했다며 앞으로는 이런 실수가 다시 일어 나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비행을 하던 중 엔진이나 정비의 문제로 사고가 나면 그 비행기의 정비를 맡은 정비사에게 모든 책임이 있어요. 업무상과실치사죄로 면허증이 정지되고 심한 경우에는 감옥까지 갈 수도 있죠" 그는 항공정비사로서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의무감으로 어깨가 무거워 진다고 말한다.  

  그러나 설씨는 무사히 정비를 마치고 활주로에서 런칭을 하는 날에 가장 설레고 일의 보람을 느낀다. 그는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 항공이 기계와 전자 쪽으로 앞서간다는 생각에 항공 정비사를 선택했고 그 선택에 대한 후회는 전혀 없다고 말한다. 무거운 고철 덩어리가 몇 백 명의 인원을 싣고 하늘을 나는 것을 가능케 하는 항공정비사 설진수씨. 앞으로 항공정비사로 남을지 매니저 방향으로 더 공부할지  아직 정하지 못했지만 한국 사람으로서 항공계의 훌륭한 인물로 남는 것이 그의 희망이다.

글: 이강진 기자(reporter@koreatimes.co.nz)
  







    

  

[375] 교민사회 이끌어 갈 차세대 주자들

댓글 0 | 조회 5,297 | 2008.07.26
- Auckland, AUT, Massy대학 회장 및 임원진 인터뷰 -앞으로 뉴질랜드 한인교민사회를 이끌어 가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한인학생회! 젊음의 열정과 패기로 올해는 작년보다 더욱 체계적이고 전통성 있는 한인학생회를 이끌어 가겠다는 3개 대학 Auckland University(오클랜드 대학교), AUT(에이유티 대학교), Massy University(매씨 대학교)의 학생회 임원진(회장, 부회장, 총무)들을 만나 그… 더보기

현재 [376] 나는 비행기를 날게 하는 Avionic-Air New Zealand 항…

댓글 0 | 조회 9,099 | 2008.07.26
'Air New Zealand 항공 정비사 설진수씨' 어렸을 적 누군가 나에게“커서 무엇이 되고 싶니? 장래 희망이 뭐니?”라고 물어 보았을 때 혹시 과거에 당신이 대답한 꿈을 현재 이루었나요? 장래희망을 이룬 사람은 분명 그만큼의 노력과 운도 많이 따라 주었을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공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하늘을 나는 파일럿이 장래희망이었던 설진수씨는 비록 파일럿의 꿈을 이루진 못했지만 비행기를 워낙 좋아하여 항공 정비사의… 더보기

[377] 한국인을 위한 교민 최초 Business Banking Manager

댓글 0 | 조회 5,820 | 2008.07.26
- The National Bank 의 신현주씨 -"뉴질랜드로 이민 오기 전 저는 한국에서 광고 회사와 인터넷 회사에서 일을 하며 평범하게 지냈어요. 내 자신의 발전과 휴식, 또 다른 도전을 위해 이민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벌써 7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네요."교민경제가 어려울수록 이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조금이나마 교민들이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내셔널 은행(The National Bank)의 한국사람을 위한 교… 더보기

[378] NZ 야생 한국인삼재배의 개척과 성공 - 이재현씨

댓글 0 | 조회 6,406 | 2008.07.26
"1999년에 아내와 함께 뉴질랜드로 여행을 오게 되었는데 그 당시 한국 교민들이 사는 모습을 보고 느낀 점이 많았습니다. 큰 욕심 없이 소박하게 사는 모습과 아이들이 교육받는 학교의 분위기가 매우 인상적이었죠.”뉴질랜드에 대한 인상이 마음속 깊이 남았다는 이재현씨는 2000년 아내와 자녀들을 뉴질랜드에 먼저 보내고 1년 동안 한국에서 기러기 아빠 생활을 해 왔다고 한다. 그 후 한국에서 하던 일을 그만두고 처음 뉴질랜드에 와… 더보기

[379] 1.5세대 최초 한인 음악치료사 최희찬씨

댓글 0 | 조회 7,327 | 2009.01.19
1.5세대 최초 한인 음악치료사 NZ Raukatauri Music Therapy Center의 최희찬씨 "음악치료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분들에게 음악을 통해서 이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장애를 음악으로 개선하는 것입니다.” 1994년 초등학교 4학년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서 뉴질랜드로 이민 오게 된 최희찬씨. 그녀는 어릴 적부터 예능계에 관심이 많아 한국무용, 발레, 피아노, 바이올린 등을 배우며 남다른 재… 더보기

"방황시기도 많고 배운 것도 많은 나의 유학생활" - 조헌기씨

댓글 0 | 조회 5,781 | 2008.08.05
"문득 뉴질랜드로 유학의 발을 내딛지 않고 한국에서 계속 살았다면 지금 나의 모습은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1998년 IMF 외환위기로 어느 가정과 마찬가지로 저희 부모님도 경제적으로 힘들었지만 막내아들 졸업시키기 위해 끝까지 지지해준 부모님에게 너무 감사 합니다.”중학교 3학년 당시 한국은 과도한 사교육 열풍과 학업성적에 유난히 민감해 명문 대학교에 입학하고 의사나 변호사와 같이 끝에‘사’자 들어가는 직업을 구해야 하… 더보기

초일류 전문적 부동산 에이전트를 지향하는 마리오 박

댓글 0 | 조회 6,375 | 2008.08.05
올해 초부터 부동산 시장이 불황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판매량이 크게 줄고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는 등 언론에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 보도 하고 있다. 내 집 마련의 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부동산 시장에 큰 관심을 갖고 있을 텐데 언론의 보도와 주위사람들의 말로만으로는 판단을 하기가 혼란스러울 것이다. 이민의 문은 넓어질 기미가 안 보이고 올해 연말에 있을 총리선거로 사회는 혼란스러운데 과연 뉴질랜드 경기는… 더보기

아이비리그 포함 9개 명문대 합격자 - 김은형 학생

댓글 0 | 조회 8,099 | 2008.08.05
영국 옥스포드 무 조건부 합격, 미국 아이비리그 세 대학교 동시 합격, SAT 영어, 수학 만점 자! 김은형양(19)을 수식하는 화려한 문구가 4월 초 미국대학 정시 발표가 나자 교민사회에 큰 기쁨으로 회자되었는데 이번 5월 23일, 김은형양의 고교 졸업식에서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다시 한 번 큰 기쁨을 전달하게 되었다. 지난 2년 동안 매 학년말 Dux로 각 학년을 마감한 그녀가 이번 졸업 학년에서도 Dux(미국에선 최 우… 더보기

세계가 주목하는 그녀! 피아니스트 이미연씨

댓글 0 | 조회 5,244 | 2008.08.05
1982년 부산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 이미연씨(25)는 8살 때 피아노를 처음 시작했고, 그녀의 음악적 재능을 발견한 피아노 선생님들은 피아노 전공과 함께 유학을 권장했다. 1995년 가족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민 온 그녀는 1997년 영국 로얄음악학교(Royal College of Music)에서 주최하는 그레이드 8 연주시험에서 성악을 포함한 모든 악기 부문에서 뉴질랜드 최고의 점수를 획득해 로얄음악학교로부터 장학금과 전 세… 더보기

중국 요령성에서 뉴질랜드 이민까지

댓글 0 | 조회 5,512 | 2008.08.05
-고려 BBQ 대왕의 정용복 대표-돈벌기 위해 이민가방 하나 들고 중국 요령성에서 뉴질랜드로 이민 온 정용복씨. 고향을 떠나 뉴질랜드에서 둥지를 틀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는 그는 시간이 자신을 여기까지 데려다 놓았다고 말한다. 1995년 3개월짜리 관광비자로 뉴질랜드에 처음 도착한 그는 중국 요령성과는 다른 환경 때문에 적응하는 시간도 꽤 필요했지만 정착할 때부터 현재까지 주변에서 도와주신 분들이 너무 많아 항상 감… 더보기

NZ Stamford Hotel의 연회장 슈퍼바이저 - 도정완씨

댓글 0 | 조회 4,941 | 2008.08.05
24시간 365일 고객들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는 호텔리어. 이들은 국제적인 매너를 겸비하며 친절하고 편안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발로 뛰는 전문가들이다.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고객들이 호텔을 방문하기 때문에 외국어도 골고루 알고 있으면 호텔리어로 근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화려한 조명아래 단정한 유니폼을 입고 고객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텔리어들이 멋있어 보이지만 고객들이 … 더보기

[343] 우리는 그들을 '가족'이라 합니다

댓글 0 | 조회 3,780 | 2006.10.24
한국인으로서는 아주 드물게 정신장애우들을 돌보고 있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다. 한국에서는 12년 동안 컴퓨터 엔지니어로 일하다가 뉴질랜드에 온 지 이제 4년차인 B씨. 결코 쉽지 않은 일이며 쉽게 드러낼 수도 없는 직업 특성상 한마디 한마디 건네 주는 말들이 조심스러웠다. 모두 그가 돌보는, 아니 이 나라의 모든 정신장애자를 존중하고 배려하기 위해서다. "더 높은 삶의 질을 원해서랄까요?" 이민의 목적을 물었던 질문에 너무 형… 더보기

[281] 종일이네 가족이야기

댓글 0 | 조회 5,359 | 2005.09.28
작가 이인순씨가 10년간의 침묵을 깨고 뉴질랜드로 이민간 한국의 한 가족이 그 곳에서 당당 하게 뿌리내리며 살아가기까지 겪어야 했던 힘든 과정을 꾸밈없이 그려낸 '뉴질랜드로 이민간 종일이 네 가족'을 펴냈다. 주로 어린이를 위한 동화를 많이 썼으며 현재도 한국학교에서 동화구연 교사로 활동 중인 이인순씨를 만나 보았다. "창작동기라면 제가 이 나라에 와서 직접 잔디를 깎으러 다니면서 겪었던 일들을 다른 이들에게도 열어 보이고 싶… 더보기